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도비 프리미어 프로와 애플 파이널 컷 프로로 4K 60FPS HEVC 영상을 편집하기 위해 M1 Max 맥 스튜디오 2022 깡통와 M1 맥 미니 2020 풀옵션의 사양 및 성능 정보를 수집했고, 비교한 결과를 기록하고자 M1 Max 맥 스튜디오 2022 깡통 vs M1 맥 미니 2020 풀옵션 비교를 작성했다.
주의사항 1. 벤치마크는 성능 지표가 될 수 없으나 제품 구매 전에 그 이상의 정보는 얻을 수 없으므로 성능의 경향을 파악하고자 벤치마크 점수를 참고했다. 2. 웹상의 정보를 종합해서 작성했기 때문에 사실과 다른 정보가 있을 수도 있다.
목차
- M1 Max 맥 스튜디오 2022 깡통 vs M1 맥 미니 2020 풀옵션 사양 비교
- M1 Max 맥 스튜디오 2022 깡통 vs M1 맥 미니 2020 풀옵션 성능 비교 제품군
- M1 Max 맥 스튜디오 2022 깡통 vs M1 맥 미니 2020 풀옵션 성능 정보 수집 기준 날짜
- M1 Max 맥 스튜디오 2022 깡통 vs M1 맥 미니 2020 풀옵션 벤치마크 성능 비교
- M1 Max 맥 스튜디오 2022 깡통 vs M1 맥 미니 2020 풀옵션 리뷰어 성능 비교
- M1 Max 맥 스튜디오 2022 깡통 vs M1 맥 미니 2020 풀옵션 비교 결론
M1 Max 맥 스튜디오 2022 깡통 vs M1 맥 미니 2020 풀옵션 사양 비교
시리즈 | Mac Studio 2022 | Mac mini 2020 |
---|---|---|
출시일 | 2022.03 | 2020.11 |
시스템 온 칩 | M1 Max | M1 |
반도체 리소그래피 공정 기술 | TSMC 5nm 1세대 N5 | TSMC 5nm 1세대 N5 |
다이 크기 | 약 432mm² | 약 120mm² |
CPU 코어수 | 10코어 | 8코어 |
GPU 코어수 | 24코어 | 8코어 |
뉴럴엔진 코어수 | 16코어 | 16코어 |
RAM | 32GB | 16GB |
미디어 코덱 | ProRes RAW ProRes HEVC H.264 | HEVC H.264 |
ProRes 디코딩/인코딩 엔진 | 2개 | – |
디코딩 엔진 | 1개 | 1개 |
인코딩 엔진 | 2개 | 1개 |
SSD | 1TB | 1TB |
와이파이 | 802.11ax | 802.11ax |
블루투스 | 5.0버전 | 5.0버전 |
이더넷 | 10Gbps | 10Gbps |
전면 USB 3.2 Gen2 10Gbps USB-C | 2개 | – |
전면 SDXC UHS-II SD카드 | 1개 | – |
후면 USB4/썬더볼트4 40Gbps USB-C | 4개 | – |
후면 USB4/썬더볼트3 40Gbps USB-C | – | 2개 |
후면 USB 3.0 5Gbps USB-A | 2개 | 2개 |
후면 HDMI 2.0 | 1개 | 1개 |
후면 3.5mm 헤드폰잭 | 1개 | 1개 |
가로 길이 | 197mm | 197mm |
세로 길이 | 197mm | 197mm |
두께 | 95mm | 36mm |
최대 출력 | 370W | 150W |
작동 온도 | 10 ~ 35℃ | 10 ~ 35℃ |
보관 온도 | -40 ~ 47℃ | -40 ~ 47℃ |
상대 습도 | 5 ~ 90% | 5 ~ 90% |
작동 고도 | 5,000m | 5,000m |
무상 기술 지원 | 90일 | 90일 |
제한 보증 | 1년 | 1년 |
구성품 | Mac Studio 전원 코드 | Mac mini 전원 코드 |
공식 가격 | 2,960,000원 | 1,835,000원 |
○ 반도체 리소그래피 공정 기술

1. TSMC N5 공정
2019년 3월에 TSMC가 5nm (N5) 웨이퍼에 대한 위험 생산(Risk Production)을 시작했고, 2019년 9월에 TSMC가 5nm (N5) 공정으로 Apple A14 Bionic SoC의 엔지니어링 샘플을 제조했고, 2020년 4월에 TSMC가 5nm (N5) 웨이퍼 양산을 시작했다. 위험 생산은 웨이퍼의 생산 과정에서 성능과 수율에 사소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불완전한 상황에서 작동하지 않을 수 있는 웨이퍼를 매우 높은 비용으로 생산하는 최종 점검 단계이다.
2020년 9월에 애플이 TSMC 5nm (N5) 공정으로 제조한 Apple A14 Bionic SoC를 공개하면서 Apple A14 Bionic SoC를 탑재한 아이패드 에어 4세대를 출시했고, 2020년 10월에 Apple A14 Bionic SoC를 탑재한 Apple iPhone 12를 출시했고, 2020년 11월에 애플이 Apple A14 Bionic SoC의 마이크로아키텍처인 Firestorm와 Icestorm을 기반으로 개발하고 TSMC 5nm (N5) 공정으로 제조한 Apple M1을 공개하면서 Apple M1을 탑재한 맥북 프로 13인치 2020, 맥북 에어 2020, 맥 미니 2020을 출시했다.
그리고 2021년 10월에 애플이 TSMC 5nm (N5) 공정으로 제조한 Apple M1 Pro와 Apple M1 Max를 공개하면서 Apple M1 Pro와 Apple M1 Max를 탑재한 맥북 프로 2021 16인치와 Apple M1 Pro를 탑재한 맥북 프로 2021 14인치를 출시했고, 2022년 3월에 애플이 TSMC 5nm (N5) 공정으로 제조한 Apple M1 Ultra를 공개하면서 Apple M1 Max와 Apple M1 Ultra를 탑재한 맥 스튜디오 2022를 출시했다.
2. TSMC N5P 공정
2020년 8월에 TSMC가 TSMC 1세대 5nm (N5) 공정보다 전력 소모가 10% 낮고 성능이 5% 높은 TSMC 2세대 5nm (N5P) 공정을 개발 중이라고 했고, 2020년 중에 TSMC가 5nm (N5P) 웨이퍼에 대한 위험 생산을 시작했고, 2021년 4월에 TSMC가 5nm (N5P) 웨이퍼 양산을 시작했다.
2021년 9월에 애플이 TSMC 5nm (N5P) 공정으로 제조한 Apple A15 Bionic SoC를 공개했고, 2022년 6월에 애플이 Apple A15 Bionic SoC를 기반으로 개발하고 TSMC 5nm (N5P) 공정으로 제조한 Apple M2를 공개하면서 Apple M2를 탑재한 맥북 프로 2022 13인치를 출시했고, 2022년 7월에 애플이 Apple M2를 탑재한 맥북 에어 2022를 출시했다.
○ 시스템 온 칩

Apple M1은 애플이 노트북용으로 개발한 프로세서로 기존에 개발한 모바일 프로세서처럼 소형 모바일 기기에 들어가도록 크기를 제한할 필요가 없다 보니 CPU, GPU, 메모리, 뉴럴 엔진 외에 최고의 보안을 위한 애플 보안 엔클레이브(Secure Enclave), AES 하드웨어 암호화 기능을 내장한 SSD 컨트롤러, 고성능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 ISP), 미디어 인코딩 및 디코딩 엔진, USB4와 최대 40Gbps를 지원하는 썬더볼트 3 컨트롤러까지 단 하나의 칩에 통합했다.
Apple M1 Pro는 애플이 노트북용으로 개발한 고성능 프로세서로 Apple M1 대비 CPU 코어 수를 1.25배로 늘리고, GPU 코어 수를 옵션에 따라 1.75배 또는 2배로 늘리고, 메모리 용량을 옵션에 따라 2배로 늘리고, 기존의 썬더볼트 컨트롤러를 USB4와 썬더볼트 4 컨트롤러로 변경하고, ProRes 디코딩/인코딩 엔진 1개, 외부 디스플레이 여러 대를 구동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엔진을 추가로 통합했다.
