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TV 개발 역사

1969년에 설립된 삼성전자는 가전제품 사업으로 성장하다가 1997년에 IMF 외환위기를 극복한 후 반도체와 스마트폰 사업의 성공으로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이 되었다. 삼성전자의 성장 원동력이 된 TV의 개발 역사를 기록하고자 삼성전자 TV 개발 역사를 작성했다.

주의사항
1. 국내외 언론에서 다수의 기사로 공개된 정보와 삼성전자 한국 고객센터에서 알려준 정보가 다른 경우 두 가지 정보를 하나로 합쳐서 작성했다.
2. 웹상의 정보를 종합해서 작성했기 때문에 사실과 다른 정보가 있을 수도 있다. 

목차

  1. 삼성전자 TV 개발 역사
  2. 삼성전자 TV 개발 역사 요약
  3. 삼성전자 TV 화질 엔진 개발 역사
  4. 삼성전자 TV 논란
Quick Menu

삼성전자 TV 개발 역사

삼성전자 및 국내외 언론에서 TV라고 밝힌 부문만 작성했고 소형 스크린, 노트북 스크린, 모니터 관련 내용은 작성하지 않았다. 예를 들어 같은 크기의 두 가지 디스플레이 패널을 개발했는데 전자는 소형 스크린으로 분류했고 후자는 TV로 분류했다면 후자에 대한 내용만 작성했다.

그리고 제품 출시 날짜는 글로벌 출시일과 국내 출시일 중 이른 날짜를 작성했고 제품 단종 날짜는 글로벌 단종일과 국내 단종일 중 늦은 날짜를 작성했다. 다만 제품 단종 날짜는 기자가 취재해도 명확하게 공개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고 2000년대에 들어서는 단종 시기를 공개하더라도 국내에서만 단종하고 해외에서는 계속 생산한 경우가 많아서 일부 제품에 관한 정확한 단종 시기는 알 수 없었다.

그리고 기술을 개발한 직후에 공개한 제품 출시 예정 날짜와 실제 제품을 출시한 날짜가 다른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아래 내용을 검증하려면 제품 개발 또는 공개 시점으로부터 적어도 3년간의 소식을 자세히 찾아봐야 한다.

