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프레임 카메라로 촬영한 4K 영상을 외장 SSD에 저장하고 영상 편집을 하고자 데이터 전송 속도가 1,000MB/s 이상이고 외부 환경 요인에 대한 안전성이 높아 보이는 샌디스크 익스트림 포터블 SSD V2 E61 1TB를 구매했다.
주의사항 1. 2021년 7월 7일에 샌디스크 익스트림 포터블 SSD V2 E61 1TB 새 제품을 170,850원에 구매했다. 2. 샌디스크 역사는 샌디스크를 인수한 웨스턴 디지털이 공식 사이트에 공개한 역사 항목을 기반으로 작성했고 추가적인 내용은 해외 리뷰 사이트의 정보를 참고했다. 3. 벤치마크를 한 번 할 때마다 물리적으로 SSD의 수명이 줄어들기 때문에 리뷰를 작성할 목적이 아니라면 벤치마크를 하지 않는 게 좋다. 만약에 직접 벤치마크를 하겠다면 AJA System Test, Crystal Disk Mark를 추천하고, 시스템 자원을 과도하게 사용하는 나래온 더티 테스트와 DiskBench는 추천하지 않는다. 4. 개인적인 경험과 웹상의 정보를 종합해서 작성했기 때문에 사실과 다른 정보가 있을 수도 있다.
목차
- SanDisk 브랜드
- NVMe Portable 1TB 외장 SSD 비교
- SanDisk Extreme Portable SSD V2 E61 1TB 외장 SSD 사양
- SanDisk Extreme Portable SSD V2 E61 1TB 외장 SSD 개봉
- SanDisk Extreme Portable SSD V2 E61 1TB 외장 SSD 디자인
- SanDisk Extreme Portable SSD V2 E61 1TB 외장 SSD 성능
- SanDisk Extreme Portable SSD V2 E61 1TB 외장 SSD 소프트웨어
- SanDisk Extreme Portable SSD V2 E61 1TB 외장 SSD 소감
SanDisk 브랜드
○ SanDisk 역사
연도 | 연혁 |
---|---|
1988 | 엘리 하라리(Eli Harari), 산자이 메트로라(Sanjay Mehrotra), 잭 유안(Jack Yuan)이 캘리포니아에 SunDisk를 설립했다. |
1988 | 엘리 하라리가 동료들과 함께 시스템 플래시를 개발했다. |
1990 | SunDisk가 Western Digital과 협력해서 플래시 메모리를 상용화했다. |
1991 | 세계 최초로 SSD(Solid State Drive)를 출시했다. 최초의 SSD는 IBM ThinkPads 용 저장장치로 용량은 20MB였고 가격은 약 1,000달러였다. |
1992 | SunDisk가 Kodak 및 Canon과 공동으로 카메라 카드 슬롯을 표준화했다. |
1993 | 미국 우주선에 SunDisk의 플래시 드라이버가 탑재되었다. |
1994 | SunDisk가 개발한 콤팩트 플래시(CompactFlash, CF)가 산업 표준으로 부각되었다. |
1995 | Sun Microsystems가 SunDisk의 회사명에 문제를 제기하자 회사명을 SanDisk로 변경했다. |
1995 | SanDisk가 미국 나스닥에 주당 10달러로 상장되었다. |
1996 | 세계 최초로 64MB MLC NOR Flash 칩을 출시했다. |
1999 | SanDisk가 첨단 기술 개발 및 대량 생산을 위해 Toshiba와 플래시 메모리 업계 최초로 NAND 합작 투자사를 구성했다. |
1999 | SanDisk가 Panasonic 및 Toshiba와 공동으로 SD카드를 개발하기로 협의했다. |
2000 | SanDisk가 Toshiba와 NAND 플래시 메모리 개발에 집중했다. |
2000 | 64MB SD카드를 출시했다. |
2001 | SanDisk가 Toshiba와 협력해서 비트 당 단가가 가장 낮은 세계 최초의 NAND MLC 1GB 칩을 개발했다. |
2002 | 크루저 USB 드라이브를 출시했다. |
2003 | SanDisk가 Toshiba와 협력해서 90nm MLC NAND 플래시 메모리를 개발했다. |
2004 | SanDisk가 Motorola와 협력해서 휴대폰용 128MB TransFlash 이동식 카드(나중에 Micro SD카드로 이름이 변경됨)를 출시했다. |
2005 | SanDisk가 Toshiba와 협력해서 70nm MLC NAND 플래시 메모리를 개발했다. |
2006 | SanDisk 창업자 3명이 데이터 저장에 혁명을 일으키고 업계 표준이 된 플래시 메모리 기술의 선구적인 작업을 인정받아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미국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가 수여 하는 IEEE Reynold B. Johnson Data Storage Device Technology Award를 수상했다. |
