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렉 도마니 AL3 디스크 2021 – 로드 자전거/그래블 자전거

하체 근력과 기초 체력을 기르고 유지하기 위해 ‘트렉 도마니 AL3 디스크 2021’를 구매했다. 상체 운동은 맨몸 운동으로 가능하지만, 하체 운동은 스쿼트 외에는 할만한 게 없었고, 집 주변에 언덕이 많아서 자전거를 타고 하체 근력을 기르기에 적합하다고 판단했다.

주의사항
1. 트렉 도마니 AL3 디스크 2021의 부품 사양은 54 사이즈 기준이다.
2. 개인적인 경험과 웹상의 정보를 종합해서 작성했기 때문에 사실과 다른 정보가 있을 수도 있다.

목록

  1. 트랙 도마니 AL3 디스크 2021 구매
  2. 트렉 도마니 AL3 디스크 2021 상세 사양
  3. 트렉 도마니 AL3 연식에 따른 변화
  4. 트렉 도마니 AL3 디스크 2021 사이즈
  5. 트렉 도마니 AL3 디스크 2021 소감
  6. 트렉 도마니 AL3 디스크 2021 이미지
  7. 자전거 용품
Quick Menu

트렉 도마니 AL3 디스크 2021 구매

4년 전에 20만 원대 미니벨로 자전거를 구매할 때까지만 했어도 자전거의 종류는 일반적으로 포장도로에 최적화된 ‘로드 자전거’, ‘도심 주행에 최적화된 ‘하이브리드 자전거’, 산악 지형에 최적화된 ‘MTB’, 보관이 쉬운 ‘미니벨로 자전거’, 변속기와 브레이크가 없는 ‘픽시 자전거로 구분되어 있었고, 프레임 지오메트리에 따라서 로드 자전거 내에 ‘에어로’, ‘올라운드’, ‘엔듀어런스(엔듀런스)’, ‘사이클로크로스’가 세분화되어 있었고, MTB 자전거 내에 ‘올마운틴’, ‘트레일’, ‘다운힐’이 세분화되어 있었다. 2020년이면 불과 4년밖에 지나지 않았는데 오랜만에 제조사 사이트들을 둘러보니 프레임 지오메트리 기준 로드 자전거 내에 ‘그래블’이 추가되어 있었고, 하이브리드 자전거 내에 ‘피트니스’가 추가되어 있었고, 세계적인 브랜드에서 전기 자전거가 출시되어 있었다.

처음에는 과거의 생각을 더듬어서 ‘사이클로크로스 자전거’를 구매하고자 했으나 예전과는 다르게 제조사별로 제품 종류가 한, 두 종류밖에 없었고 가격도 고가의 제품만 판매 중이었다. 그래서 ‘그래블 자전거’, ‘피트니스 자전거’, ‘MTB’로 눈을 돌렸고, 그 중에서 드롭바를 사용하는 ‘그래블 자전거’를 구매하기로 했다.

‘그래블 자전거’는 로드 자전거와 MTB의 몇 가지 특징이 집약되었다는 점에서 ‘사이클로크로스 자전거’와 비슷보일 수 있으나 서로 지향하는 바가 다르다. 사이클로크로스 자전거는 약 한 시간동안 포장 도로, 비포장 도로, 흙길, 자갈길, 자전거를 들고 가야 하는 장애물 구역을 빠른 속도로 주파하는 사이클로크로스 경기를 목적으로 개발되어 무게가 가볍고 공격적인 자세를 지향한다. 반면 그래블 자전거는 포장도로, 비포장도로, 흙길, 자갈길에서 편안한 장거리 주행을 목적으로 하고 렉을 설치해서 짐을 실을 수도 있고 흙받이를 설치할 수 있고 다수의 물병 케이지를 설치할 수 있고 편안한 자세를 추구한다.

각 제조사 사이트에서 그래블 자전거 항목에 노출하고 있는 자전거 중 약 100만원의 예산으로 집 근처 매장에서 구매할 수 있는 자전거는 자이언트의 ‘리볼트 2 2021’과 트렉의 ‘도마니 AL3 디스크 2021’이었다. ‘리볼트 2’는 그래블 지오메트리가 적용된 그래블 자전거였고, ‘도마니 AL3’은 엔듀어런스(엔듀런스) 지오메트리가 적용된 로드 자전거였다. 기타 사양은 두 자전거 모두 동급이었고 주로 라이딩을 하는 코스가 자전거 도로 40%, 보도블록, 30%, 차도 30%이어서 꽤 고민이 되었는데, 로드 자전거인 ‘트렉 도마니 AL3 디스크 2021’을 구매했다. 가끔이지만 자전거 도로에서 속도감을 즐기고 싶었고, 주로 밤에 라이딩을 할 예정이어서 리볼트 2의 그린이나 그레이 컬러보다 도마니 AL3 디스크의 화이트 컬러가 더 좋을 것 같았다.

제품명구매처가격
트렉 도마니 AL3 디스크 2021트렉 샵1,150,000
본트래거 스타보스 사이클링 헬멧트렉 샵69,900
락브로스 S109 스파이더 반장갑스마트스토어8,500
본트래거 이온 450R 자전거 전조등트렉 샵40,000
락브로스 스마트 라이트 Q5 후미등스마트 스토어18,900
락브로스 2017-11B 알루미늄 물통 케이지스마트 스토어4,800
엘리트 플라이 CMC-WCC 팀 550ml 물통스마트 스토어7,400
바이크 크레들리 자전거 거치대스마트 스토어11,800
앞바퀴 고정 받침대스마트 스토어4,000
샤오미 미지아 휴대용 공기주입기스마트 스토어33,400

– 자전거 구매 비용: 1,150,000원
– 자전거 구매 혜택: 자전거 가격의 3%만큼 용품 구매 비용 지원.
– 자전거 필수 용품 구매 비용: 198,700원 – 용품 구매 지원비 35,000원 + 용품 총 배송비 7,800원 = 171,500원
– 총 비용: 1,321,500원