○ 삼성전자 TV 개발 역사

연도역사
1970.11진공관식 흑백 CRT TV 개발
1971.01진공관식 흑백 CRT TV 500대 파나마 수출
1972.11내수용 흑백 CRT TV 생산
1973.04트랜지스터식 흑백 CRT TV 개발
1975.04[국내 최초] 순간수상 방식의 흑백 CRT TV 개발
1976.04컬러 CRT TV 개발 및 파나마 수출
1980.08내수용 컬러 CRT TV 생산
1981.10소비전력을 흑백 CRT TV 수준으로 낮춘 컬러 CRT TV 개발
1983[국내 최초] 음성다중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CRT TV 개발
1993.02HD CRT TV 개발
1993.11원적외선을 방출하는 CRT TV 개발
1994.08주변부 영상 일그러짐과 색번짐을 제거한 CRT TV 출시
1994.08[국내 최초] TV용 TFT-LCD 패널 개발
1995.12흑백 CRT TV 단종
1996.09인터넷 TV 개발
1997.06인터넷 TV 출시
1998.01디지털 HD CRT TV 개발
1998.04액정이 볼록하지 않고 평면인 CRT TV 개발
1998.05PDP TV 패널 개발
1998.10액정이 볼록하지 않고 평면인 CRT TV 출시
1998.11[세계 최초] 디지털 HD CRT TV 양산 후 미국 수출
1999.05WUXGA TFT-LCD TV 패널 개발
1999.10WUXGA TFT-LCD TV 공개
2000.01HD fLCD TV 공개
2000.04WUXGA TFT-LCD TV 출시
2000.04HD PDP TV 개발
2000.07인터넷 TV 전자상거래 및 콘텐츠 서비스 출시
2001.07HD PDP TV 출시
2002.05HD DLP TV 공개
2002.07HD DLP TV 출시
2002.12FHD TFT-LCD 패널 개발
2003.05FHD PDP 패널 개발
2004.01[국내 최초] FHD TFT-LCD TV 출시
2004.05[세계 최초] FFL 백라이트 TFT-LCD 패널 개발
2005.0110비트 시스템이 탑재된 HD TFT-LCD TV 출시
2005.01HD AM-OLED TV 패널 개발 (공개X)
2005.05LED 백라이트 TFT-LCD 패널 개발
2005.07[세계 최초] FHD DLP TV 출시
2006.01LED 백라이트 TFT-LCD TV 공개
2006.06대형 CRT TV 단종
2006.08FFL 백라이트 TFT-LCD 패널 출시
2006.08FHD 120Hz LED TFT-LCD 패널 개발
2006.09FHD LED 백라이트 TFT-LCD TV 출시
2007.013D HD DLP TV 공개
2007.01FHD PDP TV 공개
2007.02FHD PDP TV 출시
2007FFL 백라이트 TFT-LCD TV 출시
2007.073D HD DLP TV 출시
2007.08FHD 120Hz LED TFT-LCD TV 출시
2007.08FFL 백라이트 TFT-LCD TV 단종
2007.12CRT TV 단종
2007.12기술적 난제를 해결한 AM-OLED TV 패널 개발
2008.01AM-OLED TV 공개 (출시X)
2008.01UHD LED TFT-LCD TV 공개 (출시X)
2008.013D HD PDP TV 공개
2008.023D HD PDP TV 출시
2008.05[세계 최초] UHD 120Hz LED TFT-LCD 패널 개발
2008.10UHD PDP TV 패널 개발
2009.01Edge LED 백라이트 기술 공개
2009.01FHD 240Hz Edge LED TFT-LCD TV 공개
2009.04FHD 240Hz Edge LED TFT-LCD TV 출시
2009.04DLP TV 단종
2010.013D FHD PDP TV 공개
2010.013D FHD 240Hz Edge LED TFT-LCD TV 공개
2010.01[세계 최초] 인터넷 TV용 앱스토어 삼성앱스 공개
2010.02[세계 최초] 3D FHD 240Hz Edge LED TFT-LCD TV 출시
2010.03[세계 최초] 인터넷 TV용 앱스토어 삼성앱스 출시
2010.07스마트 TV 명칭 사용
2011.01[국내 최초] 스마트 TV 포털사이트 검색 서비스 출시
2011.09기술적 난제를 해결한 AM-OLED TV 패널 개발
2012.01스마트 TV용 광고 서비스 출시
2012.01스마트 TV에 음성인식, 동작인식, 화면인식 기술 적용
2012.01FHD AM-OLED TV 공개 (출시X)
2013.01CCFL 백라이트 TFT-LCD TV 단종
2013.01[세계 최초] 커브드 FHD AM-OLED TV 공개
2013.01UHD TV에 HD 해상도를 UHD 해상도로 업스케일링하는 기술 적용
2013.01UHD LED TFT-LCD TV 출시
2013.06커브드 FHD AM-OLED TV 출시
2013.09커브드/평면 UHD AM-OLED TV 공개 (출시X)
2013.09[세계 최초] 커브드 UHD Edge LED TFT-LCD TV 공개
2014.01벤더블 UHD Edge LED TFT-LCD TV 공개
2014.02[세계 최초] 커브드 UHD Edge LED TFT-LCD TV 출시
2014.03PDP TV 단종
2014.07타이젠 OS TV 앱 개발도구 출시
