프리싱크 모니터에서 NVIDIA G-SYNC 호환 사용하기

엔비디아 G-SYNC 인증은 G-SYNC 모듈을 사용하는 G-SYNC ULTIMATE와 G-SYNC, 그리고 G-SYNC 모듈을 사용하지 않은 G-SYNC COMPATIBLE로 구분된다. G-SYNC 호환은 하드웨어 레벨에서 엔비디아의 G-SYNC COMPATIBLE 인증을 받은 제품이지만, G-SYNC COMPATIBLE 인증을 받지 못한 프리싱크 모니터도 G-SYNC 호환을 설정할 수 있다. 단 G-SYNC COMPATIBLE 인증을 받지 못한 만큼 모니터에 따라 매우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모든 문제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다. 엔비디아 그래픽 카드 사용자가 프리싱크 모니터에서 G-SYNC 호환을 사용하는 방법을 기록하고자 LG 32GK850F ‘프리싱크 모니터에서 NVIDIA G-SYNC 호환 사용하기’를 작성했다.

주의사항
1. G-SYNC와 FreeSync의 간단 특징은 [G-SYNC, FreeSync 인증 등급 요약]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G-SYNC와 FreeSync에 대한 상세한 정보는 [G-SYNC, VESA Adaptive Sync, FreeSync 차이점 비교]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웹상의 정보를 종합해서 작성했기 때문에 사실과 다른 정보가 있을 수도 있다.

목차

  1. NVIDIA G-SYNC 호환
  2. NVIDIA G-SYNC 및 G-SYNC 설정 테스트
  3. 프리싱크 모니터에서 NVIDIA G-SYNC 호환 설정 방법
  4. 프리싱크 모니터에서 NVIDIA G-SYNC 호환 최적화 방법
  5. 프리싱크 모니터에서 NVIDIA G-SYNC 호환 설정 요약
  6. 프리싱크 모니터에서 G-SYNC 호환 사용 후기
Quick Menu

NVIDIA G-SYNC 호환

2019년 1월에 NVIDIA에서 G-SYNC 호환을 출시했다. G-SYNC 호환은 엔비디아 그래픽 카드와 DisplayPort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래픽 카드의 렌더링 속도에 맞춰서 모니터의 주사율을 모니터와 DisplayPort 인터페이스에서 지원하는 가변 주사율 내에서 제어하는 기술로 모니터 주사율보다 렌더링 속도가 빠를 때 발생하는 화면 찢어짐 현상(Tearing, 테어링)과 모니터 주사율보다 렌더링 속도가 느릴 때 발생하는 화면 끊김 현상(Stuttering, 스터터링) 및 입력 장치의 작동 장면 업데이트가 지연되는 현상(input lag, 인풋렉)을 개선한다. 그리고 그래픽 카드의 렌더링 속도가 가변 주사율보다 낮아지면 그래픽 카드가 렌더링한 프레임을 최대 2회 복제해서 그래픽 카드의 렌더링 속도가 가능한 한 가변 주사율 범위에 들어가게끔 조정한다. G-SYNC 호환은 엔비디아 GTX 10 시리즈 또는 엔비디아 GTX 16 시리즈 이상의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고 G-SYNC Compatible 인증 모니터를 사용하고 디스플레이 포트를 사용하면 자동으로 활성화된다.

엔비디아는 2018년 하반기부터 2019년 5월까지 503개의 VESA Adaptive Sync 모니터를 테스트했고 단 28개의 모니터만 테스트를 통과했다. 처음에는 536개의 VRR 모니터를 테스트하고자 했으나 33개의 모니터는 단종되어 503개의 모니터로 테스트를 시작했고, 그중 273개의 모니터는 VRR의 범위가 최소 기준인 2.4 : 1 이상(최소 60Hz – 144Hz 범위 이상)을 충족하지 못했고, 202개의 모니터는 VRR 범위는 충족했지만 깜빡임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 2021년 10월 기준 NVIDIA G-SYNC Compatible 인증을 받은 모니터는 총 175개이다.

