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쇼핑몰 웹 브라우저 사용 비율

웹 브라우저는 웹 페이지를 보여주는 소트프웨어로 크롬, 사파리, 웨일, 파이어폭스, 엣지, 오페라 등 다양한 브라우저가 있다. 데스크톱과 모바일 기기에는 각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기본 브라우저가 설치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기본 브라우저를 사용하지만, 소프트웨어에 관심이 있는 사용자는 브랜드 가치, UX(User Experience), UI(User Interface), 웹 페이지 로딩 속도, 웹 페이지 기능 등 자신의 취향에 맞는 브라우저를 별도로 설치해서 사용한다. 웹페이지는 브라우저의 종류와 버전에 관계없이 모든 사용자에게 같은 경험을 제공해야 하므로 브라우저 호환성을 고려해야 하는데 일반 사용자의 브라우저 버전 별 사용 비율에 대한 정보가 거의 없어서 어느정도 선까지 호환성을 고려해야 하는지 알기 어렵다. 브라우저 호환성 고려 시 기준점을 알려주고자 온라인 쇼핑몰 웹 브라우저 사용 비율을 작성했다.

주의사항
1. 웹 페이지 제작 시 브라우저 호환성을 고려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자료이다.
2. 온라인 쇼핑몰에 대한 정보는 공개할 수 없지만, 규모와 방문자의 특징이 있어야 참고 자료로써 가치가 있기 때문에 최소한의 정보만 대략적으로 기재했다.
3. 온라인 쇼핑몰 웹 브라우저 사용 비율에서 구글 Chromium을 기반으로 개발한 브라우저는 크롬으로 표시했다.
4. 온라인 쇼핑몰 웹 브라우저 사용 비율에서 크롬과 사파리의 일 단위의 세부 버전은 십 단위의 큰 버전으로 묶어서 표시했다.
5. 웹상의 정보를 종합해서 작성했기 때문에 사실과 다른 정보가 있을 수도 있다.

목차

  1. 온라인 쇼핑몰 기본 정보
  2. 온라인 쇼핑몰 웹 브라우저 사용 비율 주의사항
  3. 온라인 쇼핑몰 모바일 웹 브라우저 사용 비율
  4. 온라인 쇼핑몰 데스크톱 웹 브라우저 사용 비율
  5. 한국 웹 브라우저 사용 비율
Quick Menu

온라인 쇼핑몰 기본 정보

– 업종과 판매하는 상품에 대해선 공개할 수 없지만, 판매하는 상품 기준에서 국내 업계 1위 쇼핑몰이다.
– 2022년 1월부터 12월까지 매일 24시간 이내 중복 방문자 수를 제외했을 때 월 평균 약 46만명이 접속했다.
– 2022년 1월부터 12월까지 Mobile과 PC 접속 비율은 8.5 : 1.5이다.
– 회원 남녀 비율은 9.4 : 0.6이다.
– 회원 나이 비율은 20대와 30대가 약 60%이다.

온라인 쇼핑몰 웹 브라우저 사용 비율 주의사항

○ 데이터 분석

일별로 방문자의 브라우저 정보가 집계하므로 브라우저 호환성을 고려할 때 참고할만하다.

○ 통계 표 주의사항

– 표에서 공란은 사용자가 없다는 의미이고, 0.00%는 사용자 비율이 0.00% 미만이라는 의미이다.
– 표에서 파랑색 글씨는 방문수가 가장 높은 브라우저 버전이다.
– 표에서 주황색 글씨는 여전히 많은 방문수가 있어서 브라우저 호환성에 신경을 써야하는 브라우저 버전이다.