2014.08벤더블 UHD Edge LED TFT-LCD TV 출시
2015.01QD-LCD 패널 공개
QD-LCD TV를 SUHD 브랜드로 발표함
SUHD TV에 HDR 적용
2015.01스마트 TV에 타이젠 OS 탑재
2015.01커브드/평면 UHD Edge LED QD-LCD TV 공개
2015.02UHD Edge LED QD-LCD TV 출시
2015.02커브드 UHD Edge LED QD-LCD TV 출시
2015.03UHD Edge LED QD-LCD TV 출시
2015.09스마트 TV용 TV 플러스 서비스 출시
2015.09UHD Edge LED TFT-LCD 세리프 TV 출시
2016.01스마트 TV 리모컨에 음성인식 버튼 추가
2016.01색재현력, 밝기를 개선한 2세대 QD-LCD 패널 공개
SUHD TV에 HDR10 규격 적용
2016.01UHD Edge LED 2세대 QD-LCD TV 공개
2016.03UHD Edge LED 2세대 QD-LCD TV 출시
2016.063D TV 단종
2016.07SUHD TV에 HDR플러스(HDR+) 적용
2016.12SUHD TV에 HLG 적용
2017.01컬러볼륨, 색재현력, 밝기를 개선한 3세대 QD-LCD 패널 공개
QD-LCD TV의 브랜드 명칭을 SUHD에서 QLED로 변경함
2017.01커브드/평면 UHD Edge LED 3세대 QD-LCD TV 공개
2017.01UHD Edge LED TFT-LCD 더 프레임 TV 공개
2017.03커브드/평면 UHD Edge LED 3세대 QD-LCD TV 출시
2017.03극장용 UHD 시네마 LED 스크린 공개
2017.04HDR10 플러스 기술 개발
2017.06UHD Edge LED TFT-LCD 더 프레임 TV 출시
2017.07극장용 UHD 시네마 LED 스크린 출시
2017.08스마트 TV용 스팀 링크 앱 출시
2017.09HDR10 플러스 기술 공개
2017.12HDR10 플러스 콘텐츠 스트리밍 서비스 출시
2018.01QLED TV에 매직 스크린, AI 빅스비, 보안 솔루션 녹스, 스마트싱스 앱 적용
2018.01QLED TV에 게임 모드, 게임 모션 플러스 기능 적용
2018.01QLED TV에 머신러닝으로 FHD 해상도를 최대 8K까지 업스케일링하는 기술 적용
2018.018K Edge LED QD-LCD TV 공개
2018.01상업용 모듈러 Micro LED TV 공개
2018.05QLED TV에 AMD 프리싱크 기능 적용
2018.06상업용 모듈러 Micro LED TV 출시
2018.08QLED TV에 HDR10 플러스 규격 적용
2018.088K Edge LED QD-LCD TV 출시
2018.10스마트 TV에 삼성 페이 결제서비스 적용
2019.01Micro LED 소자의 크기를 15배로 줄인 2세대 Micro LED 패널 공개
2019.01가정용 모듈러 2세대 Micro LED TV 공개
2019.01가정용 UHD 2세대 Micro LED TV 공개 (출시X)
2019.01UHD Edge LED QD-LCD 더 프레임 TV 공개
UHD Edge LED QD-LCD 더 세리프 TV 공개
2019.04UHD Edge LED QD-LCD 더 세로 TV 공개
2019.05UHD Edge LED QD-LCD 더 프레임 TV 출시
UHD Edge LED QD-LCD 더 세리프 TV 출시
UHD Edge LED QD-LCD 더 세로 TV 출시
2019.06가정용 모듈러 2세대 Micro LED TV 출시
2019.098K HDR10 플러스 기술 공개
2020.01스마트 TV에 OTS+, Q-심포니, AVA 기술 적용
2020.01QLED TV에 단일 신경망으로 구성된 딥러닝으로 FHD 해상도를 최대 8K까지 업스케일링하는 기술 적용
2020.05UHD Edge LED QD-LCD 더 테라스 TV 공개
2020.05UHD Edge LED QD-LCD 더 테라스 TV 출시
2020.08UHD QD-OLED TV 패널 개발
2020.09삼성 TV 플러스 서비스 모바일 앱 미국 출시
2020.12가정용 UHD Micro LED TV 110인치 공개
2021.01Mini LED QD-LCD TV를 네오 QLED 브랜드로 발표함
2021.01네오 QLED TV에 16개의 신경망으로 구성된 딥러닝으로 FHD 해상도를 최대 8K까지 업스케일링하는 기술 적용
2021.018K Mini LED QD-LCD TV 공개
2021.038K Mini LED QD-LCD TV 출시
2021.04삼성 TV 플러스 서비스 모바일 앱 한국 출시
2022.01가정용 Micro LED TV 110인치, 101인치, 89인치 공개
2022.012022 Micro LED TV에 빛의 밝기와 색조를 백만 단계(20비트)로 미세조정하는 마이크로 콘트라스트 프로세싱 적용
2022.012022 네오 QLED TV에 빛의 밝기를 기존 4,096단계(12비트)보다 4배 향상된 16,384단계(14비트)로 세밀하게 조정하는 네오 퀀텀 매트릭스 테크놀로지 적용
2022.01[세계 최초] HDR 게이밍 공인 규격인 HDR10+ 게이밍 공개
2022.03UHD QD-OLED TV 출시
2022.06TFT-LCD TV 단종