Apple M1 Max는 애플이 프로 노트북용으로 개발한 고성능 프로세서로 Apple M1 대비 CPU 코어 수를 1.25배로 늘리고, GPU 코어 수를 옵션에 따라 3배 또는 4배로 늘리고, 메모리 용량을 옵션에 따라 2배 또는 4배로 늘리고, 기존의 썬더볼트 컨트롤러를 USB4와 썬더볼트 4 컨터롤러로 변경하고, ProRes 디코딩/인코딩 엔진 2개와 인코딩 엔진 1개, 외부 디스플레이 여러 대를 구동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엔진을 추가로 통합했다.
Apple M1 Ultra는 애플이 데스크톱용으로 개발한 초고성능 프로세서로 Apple M1 Max 2개를 애플 울트라퓨전 페이징 아키텍처(UltraFusion Packaging Architecture)로 연결해서 Apple M1 대비 CPU 코어 수를 2.5배로 늘리고, GPU 코어 수를 옵션에 따라 6배 또는 8배로 늘리고, 메모리 용량을 옵션에 따라 4배 또는 8배로 늘리고, 뉴럴 엔진 코어 수를 2배 늘리고, 기존의 썬더볼트 컨트롤러를 USB4와 썬더볼트 4 컨터롤러로 변경하고, ProRes 디코딩/인코딩 엔진 4개와 디코딩 엔진 1개, 인코딩 엔진 3개, 외부 디스플레이 여러 대를 구동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엔진을 추가로 통합했다.
1. 기본 정보
시리즈 | A14 Bionic | M1 | M1 Pro | M1 Max | M1 Ultra |
---|---|---|---|---|---|
출시일 | 20.09 | 20.11 | 21.10 | 21.10 | 22.03 |
제조 공정 | TSMC 5nm (N5) | TSMC 5nm (N5) | TSMC 5nm (N5) | TSMC 5nm (N5) | TSMC 5nm (N5) |
다이 크기 | 약 88mm² | 약 120mm² | 약 245mm² | 약 432mm² | (비공개) |
트랜지스터 수 | 11.8billion | 16billion | 33.7billion | 57billion | 114billion |
CPU 코어수 | 6 | 8 | 8/10 | 10 | 20 |
CPU 캐시 | 12MB | 16MB | 28MB | 28MB | 56MB |
GPU 아키텍처 | G13 | G13G | G13GX | G13GX | G13GX |
GPU 코어수 | 4 | 7/8 | 14/16 | 24/32 | 48/64 |
GPU 코어 최대클럭 MHz | (비공개) | 1,278 | 1,296 | 1,296 | 1,296 |
시스템 캐시 | 16MB | 8MB | 24MB | 48MB | 96MB |
NPU 코어수 | 16 | 16 | 16 | 16 | 32 |
메모리 | LPDDR4X | LPDDR4X | LPDDR5 | LPDDR5 | LPDDR5 |
메모리 최대 클럭 | 4,200MHz | 4,266MHz | 6,400MHz | 6,400MHz | 6,400MHz |
메모리 버스 | 64bit | 128bit | 256bit | 512bit | 1,024bit |
메모리 용량 | 4/6GB | 8/16GB | 16/32GB | 32/64GB | 64/128GB |
메모리 최대 대역폭 | 42GB/s | 68GB/s | 200GB/s | 400GB/s | 800GB/s |
2. Firestorm 코어
ARMv8.5-A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개발한 고성능 마이크로아키텍처이다.
시리즈 | A14 Bionic | M1 | M1 Pro | M1 Max | M1 Ultra |
---|---|---|---|---|---|
코어수 | 2 | 4 | 6/8 | 8 | 16 |
최대클럭 GHz | 2.99 | 3.2 | 3.23 | 3.23 | 3.23 |
L1 명령 캐시 | 192KB | 192KB | 192KB | 192KB | 192KB |
L1 데이터 캐시 | 128KB | 128KB | 128KB | 128KB | 128KB |
L2 공유 캐시 | 8MB | 12MB | 24MB | 24MB | 48MB |
3. Icestorm 코어
ARMv8.5-A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개발한 저전력 마이크로아키텍처이다.
시리즈 | A14 Bionic | M1 | M1 Pro | M1 Max | M1 Ultra |
---|---|---|---|---|---|
코어수 | 4 | 4 | 2 | 2 | 4 |
최대클럭 GHz | 1.82 | 2.06 | 2.06 | 2.06 | 2.06 |
L1 명령 캐시 | 128KB | 128KB | 128KB | 128KB | 128KB |
L1 데이터 캐시 | 64KB | 64KB | 64KB | 64KB | 64KB |
L2 공유 캐시 | 4MB | 4MB | 4MB | 4MB | 8MB |
○ RAM
구분 | Mac Studio 2022 | Mac mini 2020 |
---|---|---|
시스템 온 칩 | M1 Max | M1 |
메모리 | LPDDR5 | LPDDR4X |
최대 전송 속도 | 6,400Mbps | 4,266Mbps |
최대 대역폭 | 400GB/s | 68GB/s |
지원 용량 | 32GB 64GB | 8GB 16GB |
선택 용량 | 32GB | 16GB |
애플 실리콘 칩은 CPU, GPU, Neural Engine 등 다양한 구성 요소가 단 하나의 칩에 통합된 형태로 CPU, GPU, Neural Engine이 같은 메모리를 공유한다. 그래서 그래픽 리소스와 같은 데이터를 처리할 때 일반적인 윈도우 컴퓨터처럼 CPU, RAM, GPU, VRAM이 PCIe 버스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애플 실리콘의 통합 메모리 아키텍처(Unified Memory Architecture, UMA)를 통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공유하므로 물리적으로든 이론적으로든 일반적인 윈도우 컴퓨터보다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빠르다.
다만 일반적인 윈도우 컴퓨터는 RAM과 그래픽카드에 내장된 VRAM을 별도로 사용하는 만큼 메모리 용량이 넉넉하지만, 애플 실리콘 칩을 탑재한 컴퓨터는 공유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 치고는 RAM 용량이 작고, RAM 여유 용량이 부족할 때 SSD의 일부 공간을 가상 메모리로 사용해서 메모리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데 SSD는 작동 속도가 RAM보다 훨씬 느리므로 소프트웨어가 가상 메모리를 사용하면 전체 데이터 처리 속도가 가상 메모리 작동 속도에 맞춰져서 느려질 수 밖에 없고, SSD의 일부 공간을 가상 메모리로 사용할 때 SSD의 캐시를 모두 사용하면 전체 데이터 처리 속도가 극단적으로 낮아질 수 있다. 그리고 가상 메모리를 사용하는 만큼 SSD에서 쓰기/삭제 작업이 빈번하게 이뤄져서 SSD의 수명이 더 빠르게 감소한다.
즉 애플 실리콘 칩을 탑재한 컴퓨터는 일반적인 윈도우 컴퓨터보다 RAM 용량의 중요도가 훨씬 더 높아진 만큼 가능한 한 높은 RAM 용량을 선택해야 한다.
참고로 2021년 2월에 M1 맥 미니 2020 사용자가 SSD의 물리적인 수명을 걱정해야 할 수준으로 SSD 가상 메모리 사용 빈도가 높은 문제를 발견했고, 2021년 5월 24일에 애플이 맥 OS를 macOS Big Sur 11.4 버전으로 업데이트하면서 SSD 사용 빈도 모니터링 오류를 수정했다는 ‘루머’가 있었는데, 애플은 단 한 번도 이 ‘루머’에 대해 공식적으로 언급하지 않았고, 실제 문제가 발생한 사용자도 극소수에 불과하고, 모든 사용자가 해당 문제를 재현할 수 없는 만큼 SSD 메모리 스왑 빈도가 높다는 루머를 심각하게 받아들일 필요는 없다.