NVIDIA G-SYNC Compatible 인증을 받지 않은 VESA Adaptive Sync 인증 모니터 또는 AMD FreeSync 인증 모니터에서도 G-SYNC Compatible을 설정할 수 있지만, 가장 기본적인 엔비디아 인증조차 받지 못한 만큼 사용 조건에 따라 매우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고가의 AMD FreeSync 인증 모니터에서도 사용자 환경 및 게임에 따라 화면 깜빡임, 밝기 이상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다소 가격대가 낮은 AMD FreeSync 인증 모니터에서는 사실상 G-SYNC Compatible을 사용하기 힘들 정도의 호환성 이슈가 발생할 수 있다.

G-SYNC 호환은 엔비디아 독점 기술인 만큼 GTX 10시리즈 이상의 엔비디아 그래픽 카드, DisplayPort 1.2a 버전 이상의 DP 포트, G-SYNC Compatible 인증 모니터, 윈도우 10 이상의 운영체제가 필요하다.

2019년 11월에 NVIDIA가 NVIDIA Game Ready 441.12 WHQL 드라이버부터 HDMI VRR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엔비디아 그래픽 카드로 HDMI VRR을 사용하려면 GTX 16시리즈 이상의 엔비디아 그래픽 카드, HDMI 2.1 버전 이상의 포트, HDMI VRR 지원 모니터, 윈도우 10 이상의 운영체제가 필요하다.

NVIDIA G-SYNC 및 G-SYNC 설정 테스트

NVIDIA가 제공하는 [데모 영상]을 설치하면 G-SYNC 및 G-SYNC 호환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G-SYNC 및 G-SYNC 호환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시계추의 움직임이 끊기거나 찢어지듯이 보이고 G-SYNC 및 G-SYNC 호환이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시계추의 움직임이 부드럽게 보인다.

G-Sync 테스트는 어디까지나 G-SYNC 및 G-SYNC 호환의 활성화 유무만 알 수 있기 때문에 ‘G-Sync Compatible 인증을 받지 않고 AMD FreeSync 인증만 받은 모니터’에서 시계추의 움직임이 부드럽게 보인다고 해서 G-SYNC 호환성에 문제가 없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호환성 이슈는 시스템 전반에서 발생할 수 있고 특정 게임에서만 발생할 수 있고 발생 시점과 이슈 정도가 모두 다르다.

프리싱크 모니터에서 NVIDIA G-SYNC 호환 설정 방법

1. G-SYNC 호환 설정하기

G-SYNC 호환 설정

NVIDIA 제어판 – 디스플레이 – G-SYNC 설정에서 ‘G-SYNC, G-SYNC 호환 활성화’에 체크하고, ‘창모드 및 전체 화면 모드로 활성화’에 체크해야 한다. ‘전체 화면 모드로 활성화’에 체크하면 게임 내 디스플레이 설정이 전체 화면일 때만 G-SYNC가 활성화되므로 창 모드에서 게임을 플레이한다면 ‘창모드 및 전체 화면 모드로 활성화’에 체크해야 한다. 그리고 ‘선택한 디스플레이 모드에 대한 설정 활성화’에 체크 해야 한다.

2. 기본 재생 빈도 설정 변경하기

화면 깜빡임 문제 해결하기

NVIDIA 제어판 – 3D 설정 – 3D 설정 관리에서 ‘기본 재생 빈도를 ‘응용 프로그램 제어’로 변경해야 한다. G-Sync Compatible 인증을 받지 않은 모든 제품에서 화면 깜빡임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 설정을 통해 화면 깜빡임 빈도수를 낮출 수 있다.