삼성전자 TV 역사 요약

○ 일반 TV 시대

1. 방송을 보여주는 TV

1970년대에 흑백/컬러 아날로그 CRT TV를 개발한 이후 1997년까지 아날로그 CRT TV를 생산했고, 1998년에 디지털 TV를 개발한 이후 2005년까지 TFT-LCD TV, fLCD TV, PDP TV, DLP TV를 생산해서 세계적인 기업들과 경쟁했고, 2006년에 화질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LED 백라이트 TFT-LCD TV 출시한 이후 CCFL 백라이트 TFT-LCD TV, PDP TV, LED 백라이트 TFT-LCD TV를 앞세워서 미국 디지털 TV 시장을 장악했다. 그리고 2007년부터 2008년까지 세계적인 경제불황임에도 전 세계 TV 시장에서 LCD TV의 점유율을 확대했고, 2009년에 Edge LED 백라이트 TFT-LCD TV를 출시하고 미국 프리미엄 TV 시장을 점령하면서부터 LED 백라이트 TFT-LCD TV를 본격적으로 생산했다.

2. 몰입감을 주는 TV

2007년에 사용자 경험을 극대화하기 위해 3D 입체 영상을 볼 수 있는 3D TV를 출시했으나 기술력과 콘텐츠 부족으로 크게 이슈화되지 않았다. 하지만 2009년에 개봉한 3D 영화 아바타가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면서부터 2012년까지 3D TV의 전성기를 맞이했다.

2013년에 사실적인 화질과 화면 몰입감을 높이기 위해 UHD 해상도와 UHD 업스케일링 기능을 탑재한 커브드 TV를 출시했고, 2014년에 평면과 곡면을 버튼 하나로 전환할 수 있는 벤더블 TV를 출시했다.

3. 사실적인 화질과 색감을 보여주는 TV

2015년에 색재현력과 밝기를 극적으로 향상시킨 QD-LCD TV를 출시했고 사실적인 개조표현을 위해 HDR 기능을 추가했다. 그리고 2018년에 8K 해상도와 머신러닝으로 SD 해상도를 8K 해상도로 업스케일링 하는 기술을 탑재한 초고해상도 TV를 출시했고 2019년에 자발광 광원을 사용하고 색재현력, 개조, 밝기 등 모든 면에서 압도적으로 뛰어난 가정용 마이크로 LED TV를 출시했다.

○ 스마트 TV 시대

1. 인터넷 TV

1997년에 고가의 PC 사용자뿐만 아니라 일반 사람들도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인터넷 TV를 출시했다. 초기에는 웹브라우저 검색과 이메일만 이용할 수 있었는데 2000년대 초반에 인터넷 TV의 산업 규모가 커지자 전자상거래 기능과 엔터테인먼트 기능 등을 추가했다.