○ SSD
구분 | Mac Studio 2022 | Mac mini 2020 |
---|---|---|
컨트롤러 | M1 Max | M1 |
인터페이스 | PCIe | 온보드 |
프로토콜 | NVMe | NVMe |
낸드플래시 메모리 | (비공개) | (비공개) |
데이터 저장 방식 | (비공개) | (비공개) |
지원 용량 | 512GB 1TB 2TB 4TB 8TB | 256GB 512GB 1TB 2TB |
선택 용량 | 1TB | 1TB |
SSD의 낸드 플래시 메모리에 데이터를 쓸 때는 셀이 여러 개 모인 페이지 단위로 작업하고, 데이터를 삭제할 때는 페이지가 여러 개 모인 블록 단위로 작업한다. 다만 페이지에 데이터를 쓸 때는 반드시 빈 페이지에만 데이터를 쓸 수 있으므로 페이지에 이미 어느 정도 데이터가 채워진 상황에서 새로운 데이터를 쓰려면 해당 페이지를 모두 비워야 하므로 해당 페이지가 포함된 블록의 데이터를 모두 캐시로 옮긴 후 기존 데이터와 새로운 데이터를 결합하고 다시 페이지 단위로 쓰기 작업을 한다. 그래서 SSD 여유 용량이 충분하다면 작동 속도에 문제가 없지만, 여유 용량이 충분하지 않다면 페이지나 블록을 캐시로 옮기고 데이터를 결합하고 다시 쓰기를 하는 모든 작업이 느려지므로 SSD 전체 용량의 약 20~30%는 여유 용량으로 둬야 한다.
그리고 셀에 데이터를 쓰고 삭제할 때마다 물리적으로 셀의 산화막에 전자가 축적되고 일정량 이상의 전자가 축적되면 셀에 인가 전압을 높여도 전자가 더 이동하지 못해서 사실상 셀 수명이 다하는데 ‘일반적인’ SSD는 이와 같은 수명 저하 빈도를 낮추기 위해 일부 셀만 집중적으로 사용하기보다는 전체 셀을 골고루 사용하고, 애플 실리콘 칩은 RAM의 여유 용량이 부족할 때 SSD의 일부 용량을 가상 메모리로 사용하므로 SSD의 용량이 클수록 SSD의 수명이 길어진다.
그리고 SSD는 용량이 클수록 낸드 플래시 메모리 1개의 용량이 커지는 게 아니라 일정한 용량의 낸드 플래시 메모리를 필요한 개수만큼 추가로 장착하는 방식으로 용량을 늘리는데, ‘일반적인 SSD’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채널, 패키지, 칩, 플레인과 같은 여러 가지 레벨을 병렬로 동시에 처리할 수 있어서 낸드 플래시 메모리를 여러 개 장착하면 낸드 플래시 메모리를 장착한 개수만큼 채널 대역폭이 증가해서 낸드 플래시 메모리를 하나만 장착한 SSD보다 읽기, 쓰기, 삭제 속도가 빠르다.
결과적으로 SSD는 용량이 증가할수록 속도가 빨라지고, 수명이 증가하고, 실제 사용할 수 있는 용량이 넉넉해지므로 맥 스튜디오 2022와 맥 미니 2020처럼 기본적으로 SSD 교체가 불가능한 컴퓨터를 구매할 때는 가능한 한 높은 용량 옵션을 선택해야 한다.
참고로 맥 스튜디오 2022의 SSD는 PCIe 인터페이스인 만큼 메인보드에서 분리할 수 있지만, ‘일반적인 SSD’와 물리적인 구조와 작동 방식이 다르고, SSD를 분리해서 같은 사양의 다른 맥 스튜디오 2022에 장착했을 때 소프트웨어 제한으로 인해 맥 스튜디오 2022가 작동하지 않으므로 사실상 SSD 교체가 불가능하다고 보면 된다.
○ SSD 용량 변경 옵션
용량 | Mac Studio 2022 | Mac mini 2020 |
---|---|---|
512GB | 기본 사양 | 기본 사양 |
1TB 변경 | + 270,000 | + 270,000 |
2TB 변경 | + 810,000 | + 810,000 |
4TB 변경 | + 1,620,000 | 미지원 |
8TB 변경 | + 3,240,000 | 미지원 |
1. M1 Max 맥 스튜디오 2022
1TB 용량 기준에서 쓰기 속도가 약 5,200MB/s이고, 읽기 속도가 약 5,500MB/s이므로 PCIe 4.0 x4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NVMe SSD와 유사한 성능이다. 다만 PCIe 4.0 x4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NVMe SSD’의 512GB와 1TB 가격 차는 약 60,000원 ~ 80,000원 정도이지만, 애플은 270,000원이므로 매우 비싸다.
애플 맥 스튜디오 2022의 용량 업그레이드 가격이 너무 비싸서 외장 SSD를 고려할 수도 있지만, 40Gbps를 지원하는 외장 SSD 케이스와 PCIe 4.0 x4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SSD를 사용하더라도 맥 스튜디오 2022에 내장된 SSD의 작동 속도보다 느린데다 구매 가격은 오히려 조금 더 비싸므로 1TB 용량만 필요하다면 맥 스튜디오 2022를 구매할 때 SSD 용량을 업그레이드 하는 게 최선이다.
2. M1 맥 미니 2020
512GB 용량 기준에서 쓰기 속도가 약 2,300MB/s이고, 읽기 속도가 약 2,700MB/s 이므로 PCIe 3.0 x4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NVMe SSD와 유사한 성능이다. 다만 PCIe 3.0 x4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NVMe SSD’의 512GB와 1TB 가격 차는 약 50,000원 ~ 70,000원 정도이지만, 애플은 270,000원이므로 매우 비싸다.
애플 맥 미니 2020의 용량 업그레이드 가격이 너무 비싸서 외장 SSD를 고려할 수 있는데, 40Gbps를 지원하는 외장 SSD 케이스와 PCIe 4.0 x4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SSD를 사용하면 맥 미니 2020에 내장된 SSD의 작동 속도와 유사하므로 1TB 용량만 필요하다면 맥 미니 2020을 구매할 때 SSD 용량을 업그레이드하는 게 최선이지만, 2TB 이상의 용량이 필요하다면 외장 SSD를 사용하는 게 훨씬 더 저렴하다.
○ 가격
구분 | Mac Studio 2022 | Mac mini 2020 |
---|---|---|
기본 가격 | 2,690,000 | 1,160,000 |
SSD 1TB 변경 | + 270,000 | + 270,000 |
10기가비트 이더넷 변경 | + 0 | + 135,000 |
메모리 변경 | + 0 | + 270,000 |
구매 가격 | 2,960,000 | 1,835,000 |
애플은 국가별로 출시일 부근의 환율 수준에 가격을 정하며 이후 웬만해선 가격을 조정하지 않지만, 환율이 급격히 높아진 상태가 지속되면 제품, 제품 옵션, 앱스토어 중에서 일부 가격을 높인다.
2021년 11월에 터키에서 아이폰, 아이패드, 애플워치, 맥북 에어, 맥북 프로, 맥 미니, 아이맥, 에어팟 등 대부분의 애플 제품 가격을 높였고, 2022년 4월에 스페인에서 M1을 탑재한 맥북 에어 2020의 가격을 높였고, 2022년 6월에 일본에서 아이폰, 아이패드, 애플 워치의 가격을 높였고, 2022년 10월에 유럽, 아시아, 남미 일부 국가에서 앱스토어 가격을 높였고, 2022년 10월에 미국에서 아이폰 14의 달러 가격을 동결했지만, 한국은 높은 환율로 인해 아이폰 13보다 최대 27만원이 높아졌다. 그리고 2022년 10월에 아이패드, 매직 키보드, 애플 펜슬의 가격을 인상했고 미국에서 M2 아이패드 프로의 달러 가격을 동결했지만, 한국은 높은 환율로 인해 M1 아이패드보다 최대 35만원이 높아졌다.