온라인 쇼핑몰 모바일 웹 브라우저 사용 비율

○ 모바일 웹 브라우저 버전 별 사용 비율

브라우저20182019202020212022
쇼핑몰 앱28.38%44.22%40.29%40.94%40.70%
네이버 앱34.62%23.40%23.98%30.30%33.15%
카카오톡 앱1.93%2.39%1.92%1.91%1.88%
다음 앱1.15%1.56%1.21%0.26%0.18%
네이트 앱0.05%0.05%0.04%0.03%0.02%
페이스북 앱0.08%0.06%0.03%0.03%0.02%
크롬 1000.00%3.92%
크롬 90   4.89%6.97%
크롬 80  4.53%6.43%0.15%
크롬 700.13%3.33%10.53%0.43%0.05%
크롬 604.95%6.49%0.31%0.06%0.02%
크롬 5013.57%0.51%0.09%0.02%0.00%
크롬 400.14%0.05%0.03%0.00%0.00%
크롬 300.47%0.17%0.03%0.00%0.00%
크롬 200.05%0.03%0.01%0.00%
크롬 100.00%0.00%0.00% 
사파리 162.51%
사파리 15   1.94%9.08%
사파리 14  2.88%10.69%1.01%
사파리 130.00%2.93%11.24%0.41%0.06%
사파리 122.68%13.18%0.68%0.13%0.03%
사파리 1110.20%0.76%0.07%0.01%0.00%
사파리 101.02%0.19%0.02%0.00%
사파리 90.20%0.26%0.07%0.01%
사파리 80.01%0.01%0.00%0.00%
사파리 70.08%0.30%1.93%1.33%
사파리 60.00%0.00%0.00%0.00%
사파리 50.00%0.00%0.00% 
사파리 40.00%0.00%0.00% 
사파리 30.00%0.00%0.00% 
사파리 20.00%   
파폭 1000.00%
파폭 90   0.00%0.00%
파폭 80  0.00%0.00%
파폭 70 0.00%0.00% 
파폭 600.00%0.01%0.01%
파폭 500.00%0.00%  
파폭 400.00%0.00%  
오페라 700.00%
오페라 60 0.00%0.00%0.00%0.00%
오페라 50 0.00%0.00% 
오페라 400.01%0.00%0.00% 
오페라 300.00%0.01%0.00% 
오페라 20 0.00%  
오페라 100.00%0.00%  
기타0.26%0.08%0.09%0.16%0.24%

모바일 기기 제조사가 매년 새로운 모바일 기기를 출시하고 OS를 업데이트하면서 브라우저 버전도 높아졌고 각 브라우저의 주 사용자층도 상대적으로 구 버전에서 신 버전으로 매년 꾸준하게 이동했다. 모바일 브라우저는 구 버전 호환성을 무시해도 될 만한 수준이다.

○ 모바일 웹 브라우저 별 사용 비율

브라우저20182019202020212022
66.20%71.68%67.47%73.47%75.95%
사파리14.20%17.63%16.90%11.82%12.71%
크롬19.32%10.58%15.53%14.53%11.10%
파폭0.01%0.02%0.01%0.01%0.00%
오페라0.01%0.01%0.00%0.00%0.00%
기타0.26%0.08%0.09%0.16%0.24%

쇼핑몰 앱과 네이버 앱의 사용자 비율이 많고 크롬과 사라피 브라우저의 사용자 비율은 상대적으로 매우 낮았다. 파이어폭스와 오페라 브라우저의 사용자 비율은 극히 낮아서 완전히 무시해도 된다.

온라인 쇼핑몰 데스크톱 웹 브라우저 사용 비율

○ 데스크톱 웹 브라우저 버전 별 사용 비율

브라우저20182019202020212022
익스 1154.74%54.97%40.16%18.80%6.08%
익스 101.95%0.83%0.26%0.05%0.02%
익스 91.01%0.74%0.20%0.20%0.12%
익스 82.79%0.21%0.04%0.01%
익스 70.68%2.19%1.33%
익스 60.00% 0.00%
엣지3.79%4.77%3.24%0.35%0.12%
크롬 1000.00%65.53%
크롬 90   50.92%22.16%
크롬 80 0.00%44.45%24.71%0.66%
크롬 704.68%32.76%6.75%0.60%0.16%
크롬 6025.81%0.71%0.17%0.04%
크롬 501.22%0.37%0.10%0.07%0.06%
크롬 400.89%0.36%0.17%0.12%0.03%
크롬 300.06%0.06%0.01%0.00%0.01%
크롬 200.08%0.02%0.00%
크롬 100.06%0.02%0.00%
사파리 160.46%
사파리 15   0.56%3.28%
사파리 14  0.49%2.66%0.38%
사파리 13 0.30%1.79%0.22%0.06%
사파리 120.17%0.69%0.10%0.03%0.02%
사파리 110.65%0.09%0.03%0.01%0.00%
사파리 100.10%0.04%0.02%0.01%0.00%
사파리 90.06%0.02%0.01%0.00%
사파리 80.01%0.01%0.00%0.00%
사파리 70.00%0.00%0.00%
사파리 60.01%0.00% 
사파리 50.00%0.00% 
사파리 40.00%   
파폭 1000.28%
파폭 90   0.19%0.13%
파폭 80  0.25%0.24%
파폭 70 0.06%0.01%0.01%
파폭 600.52%0.40%0.00%0.00%
파폭 500.23%0.01%0.00%
파폭 400.02%0.00%0.00%
파폭 300.00%0.00%0.00%
파폭 200.00%0.00%0.00% 
오페라 900.01%
오페라 800.01%0.00%
오페라 70  0.03%0.05%
오페라 60 0.06%0.05%0.00%
오페라 500.36%0.10%0.00%
오페라 400.01%0.00%0.00%
오페라 300.00%0.00%  
기타0.10%0.22%0.29%0.12%0.41%