트렉 도마니 AL3 디스크 2021 상세 사양

트렉 도마니 AL3 디스크 2021 구조

○ 기본 정보

브랜드트렉
분류로드/그래블 자전거
모델명도마니 AL3 디스크
제조국중국
출시년도2020년
생산년도2020년 8월
구매일자2020년 10월
구매가격1,150,000원

도마니(Domane)는 자갈길을 달리는 코블드 클래식(Cobbled classics) 경기를 목적으로 프로 자전거 선수인 파비앙 캉셀라라(Fabian Cancellara)와의 파트너십으로 개발되었고 2012년에 출시했다. 엔듀어런스(엔듀런스) 지오메트리가 적용되어 다른 로드 자전거보다 4시간에서 6시간 정도 원활하게 라이딩을 지속할 수 있고, 험한 노면의 큰 충격을 완화하고 자잘한 진동을 흡수하는 아이소스피드(IsoSpeed) 싯 튜브 서스펜션 시스템을 적용해서 로드 레이스가 지닌 효율성과 승차감을 유지하면서도 거친 도로를 매끄럽게 질주할 수 있는 자전거를 완성했다. 그리고 2016년에 핸들바의 진동에 맞춰 유연하게 작동하는 프론트 아이소스피드와 핸들바에서 자전거의 진동을 감쇄하는 아이소코어를 개발해서 리어 아이소스피드와 함께 디스크 브레이크 프레임에 통합했다. 이후 아이소스피드는 로드 자전거뿐만 아니라 MTB, 피트니스 자전거 등 다양한 종류의 자전거에 적용할 만큼 발전했다.

2020년 10월에 트렉 코리아에서 판매 중인 자전거 중에서 아이소스피드가 적용된 가장 저렴한 자전거는 1,990,000원에 판매 중인 ‘FX 스포츠 카본 4’이고, 로드 자전거 중에서 가장 저렴한 자전거는 3,890,000원에 판매 중인 ‘도마니 SL5’였다. 일반적으로 풀카본 프레임에 아이소스피드가 적용되기 때문에 알루미늄 프레임을 사용한 ‘도마니 AL3 디스크 2021’에는 아이소스피드가 없고, 대신 카본 포크와 알루미늄 스티어러를 적용해서 아이소스피드 포크를 적용했다고 광고 있다. 하지만 아이소스피드 포크는 마케팅 용어일 뿐이고 그외 특별한 기능은 없기 때문에 ‘도마니 AL3 디스크 2021’은 도마니 브랜드가 추구하는 험로 주행에 적합하지 않다. 그나마 고가의 도마니와 같은 ‘엔듀어런스(엔듀런스) 지오메트리’를 적용했고 타이어 굵기가 32c라서 타이어 굵기가 25c나 28c인 로드 자전거보단 승차감이 좋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 프레임

지오메트리엔듀어런스(엔듀런스)
프레임 소재100 시리즈 알파 알루미늄
프레임 특징내장식 케이블 라우팅
본트래거 듀오트랩 S 디지털 센서 호환
랙 마운트
프레임 사이즈44, 49, 52, 54, 56, 58
54 사이즈 구매
프레임 컬러크리스탈 화이트
포크 소재도마니 AL 카본 포크
알루미늄 스티어러
포크 특징내장식 브레이크 라우팅

1. 지오메트리

자전거 프레임 구조에 따라서 동력 전달 효율, 무게 중심, 방향 전환 시 안전성, 탑승자의 피로도가 달라진다. 로드 자전거의 지오메트리는 제조사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표적으로 공기역학적인 설계로 평지에서 최고속 주행을 지향하는 ‘에어로’, 거친 노면에서 편안한 장거리 주행을 지향하는 ‘엔듀어런스(엔듀런스)’, 에어로와 엔듀어런스(엔듀런스)의 몇 가지 특징을 집약해서 전천후로 무난한 성능을 보여주고 특히 경량화를 지향하는 ‘올라운드’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제조사에서 지정한 지오메트리는 프레임 사이즈가 같은 경우 자전거 가격에 상관없이 동일하다. 2020년 10월에 트렉의 그래블 지오메트리가 적용된 자전거는 ‘체크메이트’뿐이지만, 트렉 코리아에서 판매하지 않기 때문에 구할 수 없다. 트렉 미국 사이트에서는 그래블 자전거 카테고리에 ‘체크메이트’와 ‘도마니’가 함께 들어가 있는데, 도마니와 체크메이트 모두 험로에서 편안한 주행을 목적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아래에 로드 자전거의 프레임 지오메트리에 대한 설명은 각 프레임 구조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원론적인 설명이기 때문에 맹신해서는 안 되며 재미로 봐야 한다.

(1) 시트 튜브 각도

– 각도가 커서 수직에 가까울수록 더 빠른 속도로 페달링이 가능하고 단거리 주행이나 업힐에 유리하다.
– 각도가 작아서 뒤로 기울수록 무게 중심이 낮아져서 고속에서의 안정성이 높아지고 주행 진동을 잘 흡수해서 승차감이 좋아진다.

(2) 헤드 튜브 길이

– 길이가 길수록 탑승자의 자세를 세우게 되어 공격적인 자세보다 편안하지만, 레이싱에 불리하다.
– 길이가 짧을수록 탑승자의 자세가 앞쪽으로 숙여져서 공기 역학을 개선할 수 있지만, 장거리 라이딩 시 피로도가 높아진다.

(3) 헤드 각도

– 각도가 커서 수직에 가까울수록 핸들링이 민감해져서 더 적은 힘으로 방향을 바꾸기 쉬워지지만, 그만큼 고속에서의 안정성이 떨어진다.
– 각도가 작아서 뒤로 기울수록 핸들링이 둔감해져서 방향 전환이 어려워지지만, 그만큼 고속에서의 안정성이 높아진다.