한국 환율은 2022년 2월까지는 1,200원 초반대를 유지했으나 2022년 3월부터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리기 시작하면서 2022년 4월부터는 1,200원대에서 변동 폭이 커지더니 2022년 5월과 6월에는 1,200원대와 1,300원대를 오가다가 2022년 7월에는 1,300원대에 진입했고, 2022년 8월까지는 1,400원 밑으로 겨우 방어하다가 2022년 9월에는 결국 1,400원대로 진입했고, 2022년 10월까지 고환율을 유지하다가 2022년 11월에 1,300원 중후반대로 내렸고, 2022년 12월에 1,300원 초반대로 내렸고, 2023년 1월에는 1,200원대 중후반대를 유지하고 있다.
M1 Max 맥 스튜디오 2022의 원화 가격에 적용된 환율은 1,223.339원으로 제품이 출시한 2022년 3월 평균 환율인 1243.176원과 비슷하고, M1 맥 미니 2020의 원화 가격에 적용된 환율은 1173.021원으로 제품이 출시한 2020년 11월 평균 환율인 1135.607원과 비슷하고, RAM을 8GB에서 16GB로 업그레이드하는 원화 가격에 적용된 환율과 SSD를 512GB에서 1TB로 업그레이드하는 원화 가격에 적용된 환율은 1227.273원이므로 한국에서 높은 환율이 지속되면 한국에서 판매 중인 애플 제품의 가격도 인상될 가능성이 있다.
2022년 10월에 출시한 아이폰 14 기본형의 원화 가격에 적용된 환율은 1422.232원으로 2022년 9월 평균 환율인 1415.936원과 2022년 10월 7일 환율인 1428원과 비슷한 만큼 한국에서 판매 중인 맥 스튜디오나 맥 미니에 고환율을 반영해서 가격을 높이면 M1 Max 맥 스튜디오 2022의 기본 가격은 2,690,000원에서 3,127,345원으로 높아질 수 있고, M1 맥 미니 2020의 기본 가격은 1,160,000원에서 1,406,444원으로 높아질 수 있다. 물론 가격이 변경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적어도 당분간 가격이 내려갈 가능성은 없는 만큼 애플 제품이 필요하다면 지금이 구매 적기이다.
M1 Max 맥 스튜디오 2022 깡통 vs M1 맥 미니 2020 풀옵션 성능 비교 제품군
○ 벤치마크 비교 제품군
벤치마크 소프트웨어 중에서 퓨젯 시스템의 어도비 프리미어 프로 벤치마크 툴은 벤치마크 기준 시스템 대비 테스트 컴퓨터의 성능을 알려주므로 벤치마크 기준 시스템, M1 Max 맥 스튜디오 2022 깡통, M1 맥 미니 2020 풀옵션을 비교했다.
구분 | 벤치마크 기준 시스템 | 맥 스튜디오 2022 | 맥 미니 2020 |
---|---|---|---|
CPU | 5900X | M1 Max | M1 |
CPU 코어수 | 12 | 10 | 8 |
CPU 쿨러 | (녹투아 공랭) | – | – |
GPU | RTX 3080 | M1 Max | M1 |
GPU 코어수 | 8,704 | 24 | 8 |
메인보드 | (ASUS ProArt) | – | – |
RAM | (Samsung) 64GB | 32GB | 16GB |
SSD | (ADATA) 1TB | 1TB | 1TB |
SSD 최대 쓰기 속도 | 2,100 MB/s | 4,200 ~ 4,700 MB/s | 2,400 ~ 2900 Mb/s |
파워 | (고효율 파워) | – | – |
케이스 | (리안리 미니타워) | – | – |
가격 | 2,840,000원 | 2,960,000원 | 1,835,000원 |
최저가 | 2,386,000원 | 2,870,000원 | 1,765,000원 |
퓨젯 시스템의 벤치마크 기준 시스템은 AMD Ryzen 5900X, NVIDIA GeForce RTX 3080 10GB, 64GB RAM, Samsung 960 Pro 1TB, Windows 10 Pro, Adobe Premiere Pro 2020 (14.8버전)인데, 세 가지 시스템의 가성비를 비교하기 위해 벤치마크 기준 시스템의 CPU를 제외한 나머지 하드웨어는 애플 컴퓨터가 추구하는 방향에 맞춰 임의로 선정했다.
CPU 쿨러는 공랭 쿨러와 수랭 쿨러로 구분되는데 수랭 쿨러는 일반적으로 제품 보증 기간까지 사용하고 새 제품으로 교체해야 하므로 공랭 쿨러 중에서 소음이 낮고 한여름에도 5900X의 발열을 감당할 수 있는 녹투아 제품을 선택했고, 그래픽 카드는 RTX 3080 최저가 제품인 기가바이트 제품을 선택했고, 메인보드는 애플 컴퓨터처럼 10기가비트 LAN, 와이파이, 블루투스, 썬더볼트를 지원하는 에이수스 ProArt X570 제품을 선택했고, 메모리는 삼성전자 16GB 3,200MHz RAM 네 개를 선택했고, SSD는 벤치마크 기준 시스템에 장착된 제품이 단종되어 쓰기 속도가 2,000MB/s로 벤치마크 기준 시스템보다 100MB/s 더 느린 ADATA 1TB 제품을 선택했고, 파워는 RTX 3080의 권장 파워 용량을 준수하고 애플 컴퓨터처럼 효율이 높은 FPS 750W 80PLUS 플래티넘 제품을 선택했고, 케이스는 모든 부품을 장착할 수 있으면서도 가능한 한 크기가 작은 리안리 제품을 선택했다. 이 경우 카드 결제 기준 최저가로 2,840,000원이다.
다만 사용자에 따라 윈도우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굳이 애플 컴퓨터의 방향성에 부합하는 하드웨어를 구성해야 할 필요성을 못 느낄 수도 있으므로 애플 컴퓨터가 추구하는 방향성과 일부 기능을 포기하고 가성비를 최우선으로 하드웨어를 구성한다면 메인보드를 기가바이트 X570S AORUS PRO AX 제품으로 변경하고, 메모리를 ADATA 16GB 3,200MHz RAM 네 개로 변경하고, SSD를 쓰기 속도가 1,800MB/s인 마이크론 Crucial P2 1TB 제품으로 변경하고, 파워를 에이수스 TUF 게이밍 750W 80PLUS BRONZE 제품으로 변경하고, 케이스를 마이크로닉스 마스터 M60 메쉬 케이스로 변경할 수 있고, 메인보드 기능 중에서 와이파이와 블루투스를 포기하면 가격을 최대 150,000원 정도 더 낮출 수 있다. 이 경우 카드 결제 기준 최저가로 2,386,000원이다.
M1 Max 맥 스튜디오 2022 깡통과 M1 맥 미니 2020 풀옵션의 최저가는 애플 공식 홈페이지가 아닌 일반 소매점에서 CTO(Configure To Order)로 주문했을 때 카드 결제 기준 최저가이다.
○ 실제 성능 추정 시 비교 제품군
M1 Max 맥 스튜디오 2022 깡통 사용자와 M1 맥 미니 2020 풀옵션 사용자가 퓨젯 시스템의 어도비 프리미어 프로 벤치마크 툴로 성능을 확인했고, 퓨젯 시스템에서 퓨젯 시스템 벤치마크 기준 시스템과 내가 사용 중인 메인 컴퓨터의 성능을 확인했으므로 내가 사용 중인 메인 컴퓨터의 점수를 보고 M1 Max 맥 스튜디오 2022 깡통이나 M1 맥 미니 2020 풀옵션의 성능이 어느 정도 수준인지 짐작할 수 있다.