3. 일부 프로그램에서 화면 깜빡임 문제 발생 시 해결 방법

화면 깜빡임 문제 해결하기

포토샵 등 일부 프로그램에서 화면 깜빡임 증상이 발생하면 NVIDIA 제어판 – 3D 설정 – 프로그램 설정에서 화면 깜빡임 증상이 발생하는 프로그램에 대해서만 ‘모니터 기술’을 ‘고정 재생 빈도’로 변경하면 된다.

4. G-SYNC 호환 작동 확인하기

G-SYNC 호환 작동 확인하기

NVIDIA 제어판 – 3D 설정 – PhysX 비주얼 표시기 표시를 체크하면 게임을 플레이할 때 G-SYNC 호환 작동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G-SYNC 표시기는 계속 켜진 상태로 유지되므로 G-SYNC 호환 작동 여부를 확인하고 끄면 된다.

프리싱크 모니터에서 G-SYNC 호환 최적화 방법

1. VSync

수직동기화 켜기

G-SYNC 및 G-SYNC 호환은 VSync와 함께 사용해야 한다. G-SYNC 및 G-SYNC 호환이 켜진 상태에서 VSync를 켜면 가변 주사율 내에서는 VSync의 기본 동작이 비활성화되지만, G-SYNC가 가변 주사율 내에서 화면 찢어짐 현상(테어링)을 제거하는 데 관여하고 그래픽 카드의 렌더링 속도가 모니터의 최대 주사율에 도달해서 가변 주사율을 넘어서면 VSync의 기본 동작이 활성화되어 모니터의 새로운 재생 주기가 시작하기 전에 그래픽 카드가 렌더링하는 장면이 모니터로 업데이트되지 않도록 장면 업데이트를 지연 시켜서 화면 찢어짐 현상(테어링)을 제거한다.

G-SYNC 및 G-SYNC 호환 모두 VSync가 켜진 상태이므로 프리싱크 모니터에서 G-SYNC 호환을 강제로 적용할 때는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VSync를 켜야 한다. 그리고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VSync를 켤 때만, G-SYNC 호환의 작동 상태에 맞춰서 VSync가 작동하므로 게임 설정에서는 VSync(수직동기화)를 반드시 꺼야 한다.

※ NVIDIA Fast Sync [자세히 보기]
DirectX 11 기반의 게임을 플레이하고 그래픽 카드의 렌더링 속도가 모니터의 최대 주사율을 상당히 초과할 경우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VSync를 Fast Sync로 설정해야 한다. Fast Sync는 그래픽 카드의 렌더링 속도가 모니터의 최대 주사율을 초과하는 만큼 인풋렉을 감소시키며, 그래픽 카드의 렌더링 속도가 모니터의 최대 주사율보다 3배 이상 빠를 때 VSync를 끈 상태에 근접한 수준까지 인풋렉을 감소시킨다. 그리고 DirectX 11만 지원하므로 DirectX 11 외의 게임을 플레이할 때는 자동으로 VSync로 작동한다. NVIDIA 공식 홈페이지에서도 G-SYNC와 Fast Sync를 함께 사용하면 모든 조건에서 최상의 경험을 할 수 있다고 했다.
단 G-SYNC 및 G-SYNC 최적화 중 '게임 내 최대 프레임 제한'을 설정한다면 Fast Sync가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이 경우 VSync를 Fast Sync로 설정할 필요가 없다. '게임 내 최대 프레임 제한'을 설정하고 Fast Sync를 설정한다고 해서 문제가 발생하는 건 아니지만, 무의미하다.

2. 게임 내 최대 프레임 제한

그래픽 카드의 렌더링 속도가 모니터의 최대 주사율을 초과하면 G-SYNC 및 G-SYNC 호환이 꺼지고, VSync가 작동하면서 인풋렉이 대폭 증가하므로 G-SYNC 및 G-SYNC 호환이 항상 가변 주사율 내에서 작동하도록 게임 내 최대 프레임을 최대 주사율에서 -3Hz 정도로 제한해야 한다. 모니터의 최대 주사율을 제한하더라도 간혹 최대 주사율을 오버할 수 있고 그 순간 VSync가 작동해서 인풋렉이 대폭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1Hz 또는 -2Hz 보다는 -3Hz 정도로 제한하는 게 최선이다.