(4) 유효 탑 튜브

– 길이가 길수록 안장과 핸들의 거리가 멀어져서 보다 공격적인 자세를 취할 수 있지만, 장거리 라이딩 시 피로도가 높아진다.
– 길이가 짧을수록 안장과 핸들의 거리가 가까워져서 상체를 세우게 되어 보다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지만, 레이싱에 불리하다.

(5) 바텀 브라켓 드롭

– 길이가 길수록 크랭크 축이 지면과 가까워져서 무게 중심이 낮아지고 주행 안정성이 높아지지만, 코너링 시 페달이 지면에 충돌할 수 있다.
– 길이가 짧을수록 크랭크 축이 지면과 멀어져서 장애물에 대한 페달 클리어런스를 확보할 수 있지만, 무게 중심이 높아져서 주행 안정성이 떨어진다.

(6) 체인스테이 길이

– 휠베이스 길이에 가장 큰 영향을 준다.
– 짐을 싣는 렉을 설치할 수 있는 자전거의 경우 체인스테이가 긴 편이다.
– 길이가 길수록 직진성이 좋아져서 고속에서의 안정성이 높아지지만, 페달링하는 힘이 손실된다.
– 길이가 짧을수록 페달링하는 힘이 잘 전달되어 가속하기 좋고 특히 오르막에서 유리하지만, 고속에서의 안정성이 떨어진다.

(7) 오프셋(포크 레이크)

– 길이가 길수록 진동 흡수력이 좋고 핸들링의 반응성이 좋아지지만, 그만큼 고속에서의 안정성이 떨어진다. 단 오프셋이 길더라도 헤드 튜브가 짧다면 핸들링이 둔할 수 있다.
– 길이가 짧을수록 진동 흡수력이 나쁘고 핸들링의 반응성이 나빠지지만, 그만큼 고속에서의 안정성이 높아진다. 단 오프셋이 짧더라도 헤드 튜브가 길다면 핸들링이 민감할 수 있다.

(8) 트레일

– 헤드 각도와 오프셋 길이의 영향을 받는다.
– 길이가 길수록 고속에서의 안정성이 높아지지만, 방향 전환이 느려진다.
– 길이가 짧을수록 방향 전환이 빨라지지만, 고속에서의 안정성이 떨어진다.

(9) 휠베이스

– 길이가 길수록 직진성이 좋아져서 고속에서의 안정성이 높아지지만, 민첩한 방향 전환이 어렵다.
– 길이가 짧을수록 보다 민첩한 방향 전환이 가능하지만, 고속에서의 안정성이 떨어진다.

2. 로드 자전거 지오메트리 비교

(1) 트렉 로드 자전거 지오메트리 비교
구분에몬다
ALR
도마니
AL
체크포인트
SL
지오메트리올라운드엔듀런스그래블
시트 튜브506500540
시트 튜브 각도73.7°73.7°73.5°
헤드 튜브 길이155160126
헤드 각도73.0°71.3°71.8°
유효 탑 튜브543542551
바텀 브라켓 드롭708076
체인스테이 길이410420425
오프셋455349
트레일565964
휠베이스98110101014
스탠드 오버752754775

각 수치에 대한 단순 비교이므로 실제 성능을 유추할 수 없고, 단지 지오메트리가 추구하는 경향에 대해 재미 삼아서 추정할 수 있을 뿐이다. 트렉의 엔듀어런스(엔듀런스) 지오메트리는 주행 진동을 흡수하고 직진성과 주행 안정성을 중요시하고 편안한 자세를 추구하지만, 민첩한 핸들링이 어렵다. 반면 트렉의 그래블 지오메트리는 공격적인 자세를 추구하며 직진성이 좋고 많은 짐을 실기에 용의한 구조를 지향한다.

(2) 트렉, 자이언트, 메리다의 엔듀어런스(엔듀런스) 지오메트리 비교
구분도마니
AL
디파이
어드밴스 2
스컬트라
4000
시트 튜브500480510
시트 튜브 각도73.7°73.5°73.5°
헤드 튜브 길이160160177
헤드 각도71.3°72.5°73°
유효 탑 튜브542545553
바텀 브라켓 드롭807566
체인스테이 길이420420418
오프셋5350
트레일5958.2
휠베이스10109981001
스탠드 오버754786803

‘도마니 AL’이 장거리 주행에 가장 최적화된 것으로 보여지고, ‘스컬트라 4000’은 다른 두 제조사의 지오메트리에 비해 좀 더 공격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다.

(3) 트렉, 자이언트, 메리다의 그래블 지오메트리 비교
구분체크포인트
SL
리볼트 2사일렉스
400
시트 튜브540470470
시트 튜브 각도73.5°73.5°74°
헤드 튜브 길이126150180
헤드 각도71.8°70.5°71°
유효 탑 튜브551550554
바텀 브라켓 드롭767075
체인스테이 길이425430430
오프셋4950
트레일6475
휠베이스101410361034
스탠드 오버775749744

‘사일렉스 400’이 그래블 자전거가 추구하는 방향성에 가장 적합한 지오메트리를 가지고 있다. 편안한 자세를 추구하며, 주행 안정성이 좋고, 많은 짐을 싣기에 용의한 구조를 지향한다.

3. 프레임 소재

트렉 로드 자전거의 알루미늄 소재 등급은 ‘100 시리즈 알파 알루미늄’과 ‘300 시리즈 알파 알루미늄’으로 구분되며 경량화와 강성의 균형을 추구한다. 그리고 트렉 MTB의 알루미늄 소재 등급은 ‘알파 실버 알루미늄’, ‘알파 골드 알루미늄’, ‘알파 플래티넘 알루미늄’으로 구분되며 강성에 중점을 두면서 경량화를 추구한다. 각 등급에 따른 알루미늄 합금 소재에 대한 정보나 특징은 공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재질에 대한 정확한 평가는 불가능하다. ‘트렉 도마니 AL3 디스크 2021’에는 트렉의 고급 알루미늄 프레임이라고 소개되어 있는 ‘100 시리즈 알파 알루미늄(중국산)’을 적용했다.