내가 사용 중인 메인 컴퓨터의 어도비 프리미어 프로 성능은 15분 길이의 4K 60FPS 130Mbps HEVC 영상 클립 여러 개를 컷 편집만 할 때는 아무 문제가 없지만, 네 가지 영상을 4분할 재생하거나 간단한 효과를 추가할 때부터는 라이브 재생이 조금 버벅거리고, 컬러 보정, 손떨림 보정 등 높은 자원을 소모하는 효과를 추가할 때부터는 라이브 재생의 화질을 1/8로 낮춰야 편집을 할 수 있다.
구분 | 벤치마크 기준 시스템 | 내가 사용 중인 메인 컴퓨터 |
---|---|---|
CPU | 5900X | 3900X |
RAM | 64GB | 32GB |
VGA | RTX 3080 | RTX 3070 |
SSD 쓰기 속도 | 2,100 MB/s | 2,700 MB/s |
SSD 용량 | 1TB | 1TB |
퓨젯 시스템의 어도비 프리미어 프로 CPU 벤치마크는 RTX 3080, 64GB RAM, 삼성 960 PRO 1TB SSD 사양에서 CPU만 변경해서 벤치마크 점수를 측정하는데 종합 점수는 3900X가 5900X보다 약 4.4% 정도 낮고, 라이브 재생 성능 점수는 3900X가 5900X보다 약 2.4% 낮고, 내보내기 성능 점수는 3900X가 5900X보다 약 5.9% 낮다. 영상 제작 업체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내보내기 성능은 아주 조금 차이가 있지만, 실제 편집을 할 때 가장 중요한 라이브 재생 성능의 거의 차이가 없으므로 어도비 프리미어 프로로 영상 편집을 하는 사람 기준에서 5900X와 3900X의 성능 차는 거의 없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퓨젯 시스템의 어도비 프리미어 프로 GPU 벤치마크는 3970X, 64GB RAM, 삼성 960 PRO 1TB SSD 사양에서 GPU만 변경해서 벤치마크 점수를 측정하는데 종합 점수는 RTX 3070이 RTX 3080 대비 약 3.6% 낮고, 라이브 재생 점수는 RTX 3070이 RTX 3080 대비 약 2% 높고, 내보내기 성능 점수는 RTX 3070이 RTX 3080 대비 약 7% 낮다. 영상 제작 업체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내보내기 성능은 아주 조금 차이가 있지만, 실제 편집 시 가장 중요한 라이브 재생 성능은 RTX 3070이 RTX 3080보다 겨우 2% 높고 벤치마크 오차 범위를 고려하면 어도비 프리미어 프로로 영상 편집을 하는 사람 기준에서 RTX 3080과 RTX 3070의 성능 차는 거의 없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퓨젯 시스템의 어도비 프리미어 프로 RAM 벤치마크는 RTX 2080 Ti, 삼성 960 PRO 1TB SSD 사양에서 CPU와 RAM을 변경하면서 벤치마크 점수를 측정하는데 3900X에서는 RAM 용량에 따른 성능 격차가 아주 미비하고 2,666MHz CL16보다 3,600MHz CL16이 약 5% 정도 더 높다. 벤치마크 기준 시스템의 RAM 속도가 비공개이고, 내가 사용 중인 메인 컴퓨터의 RAM 속도가 3,200MHz이므로 퓨젯 시스템의 어도비 프리미어 프로 RAM 벤치마크 결과만으로 벤치마크 기준 시스템과 내가 사용 중인 메인 컴퓨터의 성능 경향을 추정할 수 없지만, 2,666MHz와 3,200MHz 는 속도 차이가 작고 일반적인 RAM의 CL 수치는 CL19로 CL16보다 느리므로 어도비 프리미어 프로로 영상 편집을 하는 사람 기준에서 벤치마크 기준 시스템과 내가 사용 중인 메인 컴퓨터 사이의 RAM 성능 차이는 거의 없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퓨젯 시스템의 어도비 프리미어 프로 디스크 벤치마크는 하드디스크, SATA SSD, NVMe SSD에 따른 작업 성능을 테스트하는데 하드디스크와 SSD는 유의미한 성능 차이가 있지만, SATA SSD와 NVMe SSD는 성능 차이가 없으므로 어도비 프리미어 프로로 영상 편집을 하는 사람 기준에서 벤치마크 기준 시스템의 SSD 속도인 2,100MB/s와 내가 사용 중인 메인 컴퓨터의 SSD 속도인 2,700MB/s에 따른 성능 차이는 없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M1 Max 맥 스튜디오 2022 깡통 vs M1 맥 미니 2020 풀옵션 성능 정보 수집 기준 날짜
○ 어도비 프리미어 프로
애플 M1을 탑재한 맥북 에어 2020, 맥북 프로 13인치 2020, 맥 미니 2020는 2020년 11월 17일에 출시했지만, 어도비 프리미어 프로는 2021년 7월 20일에 업데이트한 Adobe Premiere Pro 2021 15.4버전부터 애플 M1을 정식 지원했고, 2021년 12월 13일에 업데이트한 Adobe Premiere Pro 2021 22.1.1버전부터 애플 M1에서의 HEVC 하드웨어 가속을 지원했고, 2022년 5월 10일에 업데이트한 Adobe Premiere Pro 2022 22.4버전에서 애플 실리콘에서의 10비트 HEVC 내보내기 성능을 최적화했고, 2022년 6월 22일에 업데이트한 Adobe Premiere Pro 2022 22.5버전에서 애플 M1의 H.264/HEVC 하드웨어 가속 성능을 최적화했다.
그리고 애플 M1 Pro 및 M1 Max를 탑재한 맥북 프로 2021은 2021년 10월 26일에 출시했지만, 어도비 프리미어 프로는 2021년 12월 13일에 업데이트한 Adobe Premiere Pro 2021 22.1.1버전부터 애플 M1 Pro 및 M1 Max에 대한 ProRes 코덱의 하드웨어 가속을 지원했다.
시스템 온 칩 | 최적화 업데이트 |
---|---|
Apple M1 | Photoshop – 2021년 3월 10일 Premiere Pro – 2021년 12월 13일 |
Apple M1 Pro Apple M1 Max | Premiere Pro – 2021년 12월 13일 |
○ 애플 파이널 컷 프로
애플 M1을 탑재한 맥북 에어 2020, 맥북 프로 13인치 2020, 맥 미니 2020는 2020년 11월 17일에 출시했는데 애플 파이널 컷 프로는 애플 M1 하드웨어 출시 5일 전인 2020년 11월 12일에 업데이트한 Apple Final Cut Pro 10.5버전부터 애플 M1을 정식 지원했고, 2021년 10월 18일에 업데이트한 Apple Final Cut Pro 10.6버전에서 애플 실리콘의 성능을 최적화했다.
그리고 애플 M1 Pro와 M1 Max를 탑재한 맥북 프로 2021는 2021년 10월 26일에 출시했지만, 애플 파이널 컷 프로는 별도의 최적화 업데이트를 하지 않았고, 애플 M1 Max와 M1 Ultra를 탑재한 맥 스튜디오 2022는 2022년 3월 18일에 출시했지만, 애플 파이널 컷 프로는 2022년 4월 12일에 업데이트한 Apple Final Cut Pro 10.6.2에서 맥 스튜디오에 대한 성능을 최적화했다.