2. 스마트 TV

2010년에 세계적인 기업들이 스마트 TV라는 용어를 본격적으로 사용했고 삼성전자도 삼성앱스가 탑재된 인터넷 TV를 스마트 TV라고 했다. 그리고 2011년부터 2012년까지 무료 서비스 강화 및 기업 수익성 증대를 위해 포털사이트 검색 서비스와 기업 광고 서비스를 출시했고,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음성인식, 동작인식, 화면인식 기술을 추가했다. 그리고 2014년에 전 세계 개발자들이 삼성 스마트 TV용 앱을 개발할 수 있도록 타이젠 OS TV 앱 개발도구를 출시했고 2015년부터 모든 삼성전자 스마트 TV에 타이젠 OS를 탑재했다.

○ 라이프 스타일 TV 시대

1. 가구 디자인 TV

2008년에 패션 회사인 아르마니와 협업해서 가구 느낌을 강조한 아르마니/파프 TV를 출시했다.

2015년에 세계적인 산업 디자이너인 이브 베하와 협업해서 실내 공간 어디에 놓아도 예술 작품을 감상하는 듯한 느낌을 줄 수 있는 82S9W TV를 출시했고 프랑스 가구 디자이너인 로낭&에르완 부홀렉 형제와 협업해서 실내 거실, 주방, 안방 등 어디에 설치해도 자연스럽게 조화하도록 타이포그래피에서 영감을 얻은 디자인을 적용한 세리프 TV를 출시했다.

2. 개성을 표현하는 TV

2017년에 세계적인 산업 디자이너인 이브 베하와 협업해서 실내 어디에 설치해도 완벽한 조화를 이루는 프레임 디자인과 TV가 꺼졌을 때 그림 및 사진 등의 예술 작품을 보여주는 아트모드를 적용한 더 프레임 TV를 출시했다. 그리고 2019년에 기능성을 강화한 더 프레임 TV와 더 세리프 TV를 출시했고 모바일 콘텐츠에 최적화된 더 세로 TV를 새롭게 선보였다. 그리고 2020년에 야외에서 가족들과 시간을 보내는 사람들의 취향에 맞춘 아웃도어 라이프 스타일 TV 더 테라스를 출시했다.

삼성전자 TV 화질 엔진 개발 역사

1996년부터 화질개선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해서 2002년 10월에 아날로그와 디지털 영상 화질을 개선하는 DNIe(Digital Nature Image Engine) 기술을 상용화했고 2003년 4월에 ‘DNIe 신기술 및 디지털TV 세계 일류화 전략발표회’에서 DNIe 기술을 적용한 CRT, LCD, PDP, DLP TV를 공개했다.

DNIe 칩이 단일 칩으로 생산된 초기에는 ‘디지털 화질 개선 기술’, ‘디지털 화질 유전자’, ‘디지털 자연 이미지 신기술’로 불렀고, 2004년 7월에 디코더, DNIe, CPU를 하나의 원칩으로 구현한 시스템온칩(SoC)을 개발하면서부터 ‘화질 개선 칩’, ‘화질 개선 엔진’이라고 불렀다.