4. 포크 소재

포크는 ‘도마니 AL 카본 포크’이고, 포크와 헤드셋의 연결 부위인 스티어러는 알루미늄 합금이다. 풀 알루미늄 합금 포크보다 프레임의 진동을 조금 더 잘 흡수해준다고 하는데, ‘트렉 도마니 AL3 디스크 2021’에 풀 알루미늄 합금 포크를 장착해서 탑승해보지 않았기 때문에 효과가 더 좋은지는 알 수 없다. 웹상에서 카본 포크와 알루미늄 합금 스티어러 조합과 풀 알루미늄 합금 포크의 성능을 비교한 자료를 찾아봐도 신뢰할만한 테스트 결과 없이 뇌피셜만 있었기 때문에 일반적인 성능 차이조차 가늠할 수 없었다.

○ 휠

앞 허브포뮬러 RX-512
뒷 허브포뮬러 RX-142
본트래거 어피니티 TRL 디스크
폭 21mm
스포크14g 스테인리스 스틸
타이어본트래거 R1 하드-케이스 라이트 로드 타이어
700 x 32c
최대 타이어 크기700 x 35c

휠셋은 주행감과 승차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1. 허브

휠셋이 회전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부품으로 자전거와 탑승자의 하중, 노면 충격을 직접 받기 때문에 품질과 내구성이 아주 중요하다. 포뮬러(Formula)는 1994년에 설립된 대만 기업으로 허브, 림, 스포크 등을 전문적으로 생산한다. 포뮬러 RX-512와 RX-142은 디스크 브레이크를 사용하기 위한 로드 자전거용 허브로 소재는 알루미늄 합금이다.

2. 림

본트래거 어피니티 TRL 디스크(Bontrager Affinity TRL Disc)는 디스크 브레이크를 사용하기 위한 로드 자전거용 림으로 소재는 알루미늄 합금이다. TRL은 Tubeless Ready Rims(튜블리스 레디 림)의 약자로 클린처 타이어용 림이지만, 튜블리스 타이어를 사용하기 위한 추가적인 조치를 할 경우 튜블리스 타이어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3. 스포크

허브와 림을 이어줘서 강한 인장력으로 하중을 지지해주는 부품이다. 스포크는 설치 방식에 따라 ‘래디얼 패턴’과 ‘크로스 패턴(탄젠트 패턴)’으로 구분되는데, ‘래디얼 패턴’은 스포크가 림과 수직이 되도록 방사형으로 연결되고, 스포크의 길이가 짧은 만큼 무게가 가볍고 수직 강성이 조금 더 높다. 그리고 크로스 패턴(탄젠트 패턴)은 교차 개수에 따라 1 크로스, 2 크로스, 3 크로스 등으로 구분되며, 스포크의 길이가 긴 만큼 조금 더 무겁고 수직 강성이 조금 더 낮고, 수평 강성이 높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자전거는 ‘크로스 패턴(탄젠트 패턴)’을 사용하며, 앞바퀴에 ‘래더얼 패턴’을 사용하더라도 뒷 바퀴에는 카세트가 있어서 ‘크로스 패턴(탄젠트 패턴)’을 사용한다. ‘트렉 도마니 AL3 디스크 2021’의 림에는 스포크 여러 개가 교차되어 연결되는 크로스 패턴(탄젠트 패턴)이 적용되었고 스포크의 소재는 스테인리스 스틸이다.

4. 타이어

본트래거 R1 하드-케이스 라이트 로드 타이어(Bontrager R1 Hard-Case Lite Road Tire)는 튜브에 공기를 주입하는 클린처 타이어이다. 외부 직경은 700mm이고, 타이어 두께는 32mm이고, TPI(Thread Per Inch, 인치 당 섬유질의 직접도)는 60이고, 최대 PSI(Pounds per Square Inch, 인치 당 공기압)은 70이고, 타이어 표면에 노브가 없다. 그리고 Hard-Case Lite 기술이 적용되어 가벼운 수준의 펑크 방지를 지원한다.

일반적인 로드 자전거의 타이어 두께는 25c 또는 28c이고 그래블 자전거의 타이어 두께는 38c 이상인데, 도마니에는 속도와 승차감을 모두 고려한 타이어 두께가 적용되었다. 참고로 ‘트렉 도마니 AL3 디스크 2021’에 장착 가능한 최대 타이어 두께는 35c이다.

○ 구동계

변속 레버시마노 소라 R3000
9단
앞 변속기시마노 소라 R3000
뒷 변속기시마노 소라 R3000
크랭크시마노 소라 R3000
50/34(컴팩트)
바텀 브라켓시마노 RS500
카세트시마노 알리비오 M3100
HG400
11-32
9단
체인시마노 카프레오 F800
HG53
9단
브레이크 캘리퍼텍트로 MD-C550
기계식 디스크 브레이크
브레이크 로터텍트로 TR160-22

자전거에 동력을 전달하는 부품이다. 흔히 구동계라고 하면 변속 레버, 앞 변속기, 뒷 변속기, 크렝크셋, 바텀 브라켓, 체인, 허브, 브레이크 레버, 브레이크, 휠, 클릿페달이 포함되는데, 각 제조사의 구동계 그룹 세트의 종류와 등급에 따라 부품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시마노의 로드 자전거 구동계 등급은 Tourney(투어니) < Claris(클라리스) < Sora(소라) < Tiagra(티아그라) < 105 < Ultegra(울테그라) < Ultegra Di2(울테그라 Di2) < Dura-ace(듀라에이스) < Dura-ace Di2(듀라에이스 Di2)로 구분된다. 시마노의 구동계 그룹 세트 설명을 보면 투어니 등급은 가벼운 도심 라이딩에 최적화되어 있고, 클라리스 등급은 가벼운 스포츠 활동이나 출퇴근에 최적화되어 있고, 소라 등급은 편안한 스포츠 라이딩에 최적화되어 있고, 티아그라 등급은 레이싱 엔트리 레벨에 최적화되어 있고, 105 등급은 로드 사이클링 스포츠의 초보자에게 최적화되어 있고, 울테그라 등급은 프로 선수에게 최적화되어 있고, 듀라에이스 등급은 시마노 최고의 기술력을 담고있는 부품군이라고 소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구동계 그룹 세트의 등급이 높아질수록 변속이 더 부드럽게 되고, 부품의 무게가 더 가벼워지고, 가격은 매우 비싸진다. 그리고 기어 단수가 투어니 등급은 7단, 클라리스 등급은 8단, 소라 등급은 9단, 티아그라 등급은 10단, 105 등급은 11단이고, 105 등급 이상은 11단으로 같기 때문에 본격적으로 레이싱을 즐기는 사람들은 105 등급 이상의 구동계를 선호한다.