시스템 온 칩 | 최적화 업데이트 |
---|---|
Apple M1 | Final Cut Pro – 2020년 11월 12일 |
Mac Studio 2022 – Apple M1 Max – Apple M1 Ultra | Final Cut Pro – 2022년 4월 12일 |
○ 블랙매직 디자인 다빈치 리졸브
애플 M1을 탑재한 맥북 에어 2020, 맥북 프로 13인치 2020, 맥 미니 2020는 2020년 11월 17일에 출시했지만, 블랙매직 디자인 다빈치 리졸브는 2021년 3월 9일에 업데이트한 Blackmagic Design Davinci Resolve 17.1버전부터 애플 M1과 애플 M1에서의 HEVC 하드웨어 가속을 정식 지원했고, 2021년 5월 12일에 업데이트한 Blackmagic Design Davinci Resolve 17.2버전에서 애플 M1에서의 8K HEVC 하드웨어 가속 성능을 최적화했고, 2021년 8월 20일에 업데이트한 Blackmagic Design Davinci Resolve 17.3버전에서 애플 M1의 HEVC, AVC-Intra 하드웨어 가속 성능 및 8K 편집 성능을 최적화했고, 2021년 9월 2일에 업데이트한 Blackmagic Design Davinci Resolve 17.3.1버전에서 애플 M1에서의 렌더링 결함 문제를 해결했고, 2021년 10월 8일에 업데이트한 Blackmagic Design Davinci Resolve 17.3.2버전에서 애플 M1에서의 렌더링 등 몇 가지 오류 문제를 해결했다.
그리고 애플 M1 Pro와 M1 Max를 탑재한 맥북 프로 2021는 2021년 10월 26일에 출시했는데 다빈치 리졸브는 애플 M1 Pro 및 M1 Max 출시 5일 전인 2021년 10월 21일에 업데이트한 Blackmagic Design Davinci Resolve 17.4버전부터 애플 M1 Pro 및 M1 Max를 정식 지원하고 애플 M1의 하드웨어 가속 성능을 최적화했고, 2021년 12월 21일에 업데이트한 Blackmagic Design Davinci Resolve 17.4.3버전에서 애플 M1 Pro 및 M1 Max의 성능 최적화 및 애플 실리콘의 오류를 수정했고, 2022년 3월 7일에 업데이트한 Blackmagic Design Davinci Resolve 17.4.5버전에서 애플 실리콘의 성능을 최적화했다.
그리고 애플 M1 Max와 M1 Ultra를 탑재한 맥 스튜디오 2022는 2022년 3월 18일에 출시했지만, 다빈치 리졸브는 2022년 7월 20일에 업데이트한 Blackmagic Design Davinci Resolve 18버전부터 애플 M1 Ultra를 정식 지원했다.
시스템 온 칩 | 최적화 업데이트 |
---|---|
Apple M1 | Davinci Resolve – 2021년 3월 9일 |
Apple M1 Pro Apple M1 Max | Davinci Resolve – 2021년 10월 22일 |
Apple M1 Ultra | Davinci Resolve – 2022년 7월 20일 |
M1 Max 맥 스튜디오 2022 깡통 vs M1 맥 미니 2020 풀옵션 벤치마크 성능 비교
벤치마크 점수는 테스트 컴퓨터의 하드웨어 손상 수준, 테스트 컴퓨터의 온도 및 주변 환경 온도,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개수와 부하 수준, 벤치마크 프로그램 설정과 사용법, 벤치마크 결과 조작 여부 등 매우 많은 변수에 따라 달라지므로 벤치마크 점수 몇 개만으로 성능을 판단할 수는 없으나 많은 유저가 테스트한 벤치마크 점수의 평균값으로는 제품 간에 성능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 퓨젯 시스템 어도비 프리미어 프로 벤치마크
1. 벤치마크 점수 비교
(1) 성능 비교
퓨젯 시스템의 어도비 프리미어 프로 벤치마크 툴은 4K 59.94FPS H.264 150Mbps 8비트 샘플, 4K 59.94FPS RED 샘플, 4K 59.94FPS ProRes 422 샘플로 영상 편집 작업 시 가장 중요한 라이브 재생 성능, 영상 제작 업체에 중요한 내보내기 성능, CPU 부하 편집 작업 성능, GPU 부하 편집 작업 성능을 테스트하고, 벤치마크 기준 시스템인 AMD Ryzen 5900X, NVIDIA GeForce RTX 3080 10GB, 64GB RAM, Samsung 960 Pro 1TB, Windows 10 Pro, Adobe Premiere Pro 2020 (14.8버전)로 테스트한 결과와 비교해서 벤치마크한 시스템의 성능이 벤치마크 기준 시스템 대비 어느 정도 수준인지 알려준다. 예를 들어 1000점은 벤치마크 기준 시스템과 같은 성능이고, 800점은 벤치마크 기준 시스템 대비 80% 성능이다.
구분 | 칩셋 | CPU 코어수 | GPU 코어수 | RAM | 평균 점수 |
---|---|---|---|---|---|
맥 스튜디오 2022 | M1 Max | 10 | 24 | 32GB | 1063.47 |
맥 미니 2020 | M1 | 8 | 8 | 16GB | 461.28 |
맥북 에어 2020 | M1 | 8 | 7 | 8GB | 371 |
맥북 에어 2022 | M2 | 8 | 8 | 8GB | 587.13 |
퓨젯 시스템의 어도비 프리미어 프로 벤치마크 툴은 0.95.4 베타 버전에서 애플 M1의 버그를 수정했으므로 0.95.4 버전 이상의 결과만 수집했고, 4K 영상 편집 성능만 알면 되므로 Extended Overall Score는 수집하지 않고 Standard Overall Score만 수집했다. 개별 점수의 최대 편차가 181점으로 크지만, 대부분 점수가 분포가 평균 점수에 밀집되어 있어서 벤치마크 평균 점수로 각 제품의 성능 경향을 가늠할 수 있다.
10코어 CPU, 24코어 GPU인 M1 Max, 32GB RAM, 1TB SSD를 탑재한 맥 스튜디오 2022는 벤치마크 기준 시스템과 비슷한 성능이고, 8코어 CPU, 8코어 GPU인 M1, 16GB RAM, 1TB SSD를 탑재한 맥 미니 2020는 벤치마크 기준 시스템의 45~50% 정도 성능이고, 8코어 CPU, 7코어 GPU인 M1, 8GB RAM을 탑재한 맥북 에어 2020은 벤치마크 기준 시스템의 35~40% 정도 성능이고, 8코어 CPU, 8코어 GPU인 M2, 8GB RAM을 탑재한 맥북 에어 2022는 벤치마크 기준 시스템의 55~60% 정도 성능이다.
만약에 8코어 CPU, 10코어 GPU인 M2, 16GB, 1TB SSD를 탑재한 신형 맥 미니가 출시하더라도 퓨젯 시스템의 어도비 프리미어 프로 벤치마크 기준에서 신형 맥 미니의 성능은 맥 스튜디오 2022 깡통보다 약 35% 정도 낮을 것으로 추정된다.
(2) 가성비 비교
구분 | 벤치마크 기준 시스템 | 맥 스튜디오 2022 | 맥 미니 2020 |
---|---|---|---|
벤치마크 점수 | 100.00% | 106.35% | 46.13% |
기본 가격 | 2,840,000 | 2,960,000 | 1,835,000 |
최저가 | 2,386,000 | 2,870,000 | 1,765,000 |
10코어 CPU, 24코어 GPU인 M1 Max, 32GB RAM, 1TB SSD를 탑재한 맥 스튜디오 2022 깡통은 공식 홈페이지 가격 기준에서 가성비가 무난하지만, 최저가 기준에서는 가성비가 꽤 떨어지는 편이다. 그리고 8코어 CPU, 8코어 GPU인 M1, 16GB RAM, 1TB SSD를 탑재한 맥 미니 2020 풀옵션은 공식 홈페이지 가격과 최저가 기준에서 모두 가성비가 매우 떨어진다.
만약에 8코어 CPU, 10코어 GPU인 M2, 16GB RAM, 1TB SSD를 탑재한 신형 맥 미니가 출시한다면 신형 맥 미니의 가격은 맥북 에어 2020의 가격으로 맥 미니 2020의 가격을 유추하는 방식을 맥북 에어 2022에 적용해서 계산할 수 있는데, 8코어 CPU, 10코어 GPU인 M2, 16GB RAM, 512GB SSD를 탑재한 신형 맥 미니가 1,730,000원으로 예상되므로 기가비트 인터넷을 10기가비트 인터넷으로 업그레이드하고, 512GB SSD를 1TB SSD로 업그레이드하면 2,135,000원이 된다.