마이크로소프트와 애플이 매년 OS를 업데이트하면서 브라우저 버전도 업데이트했고 각 브라우저의 주 사용자층도 상대적으로 구 버전에서 신 버전으로 매년 꾸준하게 이동했다. 2022년 12월부터 인터넷 익스플로러로 접속 시 엣지 브라우저로 강제 전환하기 시작했으므로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호환성은 완전히 무시해도 된다.

○ 데스크톱 웹 브라우저 별 사용 비율

브라우저20182019202020212022
익스61.17%58.94%42.00%19.05%6.22%
엣지3.79%4.77%3.24%0.35%0.12%
크롬32.80%34.30%51.66%76.45%88.61%
사파리1.00%1.15%2.46%3.48%4.21%
파폭0.77%0.48%0.26%0.44%0.42%
오페라0.37%0.16%0.08%0.06%0.01%
기타0.10%0.22%0.29%0.16%0.41%

마이크로소프트가 2015년 이후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업데이트를 중단했고 2022년 6월 15일에 완전히 서비스를 종료한다고 발표한 이후 인터넷 익스플로러 사용자가 꾸준히 감소했고, 2022년 12월부터 인터넷 익스플로러로 접속 시 엣지 브라우저로 강제 전환하기 시작했다.

한국 웹 브라우저 사용 비율

Statcounter는 한국에서 1억 9천만회 이상의 페이지 뷰를 기준으로 브라우저 정보를 집계하므로 브라우저 사용량은 알 수 있지만, 순 방문자 수에 따른 브라우저 사용 비율은 알 수 없기 때문에 브라우저 호환성을 고려할 때 참고자료로 보기에는 매우 부적절하고, 어느 사이트를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는지도 공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브라우저 사용량도 마냥 신뢰하기는 어렵다. 그래서 브라우저 버전 별 통계는 무의미해서 인용하지 않았고 브라우저 사용 비율만 대략적으로 표기했다.

○ 한국 모바일 웹 브라우저 사용 비율

브라우저2018201920202021
크롬52.1%39.6%39.4%38.5%
사파리26.3%24.5%21.1%23.0%
삼성 인터넷19.3%24.3%25.8%25.4%
웨일0.0%5.8%9.3%10.4%
퍼핀0.6%4.7%3.1%1.6%
오페라0.2%0.3%0.3%0.3%
파폭0.1%0.2%0.3%0.3%
안드1.0%0.4%0.2%0.1%
기타0.4%0.3%0.4%0.4%
파폭(파이어폭스), 안드(안드로이드)

Statcounter가 브라우저 정보를 수집하는 사이트 기준에서 삼성전자 모바일 기기에 탑재된 크롬과 삼성 인터넷이 매년 높은 사용 비율을 유지했고 웨일이 매년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 한국 데스크톱 웹 브라우저 사용 비율

브라우저2018201920202021
크롬59.9%68.0%70.0%69.7%
엣지3.1%4.2%7.4%13.3%
익스30.4%19.8%12.7%6.1%
웨일1.2%2.5%4.5%5.5%
사파리2.4%2.8%2.9%2.5%
파폭1.6%1.6%1.6%1.8%
오페라0.7%0.7%0.4%0.6%
기타0.8%0.4%0.4%0.5%

Statcounter가 브라우저 정보를 수집하는 사이트 기준에서 크롬은 매년 압도적으로 높은 사용 비율을 유지했고 엣지와 웨일은 매년 꾸준하게 성장세를 이어갔다.

Statcounter가 집계한 데이터와 실제 온라인 쇼핑몰 웹 브라우저 사용 비율을 비교하니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2021년 기준에서 데스크톱의 인터넷 익스플로러 사용 비율은 Statcounter가 6.1%라고 집계한 반면에 실제 온라인 쇼핑몰은 9.49%라고 집계했다. Statcounter가 집계한 인터넷 익스플로러 사용 비율이 더 적은 이유는 아직까지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고집하는 사람들의 대다수가 브라우저에 별 관심이 없는 반면에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은 상대적으로 브라우저에 관심이 더 많고 브라우저를 많이 이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출처

관련 글

최종 업데이트: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