소라 R3000 그룹 세트는 2016년에 출시했고, 듀얼 컨트롤 레버, 앞 변속기, 크랭크셋, 바텀 브라켓, 뒷 변속기, 카세트, 림 브레이크 앞 허브, 림 브레이크 뒷 허브로 구성되어 있다. 티아그라 등급 구동계 세트나 105 등급 구동계 세트부터는 체인, 디스크 브레이크 허브, 디스크 브레이크 캘리퍼, 디스크 브레이크 로터, 휠, 클릿페달이 구동계 세트에 포함되어 있지만, 소라 등급에는 최소한의 로드 자전거 구동계만 포함되어 있어서 ‘트렉 도마니 AL3 디스크 2021’에는 듀얼 컨트롤 레버, 앞 변속기, 뒷 변속기, 크랭크셋, 바텀 브라켓만 소라 R3000 시리즈 구동계 세트로 구성했고 카세트와 체인은 다른 등급의 부품이 적용했고 허브와 브레이크는 다른 회사의 제품을 적용했다. 카세트는 시마노의 MTB 구동계 라인업 중 Alivo(알리비오) 등급인데, 소라 등급과 비슷한 수준의 구동계이고 소라 등급 카세트와 형태가 같아서 소라 등급의 구동계를 적용한 로드 자전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체인은 시마노의 생활 자전가 구동계 라인업 중 Capreo(카프레오) 등급인데, 시마노의 모든 구동계 등급 중 가장 저렴한 등급이기 때문에 원가 절감을 위해서 로드 자전거에 적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허브는 포뮬러 사의 디스크 브레이크 허브가 적용했고, 브레이크는 텍트로 사의 디스크 브레이크를 적용했다.

결과적으로 ‘트렉 도마니 AL3 디스크 2021’의 구동계는 시마노의 소라 R3000 시리즈 구동계 세트를 적용할 수 있는 부분을 제외하면 소라 등급보다 수준이 떨어지는 부품을 적용했다.

○ 부품

안장본트래거 P3 벌스 콤프
스틸 레일
싯포스트본트래거 콤프
27.2mm
오프셋 8mm
길이 330mm
6061 알루미늄 합금
싯포스트 클램프본트래거 프리미엄 싯포스트 클램프
스템본트래거 엘리트
31.8mm
7도
길이 90mm
블렌더 호환
핸들바본트래거 콤프 VR-C
알루미늄 합금
31.8mm
리치 100mm
드롭 124mm
너비 420mm
핸들바 테이프본트래거 슈퍼택 퍼프 테이프
헤드셋FSA 통합형
페달웰고

본트래거(BONTRAGER)는 트렉의 자회사로 자전거 부품과 액세서리를 제조하고 공급한다. ‘트렉 도마니 AL3 디스크 2021’에는 본트래거의 기본 부품들을 적용했다.

안장은 ‘본트래거 P3 벌스 콤프’인데, 실제 안장에 ‘Verse’라는 문구는 있으나 트렉 사이트에서 소개되어 있는 제품이 아니다. 내가 구매한 자전거에만 다른 안장이 달려있는 것인지 한국에는 다른 안장이 장착된 것인지 제품 링크가 잘못된 것인지는 알 길이 없다. 안장 패드 부분만 다르다면 생산 연식에 따라 그럴 수도 있겠지만, 안장 밑 부분 디자인도 달라서 트렉 사이트에서 소개하고 있는 제품과 다른 제품인건 확실하다.

싯포스트는 ‘본트래거 콤프 싯포스트’로 추정된다. 실제 제품과 트렉 사이트에 공개된 이미지를 비교했을 때 형태는 같으나 프린팅은 되어있지 않다. 프린팅한 제품으로 사진을 촬영하고 원가절감 차원에서 프린팅을 뺀 것으로 추정된다.

스템은 ‘본트래거 엘리트 스템’으로 로드 자전거와 MTB 모두 사용할 수 있고, 블렌더 시스템을 지원한다. 블랜더 시스템은 본트래거 스템에 본트래거 마운트를 장착하고 연장해서 액세서리를 쉽고 깔끔하게 부착할 수 있는 통합 시스템으로 본트래거 액세서리뿐만 아니라 고프로, 가민 속도계 등 타사 액세서리도 지원한다.

○ 무게

무게10.54 kg
(56 size)
무게 제한125 kg

트렉 사이트에 공개된 자전거의 무게는 모두 56 사이즈 기준으로 표기되어 있기 때문에 54 사이즈 무게는 알 수 없다.

트렉 도마니 AL3 연식에 따른 변화

2017년에 엔듀어런스(엔듀런스) 지오메트리가 적용된 ‘도마니 AL’ 시리즈가 첫 출시한 이후 ‘도마니 AL3 2018’, ‘도마니 AL3 2019’, ‘도마니 AL3 2020’까지는 레이싱 스타일을 유지하다가 2020년에 프레임, 포크, 브레이크를 업그레이드하고 타이어 규격을 변경하면서 레이싱 스타일을 버리고 그래블 스타일을 지향하는 ‘도마니 AL3 2021’을 출시했다. 그리고 2021년에 바텀 브라켓을 시마노 RS500에서 Prowheel PW-BB73+로 변경하고 무게를 0.24kg 줄이고 가격을 210,000원 높인 ‘도마니 AL3 2022’을 출시했다.