2. 실제 성능 추정
벤치마크 기준 시스템이나 맥 스튜디오 2022 깡통의 성능이 내가 사용 중인 메인 컴퓨터보다 조금 더 좋다고 판단되지만, 체감할 수 없을 정도의 미비한 차이므로 퓨젯 시스템의 어도비 프리미어 프로 벤치마크 점수 기준에서 15분 길이의 4K 60FPS 130Mbps HEVC 영상을 편집한다면 맥 미니 2020 풀옵션은 볼 것도 없고, 맥 스튜디오 2022 깡통도 내가 사용 중인 메인 컴퓨터처럼 원활한 편집이 어려울 수 있다.
애플 고객센터의 채팅 상담으로 맥 스튜디오와 맥 미니의 사양에 관해 상세히 문의했을 때 상담사가 어도비 프리미어 프로에서 4K 60FPS 영상을 편집하려면 맥 스튜디오 2022 깡통 이상의 옵션을 구매해야 한다고 했는데, 애플 내부적으로도 단순 컷 편집 이상의 부하를 가하면 맥 스튜디오 2022 깡통으로도 원활한 편집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인지한 것으로 보인다.
○ 시네벤치 R23 벤치마크
시네벤치는 CPU의 모든 코어 성능을 최대한 활용해서 시네마 4D를 사용할 때의 기대 성능을 측정하므로 시네마 4D처럼 CPU로 3D 렌더링을 하는 작업자가 CPU 성능 척도로 사용할 수 있다. 벤치마크 점수는 여러 주요 매체에 업로드된 벤치마크 점수의 평균값이다.
CPU | CPU 코어수 | 싱글 코어 | 멀티 코어 |
---|---|---|---|
AMD 3900X | 12 | 1313 | 18482 |
AMD 3900XT | 12 | 1356 | 18498 |
AMD 5900X | 12 | 1617 | 21422 |
AMD 7900X | 12 | 2031 | 29276 |
Apple M1 | 8 | 1508 | 7741 |
Apple M1 Pro | 8 | 1529 | 9603 |
Apple M1 Pro | 10 | 1535 | 12222 |
Apple M1 Max | 10 | 1551 | 12372 |
Apple M1 Ultra | 20 | 1558 | 23034 |
Apple M2 | 8 | 1668 | 8625 |
애플 컴퓨터는 싱글 코어 성능은 우수한 편이지만, 멀티 코어 성능은 상대적으로 많이 떨어진다.
○ 긱벤치 5 벤치마크
긱벤치 5는 특정 소프트웨어에서의 성능을 측정하는 퓨젯 시스템의 어도비 프리미어 프로 벤치마크나 시네벤치 R23과 달리 다양한 워크로드 상황에서 CPU 및 GPU의 보편적인 성능을 측정하는데 실제 소프트웨어 작업 성능보단 일반적인 계산 성능을 측정하는 워크로드가 많고 해당 워크로드의 점수 비중이 높지만, 높은 부하를 유발하는 워크로드의 점수 비중이 작으므로 긱벤치 5의 벤치마크 점수로는 높은 부하 조건에서 각 제품 간의 성능 경향을 비교할 수 없고, 낮은 부하에서의 일반적인 성능 경향에 대한 대략적인 느낌만 비교할 수 있다.
1. 긱벤치 5 CPU 벤치마크
암호화, 텍스트 압축, 이미지 압축, 이미지 편집, DOM 생성, SQL 데이터베이스, PDF 랜더링, 텍스트 렌더링, 3D 중력 시뮬레이션, 2D 물리 시뮬레이션, 얼굴 인식, 음성 인식, 기계 학습 등 총 21개의 워크로드로 성능을 측정하고 각 섹션의 비중을 암호화 성능 5%, 정수 명령어 성능 65%, 부동 소수점 성능 30%로 계산해서 CPU의 단일 코어 성능과 멀티 코어 성능을 INTEL i3-8100의 1000점 대비 몇 점인지 평가한다. 예를 들어 1000점은 INTEL i3-8100과 같은 성능이고, 800점은 INTEL i3-8100 대비 80% 성능이다.
CPU | CPU 코어수 | 싱글 코어 | 멀티 코어 |
---|---|---|---|
AMD 3900X | 12 | 1276 | 11682 |
AMD 3900XT | 12 | 1317 | 11950 |
AMD 5900X | 12 | 1669 | 13946 |
Apple M1 | 8 | 1714 | 7438 |
Apple M1 Pro | 8 | 1731 | 9527 |
Apple M1 Pro | 10 | 1739 | 12080 |
Apple M1 Max | 10 | 1754 | 12326 |
Apple M1 Ultra | 20 | 1753 | 23330 |
Apple M2 | 8 | 1891 | 8737 |
싱글 코어와 멀티 코어 성능 모두 애플 실리콘 칩셋이 AMD 프로세서를 압도하고 있다. 다만 애플 실리콘 칩셋의 싱글 코어 및 멀티 코어 성능 점수가 앞서 테스트한 퓨젯 시스템의 어도비 프리미어 프로 벤치마크 및 시네벤치 R23의 결과와 전혀 다른 양상이므로 크로스 플랫폼 간의 점수 비교는 무의미해 보이며, 같은 플랫폼 안에서도 점수 비교 시 CPU의 보편적인 성능 우위를 대략 가늠하는 용도로는 사용할 수 있으나 작업 부하 시 성능 경향을 비교하는 용도로는 부적합해 보인다.
2. 긱벤치 5 GPU 벤치마크
이미지 편집, 고속 푸리에 변환 성능, 입자 물리학 시뮬레이션 등 총 11개의 워크로드를 20회 반복해서 성능을 측정하고 GPU 성능을 INTEL i3-8100의 1000점 대비 몇 점인지 평가한다. 예를 들어 1000점은 INTEL i3-8100과 같은 성능이고, 800점은 INTEL i3-8100 대비 80% 성능이다.
GPU | GPU 코어수 | 점수 |
---|---|---|
NVIDIA RTX 3070 | 5,888 | 149,737 |
NVIDIA RTX 3080 | 10,240 | 206,390 |
Apple M1 | (7 / 8) | 20,440 |
Apple M1 Pro | (14 / 16) | 39,758 |
Apple M1 Max | (24 / 32) | 64,708 |
Apple M1 Ultra | (48 / 64) | 94,583 |
Apple M2 | (8 / 10) | – |
애플 실리콘 칩셋의 GPU 코어 수는 제품 구매 옵션에 따라 전부 다른데 긱벤치 5에서는 애플 실리콘 칩셋 명칭으로만 통합 표시하고 있어서 각 GPU 사양에 따른 성능 경향을 판단할 수 없다.
M1 Max 맥 스튜디오 2022 깡통 vs M1 맥 미니 2020 풀옵션 리뷰어 성능 비교
리뷰어는 리뷰를 써서 돈을 버는 게 목적이므로 특정 회사 제품에 편향적일 수 있고, 벤치마크 과정과 결과를 얼마든지 조작해서 발표할 수 있고, 유명 리뷰어의 벤치마크 결과를 통합해서 그 경향을 살펴보려고 해도 그들 모두가 대기업의 영향력 아래에 있다면 비슷한 결과가 도출될 수밖에 없다 보니 리뷰어의 벤치마크 결과로 성능 경향을 추정할 수 있지만, 신뢰하기는 어렵다. 그래서 리뷰어의 제품 성능 비교는 믿거나 말 거나이다.