게임의 프로세스 과정은 게임 엔진, CPU, GPU 순으로 이어지므로 지연 시간을 최대한 줄이려면 게임 내 옵션에서 최대 프레임을 제한해야 한다. 만약에 게임에서 최대 프레임 제한 기능을 제공하지 않으면 guru3d에서 배급하는 RTSS(RivaTuner Statistics Server)를 설치하고 최대 프레임을 제한해야 한다. 엔비디아 제어판에서도 최대 프레임 제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지만, 앞선 두 방법보다 지연 시간이 증가한다.

3. NVIDIA NULL(NVIDIA Ultra Low Latency, 저 지연 모드) [자세히 보기]

DirectX 9, DirectX 11 기반의 게임을 플레이하고 게임의 프레임 속도가 60 FPS에서 100 FPS 사이라면 엔비디아 제어판 – 3D 설정 – 3D 설정 관리에서 Low Latency를 Ultra로 설정해야 한다. NULL는 ‘최대한 미리 사전에 렌더링하는 프레임 수’를 줄여서 인풋렉을 감소시키는 기술로 엔비디아의 ‘최대 사전 렌더링 프레임’ 기능을 대체한다. NULL를 Ultra로 설정하면 CPU에서 그래픽 카드가 프레임을 렌더링하기 직전에 1프레임을 렌더링 대기열에 추가해서 실시간 렌더링에 근접한 수준으로 프레임을 렌더링한다.

Vulkan과 DirectX 12 기반의 게임에서는 작동하지 않고 게임의 프레임 속도가 60 FPS 미만이거나 100 FPS를 초과할 경우 인풋렉 감소 효과가 떨어지므로 사용하는 데 제약이 있지만, 비작동 환경에서는 NULL이 자동으로 비활성되므로 엔비디아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G-SYNC 및 G-SYNC 호환을 사용할 때 NULL을 Ultra로 설정하길 권장하고 있다.

4. NVIDIA Reflex Low Latency [자세히 보기]

NVIDIA Reflex Low Latency API를 적용한 게임을 플레이한다면 NVIDIA GeForce Experience에서 Reflex Low Latency 모드 또는 Reflex Low Latency Boost 모드로 설정해야 한다. NVIDIA Reflex Low Latency는 게임 개발자가 게임 엔진의 작업이 그래픽 카드의 렌더링 시간에 맞춰서 완료되도록 하드웨어 레벨에서 CPU와 그래픽 카드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렌더링 대기열을 없애고 인풋렉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는 기술로 DirectX 12도 지원하므로 NVIDIA Reflex Low Latency에 최적화된 게임을 플레이한다면 반드시 NVIDIA Reflex Low Latency 모드에서 게임을 플레이하는 게 좋다. Reflex Low Latency Boost 모드는 GPU의 부하가 없는 상황에서도 높은 클록을 유지해서 GPU에 갑작스럽게 부하가 걸릴 때 지연 시간을 최대한 감소시키는데, Reflex Low Latency 모드와 비교했을 때 성능 차이가 거의 없기 때문에 프로 선수나 하드 유저가 아니라면 Reflex Low Latency 모드를 사용하면 된다.