○ 도마니 AL3 2018

– 도마니 AL 시리즈 첫 출시
– 프레임 컬러: 실버, 블랙
– 안장: 본트래거 몬트로스 콤프, 크로몰리 레일
– 카세트: 11-28
– 핸들바 테이프: 본트래거 테이프
– 헤드셋: 명칭이 없는 통합형 헤드셋
– 브레이크: 명칭이 없는 알루미늄 합금 듀얼-피봇 림 브레이크
– 허브: 명칭이 없는 알루미늄 합금
– 타이어: 본트래거 T2, 700x25c (스펙표에는 28c라고 표기되어 있지만, 실제 제품은 25c이다)
– 장착가능한 타이어 두께: 최대 28c
– 무게: 9.77kg
– 가격: 890,000원

○ 도마니 AL3 2019

– 프레임 컬러: 블랙, 레드
– 안장: 본트래거 아르바다 콤프
– 카세트: 11-32
– 핸들바 테이프: 본트래거 테이프
– 헤드셋: 명칭이 없는 통합형 헤드셋
– 브레이크: 명칭이 없는 알루미늄 합금 듀얼-피봇 림 브레이크
– 허브: 명칭이 없는 알루미늄 합금
– 타이어: 본트래거 R1 하드-케이스 라이트, 700x25c (스펙표에는 28c라고 표기되어 있지만, 실제 제품은 25c이다)
– 장착가능한 타이어 두께: 최대 28c
– 무게: 9.74kg
– 가격: 890,000원

○ 도마니 AL3 2020

– 프레임 컬러: 블랙, 레드
– 안장: 본트래거 아르바다 콤프
– 카세트: 11-32
– 핸들바 테이프: 본트래거 테이프
– 헤드셋: 명칭이 없는 통합형 헤드셋
– 브레이크: 명칭이 없는 알루미늄 합금 듀얼-피봇 림 브레이크
– 허브: 명칭이 없는 알루미늄 합금
– 타이어: 본트래거 R1 하드-케이스 라이트, 700x25c (스펙표에는 28c라고 표기되어 있지만, 실제 제품은 25c이다)
– 장착가능한 타이어 두께: 최대 28c
– 무게: 9.75kg
– 가격: 890,000원

○ 도마니 AL3 디스크 2021

– 프레임 컬러: 그레이, 화이트, 아쿠아 (한국에는 화이트만 출시함)
– 내장식 케이블 라우팅 프레임/포크
– 안장: 본트래거 P3 벌스 콤프, 스틸 레일
– 카세트: 11-32
– 핸들바 테이프: 본트래거 슈퍼택 퍼프 테이프
– 헤드셋: FSA 통합형 헤드셋
– 브레이크: 텍트로 MD-C550 기계식 디스크 브레이크
– 허브: 포뮬러 RX-512 / 포뮬러 RX-142
– 타이어: 본트래거 R1 하드-케이스 라이트 로드 타이어, 700x32c
– 장착가능한 타이어 두께: 최대 35c
– 무게: 10.54kg
– 가격: 1,150,000원

○ 도마니 AL3 디스크 2022

– 프레임 컬러: 그레이, 화이트, 아쿠아 (한국에는 화이트만 출시함)
– 내장식 케이블 라우팅 프레임/포크
– 안장: 본트래거 P3 벌스 콤프, 스틸 레일
– 바텀 브라켓: Prowheel PW-BB73+
– 카세트: 11-32
– 핸들바 테이프: 본트래거 슈퍼택 퍼프 테이프
– 헤드셋: FSA 통합형 헤드셋
– 브레이크: 텍트로 MD-C550 기계식 디스크 브레이크
– 허브: 포뮬러 RX-512 / 포뮬러 RX-142
– 타이어: 본트래거 R1 하드-케이스 라이트 로드 타이어, 700x32c
– 장착가능한 타이어 두께: 최대 35c
– 무게: 10.3kg
– 가격: 1,360,000원
– 가격: 1,490,000원 (2022.03.29에 확인해 보니 사양은 같은데 소비자 가격만 130,000원이 더 높아져 있었다)

트렉 도마니 AL3 디스크 2021 사이즈

자전거 사이즈를 고르는 방법은 제조사 사이트에 나와 있지만, 신체적 특징에 따른 예외 상황을 고려할 수 없기 때문에 샵에 가서 직원에게 물어보고 구매하는 게 정확하다. 물론 샵에서 악성 재고를 빼기 위해 잘못된 사이즈를 추천할 수도 있기 때문에 사람들에게 평가가 좋은 샵을 방문하는 게 좋다. 트렉 샵에 가서 인심을 측정하니 84cm였다. 그리고 키 175cm, 인심 84cm는 54 사이즈가 알맞다고 해서 샵에 전시되어 있던 ‘트렉 도마니 AL3 디스크 2021’ 54 사이즈를 구매했다.

전시품은 새 제품이 아니지만, 세계적인 전염병이 창궐한 이후 실내 운동보다 실외 운동이 대세가 되면서 자전거 업계도 역대급 호황을 맞이했고 새 자전거를 구매하려면 수개월씩 기다려야 하다 보니 전시품을 구매했다. 그나마 내가 구매한 자전거의 바퀴는 아주 깔끔했고 전시품인 만큼 잠시 타보긴 했겠지만 특별히 눈에 띠는 이상은 없었다. 로드 자전거를 처음 타본다고 하니 구매한 자전거를 고정식 롤러에 장착해서 기어 변속과 탑승 자세에 대해 간단하게 배울 수 있었다.