○ 애플 맥 스튜디오 2022 깡통과 애플 맥 미니 2020 풀옵션 작업 성능 비교
1. 어도비 프리미어 프로
(1) M1 Max 맥 스튜디오 2022 깡통
영상 | 클립 수 | 효과 | 라이브 재생 |
---|---|---|---|
4K 60FPS | 다수 | 간단함 | 문제 없음 |
4K 60FPS | 다수 | 복잡함 | 버벅거림 |
시네마 4K 60FPS | 다수 | 간단함 | 버벅거림 |
시네마 8K 30FPS | 1개 | 간단함 | 편집 불가 |
시네마 8K 60FPS | 1개 | 없음 | 편집 불가 |
일반 카메라로 촬영한 4K 60FPS 영상을 컷 편집하고 간단한 효과를 추가하는 데는 별다른 문제가 없지만, 복잡한 효과를 추가하거나 시네마 카메라로 촬영한 4K 60FPS 영상을 편집할 때는 CPU 성능 부족으로 화면이 버벅거려서 라이브 재생 화질을 낮춰야 하고, 시네마 카메라로 촬영한 8K 영상을 편집할 때는 화면이 심각하게 버벅거려서 라이브 재생 화질을 낮춰도 정상적인 편집이 불가능하다.
(2) M1 맥 미니 2020 풀옵션
영상 | 클립 수 | 효과 | 라이브 재생 |
---|---|---|---|
4K 30FPS | 다수 | 없음 | 문제 없음 |
4K 30FPS | 다수 | 컬러 보정 시 | 약한 딜레이 |
4K 30FPS | 다수 | 스크러빙 시 | 버벅거림 |
4K 30FPS | 다수 | 복잡함 | 버벅거림 |
4K 60FPS | 다수 | 없음 | 버벅거림 |
시네마 4K 30FPS | 다수 | 없음 | 버벅거림 |
일반 카메라로 촬영한 4K 30FPS 영상을 컷 편집할 때는 별다른 문제가 없지만, 타임라인에서 영상을 스크러빙을 하면 화면이 버벅거려서 라이브 재생 화질을 낮춰야 하고, 컬러 그레이딩을 하면 보정 값이 즉각 반영되지 않고 약간 지연되어서 원활한 편집이 어렵다.
2. 애플 파이널 컷 프로
(1) M1 Max 맥 스튜디오 2022 깡통
영상 | 클립 수 | 효과 | 라이브 재생 |
---|---|---|---|
시네마 4K 30FPS | 다수 | 복잡함 | 문제 없음 |
시네마 4K 60FPS | 다수 | 간단함 | 문제 없음 |
시네마 4K 60FPS | 다수 | 복잡함 | 문제 없음 |
시네마 8K 30FPS | 1개 | 간단함 | 편집 불가 |
시네마 카메라로 촬영한 4K 60FPS 영상을 편집할 때는 아무 문제가 없지만, 시네마 카메라로 촬영한 8K 60FPS 영상을 편집할 때는 단일 클립을 배치하고 간단한 편집만 해도 화면이 버벅거려서 편집할 수 없다.
(2) M1 맥 미니 2020 풀옵션
영상 | 클립 수 | 효과 | 라이브 재생 |
---|---|---|---|
4K 30FPS | 다수 | 간단함 | 문제 없음 |
4K 60FPS | 다수 | 간단함 | 문제 없음 |
4K 60FPS | 다수 | 복잡함 | 버벅거림 |
시네마 4K 30FPS | 1개 | 없음 | 문제 없음 |
시네마 4K 30FPS | 1개 | 스크러빙 시 | 문제 없음 |
시네마 4K 60FPS | 1개 | 없음 | 문제 없음 |
시네마 4K 60FPS | 1개 | 간단함 | 문제 없음 |
시네마 4K 60FPS | 다수 | 간단함 | 버벅거림 |
일반 카메라로 촬영한 4K 60FPS 영상을 컷 편집하고 간단한 효과를 추가하는 데는 별다른 문제가 없지만, 복잡한 효과를 추가하거나 시네마 카메라로 촬영한 4K 60FPS 영상을 편집할 때는 GPU 성능 부족으로 화면이 버벅거려서 편집할 수 없다.
○ 애플 맥 스튜디오 2022 M1 Max vs M1 Ultra 소프트웨어 성능 비교
10코어 CPU, 32코어 GPU인 애플 M1 Max와 20코어 CPU, 64코어 GPU인 애플 M1 Ultra의 실제 소프트웨어 작업 성능을 비교했을 때 포토샵과 라이트룸에서 이미지를 불러오고 편집하는 작업과 파이널 컷 프로에서 4K 영상을 편집할 때는 두 칩셋 간의 성능 차이가 없다.
포토샵과 라이트룸에서 편집한 이미지를 내보내는 작업을 하거나 파이널 컷 프로에서 4K 영상을 내보내는 작업을 할 때는 성능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인 사용자나 일반적인 유튜버 영상 제작자로서는 사실상 차이가 없다고 봐도 무방한 수준이다. 하루에 수천에서 수만 장의 사진을 편집하고 내보내야 하는 사진 스튜디오나 영상의 길이가 수십 분 이내로 짧지만, 하루 중에도 자주 내보내야 하는 영상 프로덕션이라면 작업 시간을 조금이라도 더 줄이기 위해 애플 M1 Ultra를 고려할 수 있지만, 그런데도 애플 M1 Ultra를 반드시 구매해야 하는지 의문이 들 정도로 성능 차이가 크지 않다.
일반적인 사용자라면 애플 M1 Max로 충분하다. 만약에 CPU의 멀티 코어를 최대한 활용하는 블랜더나 Xcode를 사용한다면 애플 M1 Ultra를 고려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도 작업물의 종류와 작업량에 따라 애플 M1 Max로 충분할 수도 있다.
○ 애플 맥 스튜디오 2022 M1 Max vs M1 Ultra 영상 편집 성능 비교
SoC | M1 Max | M1 Ultra | M1 Ultra |
---|---|---|---|
CPU | 10 | 20 | 20 |
GPU | 24 | 48 | 64 |
RAM | 32GB | 64GB | 128GB |
SSD | 512GB | 1TB | 1TB |
1. 어도비 프리미어 프로
시네마 카메라로 촬영한 4K 30FPS 영상을 편집할 때 M1 Max 맥 스튜디오는 컬러 보정을 하고 단순 재생만 하는데도 정상적인 편집을 할 수 없을 정도로 끊김이 심하지만, M1 Ultra 맥 스튜디오는 옵션 사양과 관계없이 끊김이 없이 재생할 수 있다. 다만 시네마 카메라로 촬영한 8K 30FPS 영상을 편집할 때는 세 가지 시스템 모두 컬러 보정을 하고 단순 재생만 하는데도 정상적인 재생이 불가능하다.
2. 애플 파이널 컷 프로
시네마 카메라로 촬영한 4K 30FPS 영상을 편집할 때 세 가지 시스템 모두 컬러 보정을 하고 단순 재생만 하면 별다른 문제 없이 재생할 수 있지만, 시네마 카메라로 촬영한 8K 30FPS 영상을 편집할 때는 세 가지 시스템 모두 컬러 보정을 하고 단순 재생만 하는데도 정상적인 재생이 불가능하다.
3. 블랙매직 디자인 다빈치 리졸브
애플 실리콘의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므로 애플 파이널 컷보다 라이브 재생 성능이 더 좋다. 다만 시네마 카메라로 촬영한 8K 30FPS 영상을 편집할 때는 세 가지 시스템 모두 다른 소프트웨어와 마찬가지로 정상적인 편집을 할 수 없다.
M1 Max 맥 스튜디오 2022 깡통 vs M1 맥 미니 2020 풀옵션 비교 결론
영상 | 소프트웨어 | 맥 스튜디오 2020 깡통 | 맥 미니 2020 풀옵션 |
---|---|---|---|
4K 60FPS | 파이널 컷 프로 | 문제없음 | 작업불가 |
4K 30FPS | 파이널 컷 프로 | 문제없음 | 문제없음 |
4K 60FPS | 프리미어 프로 | 작업어려움 | 작업불가 |
4K 30FPS | 프리미어 프로 | 문제없음 | 작업어려움 |
4K 60FPS 영상을 자유롭게 편집하고 싶다면 M1 Max 맥 스튜디오 2022 깡통에서 애플 파이널 컷 프로를 사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