○ 화질 엔진 개발 역사

공개날짜변경점
2002.10DNIe 화질 엔진
CRT, LCD, PDP, DLP TV의 아날로그/디지털 영상 노이즈를 제거하고 이미지 디테일을 높이고 색상을 보정하고 명암비를 증폭함
2003.042세대 DNIe 화질 엔진
디지털 입력 신호의 화소수를 DNIe의 2배로 높임
2004.043세대 DNIe 화질 엔진
3가지 색상 조절 기능, 사용자 선호 화질 조절 기능(MCC), 입력 신호에 따른 최적 명암비 조정 기능(I2C), 주변 환경에 따른 TV 밝기 자동 조정 기능(IBC), 색약자 보정 기능이 포함된 감성 엔진을 추가하고 디지털 입력 신호의 화소수를 DNIe의 6배로 높임
2005.064세대 DNIe 화질 엔진
영상의 외곽선 처리를 개선하고 6가지 색상 조절 기능을 탑재함
2006.08FHD DNIe
FHD 해상도에 최적화한 4세대 DNIe
2008.01DNIe+
노이즈, 명암비, 컬러, 영상 표현을 모두 개선함
2008.03DNIe Pro
120Hz에서 영상 번짐 및 떨림 현상을 개선함
2009.03크리스털 엔진
영상의 잔상을 제거하고 색 표현과 디테일 표현을 강화함
2009.03크리스털 LED 엔진
LED TFT-LCD TV의 화질을 최적화하기 위해 LED의 발광을 정교하게 제어해서 블랙 표현을 강화함
2009.10LED 하이퍼 리얼 엔진
크리스털 LED 엔진의 명칭을 LED 하이퍼 리얼 엘진으로 변경함
2010.013D 하이퍼 리얼 엔진
2D 영상을 3D 영상으로 변환하고 3D 영상 화질을 개선함
2013.06쿼드 디테일 엔진
UHD TV의 화질을 최적화하기 위해 입력 신호를 분석해서 노이즈를 최소화하고 HD 해상도를 UHD 해상도로 업스케일링하고 디테일을 최적화함
2013.09쿼드매틱 픽처 엔진
쿼드 디테일 엔진의 명칭을 쿼드매틱 픽처 엔진으로 변경함
2015.01SUHD 리마스터링 화질 엔진
퀀텀닷 필름을 입힌 UHD LED QD-LCD TV(UHD SUHD TV)의 화질을 최적화하기 위해 영상의 밝기를 자동으로 분석해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 하고 어두운 부분은 더 어둡게 처리하고 밝은 부분은 최대 2.5배 더 밝게 처리함
2017.01Q 엔진
SUHD의 명칭을 QLED로 변경하면서 SUHD 리마스터링 화질 엔진의 명칭도 Q 엔진으로 변경함
2018.01AI 4K Q 엔진
UHD LED QD-LCD TV(UHD QLED TV)의 화질을 최적화하기 위해 입력 신호를 분석해서 노이즈를 최소화하고 디테일을 최적화한 후 SD 이상 해상도를 UHD 해상도로 업스케일링하고 다시 디테일을 최적화함
2018.01퀀텀 프로세서 8K
8K LED QD-LCD TV(8K QLED TV)의 화질을 최적화하기 위해 머신러닝으로 수백만 개의 영상 알고리즘을 분석하고 장면 단위에서 FHD 이상의 해상도를 8K 해상도로 업스케일링하고 밝기와 명암비를 최적화함
2018.01시네마 LED 화질 엔진
상업용 UHD Micro LED 더 월 프로페셔널 TV의 자발광 LED의 특성에 맞춰 최대 밝기에서도 저계조 표현력을 높임
2019.02LED HDR 화질 엔진
상업용 8K LED QD-LCD TV(8K QLED TV)의 화질을 최적화하고 8K HDR을 재생하기 위해 멀티링크 LED HDR 기술을 적용해서 일반 광고 영상을 HDR 화질로 재생함
2019.02퀀텀 프로세서 4K
4K LED QD-LCD TV(4K QLED TV)의 화질을 최적화하기 위해 위해 머신러닝으로 수백만 개의 영상 알고리즘을 분석하고 장면 단위에서 FHD 이상의 해상도를 4K 해상도로 업스케일링하고 밝기와 명암비를 최적화함
2019.06퀀텀 프로세서 플렉스
가정용/상업용 모듈러 Micro LED 더 월 럭셔리 TV의 자발광 LED 특성에 맞춰 머신러닝으로 수백만 개의 영상 알고리즘을 분석하고 장면 단위에서 FHD 이상의 해상도를 최대 8K 해상도로 업스케일링하고 밝기와 명암비를 최적화함
2019.07스노우 프로세서
상업용 보급형 Micro LED 더 월 TV의 자발광 LED 특성에 맞춰 화질을 최적화함
2020.01AI 퀀텀 프로세서 8K
AI 퀀텀 프로세서 4K

LED QD-LCD TV(QLED TV)의 화질을 최적화하기 위해 단일 신경망으로 구성된 딥러닝으로 영상 알고리즘을 분석하고 화면 크기에 따라 픽셀 단위에서 FHD 이상 해상도를 8K 해상도까지 업스케일링하고 밝기와 명암비를 최적화함
2020.03퀀텀 프로세서 8K
퀀텀 프로세서 4K