트렉 도마니 AL3 디스크 2021 소감

– 자전거를 구매한 직후 야간 내리막길에서 브레이크가 생각보다 잘 잡히지 않아서 걱정했는데, 며칠 타다 보니 처음보단 훨씬 잘 잡아줘서 안전하게 라이딩을 할 수 있었다.
– S자 급커브 내리막에서 방향 전환이 좀처럼 잘 안 되었는데, 커브 방향으로 몸을 기울여서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었다.
– 언덕 오르기를 할 때 케이던스가 낮아서 그런지 변속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반응이 조금 늦거나 한 템포 지연되지만, 하체 근력을 키우고 체력을 늘리면 개선되리라 추정된다.
– 타이어 굵기가 32c여서 그런지 한국 특유의 울퉁불퉁한 보도블록 위를 주행하는 데 무리가 없었다.
– 타이어 굵기가 32c였지만, 보도블록과 자전거도로의 경계선에 바퀴가 잘못 들어갔을 때 슬립이 발생하면서 자전거가 크게 휘청거린 경우가 있었다. 야간에 자전거 도로 위로 걷는 사람들이 많아서 자전거 도로와 보도블록 사이를 왔다 갔다 할 때 슬립이 나서 자세가 무너졌는데 꽤 위험했었다.
– 화이트 컬러 프레임과 레드 컬러 로고가 보면 볼수록 마음에 든다. 특히 야간 라이딩을 많이 하다 보니 화이트 컬러 자전거를 잘 선택한 것 같다.
– 제조사 기준 저가형 자전거이지만, 자전거에 취미가 없는 사람 기준에선 꽤 비싼 자전거다 보니 115만원이라는 가격이 성능 대비 합당한지는 잘 모르겠다. 개인적으로는 딱 만족하지만, 다른 사람에게 추천하기는 어렵다.

트렉 도마니 AL3 디스크 2021 이미지

트렉 도마니 AL3 디스크 2021 측면
도마니 AL3 디스크 2021 측면
트렉 도마니 AL3 디스크 2021 구동계
도마니 AL3 디스크 2021 구동계
트렉 도마니 AL3 디스크 2021 안장
도마니 AL3 디스크 2021 안장
트렉 도마니 AL3 디스크 2021 핸들바
도마니 AL3 디스크 2021 핸들바
트렉 도마니 AL3 디스크 2021 타이어
도마니 AL3 디스크 2021 타이어

자전거 용품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헬멧, 낙차 시 손을 보호하기 위한 장갑, 야간 라이딩 시 필요한 전조등과 후미등, 지속적인 라이딩을 위한 물통 케이지와 물통, 자전거 관리를 위한 공기주입기, 자전거 보관을 위한 거치대를 구매했다. 트렉 샵에서 자전거를 구매하면 결제 방식에 따라 구매 금액의 몇 퍼센트를 용품 구입비로 지원해주는데, 헬멧과 전조등을 구매하고 나머지 용품은 모두 별도로 구매했다.

1. 본트래거 스타보스 사이클링 헬멧

본트래거 기본 헬멧이다. 머리 뒷면의 원형 버튼을 돌려서 헬멧의 높이와 둘레를 직관적으로 조정할 수 있고, 턱 고정 스트랩을 조정해서 고정감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충돌 사고 파손 교체 보증 서비스’가 적용되어 구매 후 1년 이내에 사고로 헬멧이 파손될 경우 무상으로 헬멧을 교체해준다. 사이즈는 미디엄(54-60cm), 라지(58-63cm), X-라지(60-66cm)로 구분되어 있는데, 라지(58-63cm)를 구매했다. 트렉 샵에 디스플레이된 저가형 헬멧 두 가지를 써봤는데, 개인적으로 ‘본트래거 스타보스 사이클링 헬멧’이 가장 편했다. 라지(58-63cm) 기준 헬멧 무게는 295g이고, 라이딩 중에 헬멧이 신경 쓰인 적은 단 한 번도 없었다.

2. 락브로스 S109 스파이더 반장갑

저렴한 가격대의 패드 반장갑이다. 엄지 부분은 두꺼운 천 재질로 되어 있어서 흐르는 땀을 닦기 좋았고, 검지 부분은 메쉬 재질로 되어 있어서 라이딩 시 바람이 들어오는 게 느껴졌고, 손등 부분은 신축성 좋은 얇은 천으로 되어 있어서 착용감이 좋았다. 그리고 핸들바와 마찰이 잦고 가장 많은 힘이 가중되는 엄지와 검지 사이에는 스웨이드 재질감의 두꺼운 천이 덧대어서 좋았고, 손바닥 부분의 패드도 쿠션감이 좋았다. 그리고 손목 부분에는 벨크로가 있어서 손목의 고정감을 조정할 수 있었다. 사이즈는 S(7.0-7.5cm), M(7.5-8.0cm), L(8.0-9.0cm), XL(9.0-10.0cm)로 구분되어 있는데, 엄지를 제외한 손바닥 길이가 8cm여서 L사이즈를 구매했고 손에 꼭 맞았다. 저렴한 가격대비 품질이 좋아서 추천할만하다.

3. 본트래거 이온 450R 자전거 전조등

본트래거 기본 전조등이다. 최대 450 루멘의 밝기를 지원하는데, 제조사가 공개한 사용 시간은 450루멘에서 1.5시간, 200루멘에서 3시간, 100루멘에서 6시간, 야간 점멸 시 9시간, 주간 점멸 시 10시간이다. 충전기는 없고 5핀 USB 포트가 제공되며, 완충까지 약 4시간이 소요된다. 일반적인 핸들바에 모두 장착이 가능하고, 블렌더 시스템을 적용할 수도 있다.

4. 락브로스 스마트 라이트 Q5 후미등

중간 가격대의 후미등이다. 후미등 모드는 빠른 점멸, 점멸, 느린 점멸, 지속 네 가지를 지원하고 고감도 진동 감지 센서가 내장되어서 정지 후 30초가 지나면 라이트가 자동으로 꺼지고, 진동 감지 시 다시 라이트가 켜진다. 그리고 표시 램프를 통해 배터리 잔량을 4단계로 표시 해주는데, 제조사가 공개한 사용 시간은 지속 모드에서 20시간, 자동 모드에서 30시간, 점멸 모드에서 50시간이다. 충전기는 없고 5핀 USB 포트가 제공된다. 그리고 본체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무게는 55g이고 IPX6 방수를 지원한다. 장착 방식은 안장 레일 장착 방식과 시트 포스트 장착 방식 두 가지를 지원하는데, 안장 레일 마운트 후미등을 구매했다.