프리싱크 모니터에서 G-SYNC 호환 설정 요약

G-SYNC 호환활성화
VSync제어판에서 ON
게임에서 OFF
게임 내 최대 프레임 제한최대 주사율 – 3Hz
Low Latency ModeUltra
NVIDIA ReflexON

프리싱크 모니터에서 G-SYNC 호환 사용 후기

○ 프리싱크 모니터 LG 32GK850F

2018년 5월에 LG 32GK850F 모니터가 출시한 직후 구매했다. LG 32GK850F 모니터는 프리싱크 2 인증 모니터로 출시했고 그 다음 달인 6월에 프리싱크 2 인증이 프리싱크 2 HDR로 개편되면서 프리싱크 2 HDR 인증 모니터로 광고하다가 2020년 1월에 프리싱크 2 HDR 인증이 FreeSync Premium 인증과 FreeSync Premium Pro 인증으로 세분화되면서 FreeSync Premium Pro 인증 모니터로 광고 중이다.

구분FreeSync Premium ProG-SYNC COMPATIBLE
인증AMD 인증NVIDIA 인증
가변주사율FreeSyncVESA Adaptive Sync
가변주사율 프레임 더블링최대 4회최대 2회
응답 시간특정 기준치(비공개)를 통과해야 함
인터페이스DisplayPort 1.2 이상
HDMI 2.0 이상
DisplayPort 1.2 이상
HDMI 2.1 이상
부가 기능VSync
AMD Enhanced Sync
AMD RADEON Anti-Lag
VSync
NVIDIA Fast Sync
NVIDIA NULL
NVIDIA Reflex

LG 32GK850F 모니터는 G-SYNC COMPATIBLE 인증을 받지 못했고 G-SYNC 호환을 강제 설정하면 호환성 문제가 발생하고 G-SYNC 호환의 가변주사율 성능이 FreeSync Premium Pro보다 떨어지므로 AMD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는 게 좋지만, G-SYNC 호환 최적화 설정 시 대부분의 호환성 이슈가 해결되고 GPU의 성능이 상향 평준화되어 가변주사율 프레임 더블링이 작동하는 경우는 사실상 없기 때문에 NVIDIA 레이트레이싱 등 엔비디아 최신 기술을 경험하고 싶은 사용자는 엔비디아 그래픽 카드를 장착하고 G-SYNC 호환 설정을 하면 된다.

○ LG 32GK850F에 G-SYNC 호환 적용

G-SYNC COMPATIBLE 인증을 받은 모니터는 GTX 16시리즈 이상의 NVIDIA 그래픽 카드를 장착하고 엔비디아 드라이버만 설치하면 되는데, G-SYNC COMPATIBLE 인증을 받지 못한 LG 32GK850F은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별도의 설정을 하고, G-SYNC 호환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테스트를 하고,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거나 게임 플레이 중 G-SYNC 호환성 이슈가 있는지 살펴봐야 해서 번거로울 수 있다.

○ LG 32GK850F에 G-SYNC 호환 적용 후기

브라우저문제 없음
작업 프로그램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게임특정 장면에서 문제가 발생함

구글 크롬, 마이크로소프트 인터넷 익스플로러,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네이버 웨일 등 브라우저와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엑셀 같은 문서 작성 프로그램에서 아무 문제가 없었다. 단 어도비 포토샵에서 작업 공간 외의 창 부분에 비주기적으로 매우 심각한 화면 깜빡임이 발생해서 [일부 프로그램에서 화면 깜빡임 문제 발생 시 해결 방법]에 따라 문제를 해결했다.

게임은 오버워치, 더 위쳐 3: 와일드 헌트, 사이버펑크 2077을 플레이했는데, 사이버 펑크 2077을 제외한 두 가지 게임에서 화면 깜빡임을 경험했다. 오버워치는 게임 플레이 중에는 아무 문제가 없었지만, 대기실 화면에서 화면 깜빡임이 발생했고 더 위쳐 3: 와일드 헌트도 플레이 중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지만, 로딩 화면에서 화면 깜빡임이 발생했다. 그나마 플레이중에는 별다른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서 화면 깜빡임 문제해결을 통해 해당 게임에 대한 G-SYNC 호환 설정을 끄지는 않았다.

출처

관련 글

최종 업데이트: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