AI 퀀텀 프로세서의 명칭을 퀀텀 프로세서로 변경함
2020.03퀀텀 프로세서 4K Lite
보급형 UHD LED QD-LCD TV(UHD QLED TV의) 전력 소모를 낮추고 장면 단위에서 FHD 이상의 해상도를 4K 해상도로 업스케일링하고 밝기와 명암비를 최적화함
2020.03크리스탈 프로세서 4K
보급형 UHD LED TFT-LCD TV의 전력 소모를 낮추고 장면 단위에서 FHD 해상도를 4K 해상도로 업스케일링함
2020.12마이크로 AI 프로세서
가정용 UHD Micro LED TV의 자발광 LED 특성에 맞춰 단일 신경망으로 구성된 딥러닝으로 영상 알고리즘을 분석하고 화면 크기에 따라 픽셀 단위에서 FHD 이상 해상도를 4K 해상도까지 업스케일링하고 밝기와 명암비를 최적화함
2021.03네오 퀀텀 프로세서 8K
네오 퀀텀 프로세서 4K

Mini LED QD-LCD TV(Neo QLED TV)의 화질을 최적화하기 위해 16개의 신경망으로 구성된 딥러닝으로 영상 알고리즘을 분석하고 화면 크기에 따라 픽셀 단위에서 FHD 이상 해상도를 8K/4K 해상도까지 업스케일링하고 밝기와 명암비를 최적화함
2021.03네오 퀀텀 프로세서 8K Lite
네오 퀀텀 프로세서 4K Lite
보급형 Mini LED QD-LCD TV(Neo QLED TV)의 전력 소모를 낮추고 장면 단위에서 FHD 이상의 해상도를 8K/4K 해상도로 업스케일링하고 밝기와 명암비를 최적화함
2022.01마이크로 콘트라스트 프로세싱
2022 Micro LED TV의 HDR 화질을 개선하기 위해 밝기와 색조를 백만 단계(20비트)로 미세 조정한다.
2022.012022 네오 퀀텀 프로세서
2022 Mini LED QD-LCD TV(Neo QLED TV) 화질을 개선하기 위해 개선된 콘트라스트 매핑 기술로 빛의 밝기를 기존 4,096단계(12비트)에서 4배 향상된 16,384단계(14비트)까지 세밀하게 조정한다.
2022.03뉴럴 퀀텀 프로세서 4K
4K QD-OLED TV(4K OLED TV)의 화질을 최적화하기 위해 20개의 신경망으로 구성된 딥러닝으로 영상 알고리즘을 분석하고 화면 크기에 따라 픽셀 단위에서 FHD 이상 해상도를 4K 해상도까지 업스케일링하고 밝기와 명암비를 최적화함
2022.03뉴럴 퀀텀 프로세서 8K
Mini LED QD-LCD TV(Neo QLED TV)의 화질을 최적화하기 위해 20개의 신경망으로 구성된 딥러닝으로 영상 알고리즘을 분석하고 화면 크기에 따라 픽셀 단위에서 FHD 이상 해상도를 8K 해상도까지 업스케일링하고 밝기와 명암비를 최적화함

○ 삼성전자 TV 패널에 따른 화질 엔진 등급

패널 종류화질 엔진
Micro LED마이크로 AI 프로세서
OLED
(QD-OLED)
뉴럴 퀀텀 프로세서 4K
Neo QLED
(mini LED QD-LCD)
뉴럴 퀀텀 프로세서 8K > 네오 퀀텀 프로세서 8K > 네오 퀀텀 프로세서 8K Lite > 네오 퀀텀 프로세서 4K > 네오 퀀텀 프로세서 4K Lite
QLED
(LED QD-LCD)
퀀텀 프로세서 8K > 퀀텀 프로세서 4K > 퀀텀 프로세서 4K Lite
LED
(LED TFT-LCD)
크리스탈 프로세서 4K > 하이퍼 리얼

관련 글

최종 업데이트: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