5. 락브로스 2017-11B 알루미늄 물통 케이지

저렴한 가격대의 물통 케이지로 자전거 물통과 500mL 생수통을 고정할 수 있다. 소재는 알루미늄 합금이고 무게는 33g이다. 구성품은 물통 케이지와 고정 나사 2개이다. 고정 나사를 사용하려면 나사 머리 규격에 맞는 육각 렌치가 필요한데, 나사 머리 규격이 애매해서 육각 렌치 세트가 없다면 물통 케이지 설치가 어려울 수 있다.

6. 엘리트 플라이 CMC-WCC 팀 550ml 물통

자전거 팀 브랜드가 프린팅된 물통이다. 식품 적합성에 대한 CE 및 FDA 규정을 준수하고 BPA(Bisphenol A)가 무첨가되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소재는 플라스틱이고 무게는 54g이고 물통이 견딜 수 있는 최대 액체 온도는 40℃이다. 라이딩 내내 물이 새지 않아서 좋았다.

7. 바이크 크레들리 바퀴 스탠드 자전거 거치대

바이크 크레들리라는 브랜드명이 프린팅 되어 있지만, 딱 봐도 중국 공장에서 대량 생산한 제품을 여러 수입사들이 아무 브랜드명이나 붙여서 들여온 후 판매하는 제품이다. 휠 크기가 20인치에서 29인치 사이인 자전거를 거치할 수 있다.

8. 앞바퀴 고정 받침대

딱 봐도 중국 공장에서 대량 생산한 제품을 여러 수입사들이 들여온 후 판매하는 제품이다. 실내 고정 로라를 사용할 때 앞바퀴를 거치하기 위한 제품이다.

9. 샤오미 미지아 휴대용 공기주입기

공식 수입사와 구매 대행사에서 구매할 수 있는데, 가격이 더 저렴한 구매 대행사에서 구매했다. 숫자로 타이어 압력을 표시해주고, 설정한 압력까지 공기가 주입되면 자동으로 정지한다. 공기 주입 범위는 bar 기준 0.2부터 10.3까지이고, psi 기준 3부터 150까지이다. 배터리 용량은 200mAh로 5핀 USB 포트로 충전할 수 있고 충전 시간은 약 3시간이다. 소음이 약 80dB로 크기 때문에 방음이 잘 안 되는 실내에서 공기 주입을 할 경우 민폐를 끼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최종 업데이트:

댓글

  1. 도마니 디스크 모델이 나왔다해서 들어왔는데 엄청 도움되는 글이에요. 감사합니다. 2018년식 타고있는데 브레이크가 디스크 브레이크면 더 안전할것 같아서요 ㅎㅎ

    답글
    • 근래 들어서 무게가 늘더라도 안정성을 위해 림 브레이크에서 디스크 브레이크로 바뀌는 추세인 것 같습니다^^

      답글
      • 트렉 공식 홈피보다 더 상세한 정보에 감사드립니다 (산지 일주일된 메리다 스컬트라 100팔고) 여주시에서 자전거타고 5시간걸리는 미사강변로 trek 직영점 가서 재고 있냐고 물어봐야겠어요

        답글
  2. 자전거 상세사양~ 와~~~~
    정말 자전거 명칭을 익히기에 아주 좋은 자료입니다^^
    잘 보고 갑니다.

    답글
    • 네 감사합니다!
      찾아볼 수 있는 정보들을 최대한 취합해서 작성했습니다.ㅋ

      답글
  3. 도마니 al3 2022로 입문합니다. 본 글 중 최고의 리뷰입니다. 공부 정말 많이했네요~ 가격이 2022는 좀 바가지 스럽네요…ㅠㅠㅋ

    답글
    • 작년부터 인기가 좋은 모델이라 그런지 거의 바뀐 부분 없이 가격만 높여서 출시한 것 같습니다. 즐라합시다 ^^

      답글
  4. 22년도 3월 인데 149네요 이제 가격이 ㅠ
    그래도 100만원 초중반대에선 얘가 젤이쁜거같음

    답글
    • 답글 감사합니다. 저도 가격을 확인해 보니 출시가 대비 13만 원이 더 비싸졌네요. 115만원에 판매하던 제품을 큰 변화없이 149만원에 판매하는 건 너무한 것 같습니다;; 디자인은 확실히 좋습니다. 장기간 타면서 프레임이 조금 험해졌는데도 애착이 갑니다. 백색 프레임에 붉은 색 로고가 눈에도 잘 띠고 이뻐요. ㅎㅎ

      답글
      • 저도 도마니al3으로 예약했습니다.

        이가격이면 105급 메리다도 가능한데
        이색상에 한번빠지니까 다른게 눈에안들어오네요.

        저도 175cm에 인심 80정도라서 매장에선 54사이즈 추천해주셨는데
        혹시 54사이즈 타시면서 괜찮으신가요?

        답글
        • 매장에서 측정해보신거라면 문제없으리라 봅니다.

          저는 매장에서 인심을 측정하고 바로 매장에 비치된 54 사이즈 모델을 탑승하고 탑승 자세까지 배웠었는데, 아직까지 불편한 점없이 잘 타고 있습니다. ^^

  5. 대단하십니다. 저도 이거 타고 있는데요. 가격이 진짜 사악하게 올랐네요…제가 제일 비싸게 주고 샀네요 ㅎㅎ 그래도 입문용으로 매우 만족하면서 타고 있습니다. 자전거가 이뻐요~~ 좋은 분석글 아주 잘 보고 갑니다~

    답글
    • 답글 감사합니다!
      가격이 사악하게 오르긴 했어도
      디자인 하나는 정말 마음에 드는 자전거입니다~! ㅋ

      답글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