2007 | 최대 읽기 속도 67MB/s의 64GB SATA 5000 2.5인치 SSD를 출시했다. |
2008 | 세계금융위기 상황에서 SanDisk의 재정 상태가 좋지 않자 삼성전자가 SanDisk를 인수하고자 했지만, SanDisk에서 삼성전자가 기업 가치를 너무 저평가했다며 인수 협상을 거절했다. |
2009 | SanDisk가 Toshiba와 협력해서 TLC NAND 플래시 메모리를 개발했고 해당 메모리를 탑재한 32GB 칩을 공개했다. |
2009 | 세계 최초로 43nm QLC NAND 플래시 메모리를 개발했고 해당 메모리를 탑재한 64GB SanDisk Extreme Pro CompactFlash 메모리 카드를 출시했다. |
2012 | SanDisk X100 64GB MLC SATA 6Gbps SSD를 출시했다. |
2014 | 세계 최초로 4TB 용량의 엔터프라이즈 SAS SSD를 출시했다. 세계 최초로 128GB 용량의 microSD 카드를 출시했다. 세계 최초로 512GB 용량의 SDXC SD카드를 출시했다. |
2015 | 세계 최초로 200GB 용량의 microSDXC 카드를 출시했다. 세계에서 가장 작은 128GB USB 3.0 플래시 드라이브를 출시했다. |
2015 | Western Digital이 SanDisk 인수를 선언하자 중국 국영기업 칭화유니그룹의 자회사인 유니플렌더가 Western Digital의 주식 지분 15%를 취득하고 Western Digital을 통해 SanDisk를 우회 인수하고자 했다. |
2016 | 미국 재무부 산하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CFIUS)가 미국 국가 보안 문제로 중국 국영기업 칭화유니그룹에 대해 투자 조사를 하겠다고 하자 중국 칭화유니그룹이 Western Digital의 주식 지분 취득과 SanDisk 우회 인수를 포기했다. |
2016 | Western Digital은 중국 국영기업 칭화유니그룹으로부터 투자를 못 받게 되자 SanDisk 인수가 무산될 위기였으나 결국 자금 조달 문제를 해결한 후 미국, 싱가포르, 일본, 한국, 대만 등의 공정거래 기관으로부터 SanDisk 인수 승인을 받고 마지막으로 중국 상무부로부터 SanDisk 인수에 대한 최종 승인을 받은 후 SanDisk를 약 160억 달러에 인수했다. |
2017 | Western Digital이 Toshiba와 협력해서 세계 최초로 개발한 4세대 96레이어 3D NAND(BiCS4) 칩을 공개했다. |
2018 | Western Digital이 SanDisk Extreme Portable SSD를 출시했다. |
2019 | 4세대 96레이어 3D NAND(BiCS4)가 적용된 NVMe SSD를 출시했다. |
2020 | Western Digital이 Kioxia와 협력해서 개발한 5세대 112레이어 3D NAND(BiCS5) 칩을 공개했다. |
2021 | 기업 구조 재편을 위해 SanDisk의 회사명을 Western Digital GK로 변경했다. SanDisk 회사명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지만, 글로벌 시장에서 SanDisk 브랜드 제품은 지속적해서 출시한다고 했다. |
샌디스크는 1988년에 시스템 플래시를 개발했고 1991년에 세계 최초로 SSD를 출시했다. 이후 낸드플래시 메모리를 지속해서 개발하다가 1999년에 첨단 기술 개발 및 대량 생산을 위해서 도시바와 메모리 업계 최초로 낸드플래시 합착 투자사를 구성했고, 2001년에 비트 당 단가가 가장 낮은 세계 최고의 MLC 낸드플래시 1GB 칩을 출시했다. 그리고 2006년에 SSD 컨트롤러 기술 등을 보유한 엠시스템즈를 인수해서 SSD 기술 관련 역량을 크게 키웠고 2007년부터 본격적으로 SSD 시장에 진출했다.
○ SanDisk Extreme Portable SSD 시리즈
제조사 | SanDisk | SanDisk | SanDisk | SanDisk |
시리즈 | Extreme Portable SSD | Extreme Pro Portable SSD | Extreme Portable SSD V2 | Extreme Pro Portable SSD V2 |
모델명 | E60 | E80 | E61 | E81 |
출시일 | 2018.05 | 2019.10 | 2020.12 | 2020.12 |
용량 | 1 TB | 1 TB | 1 TB | 1 TB |
파일 시스템 | exFAT | exFAT | exFAT | exFAT |
메모리 브랜드 | WD | (정보 없음) | WD | WD |
메모리 기술 | BiCS 64L | (정보 없음) | BiCS4 96L | BiCS 96L |
메모리 저장 방식 | TLC | TLC | TLC | TLC |
쓰기 속도 | (정보 없음) | (정보 없음) | 1,000 MB/s | 2,000 MB/s |
읽기 속도 | 500 MB/s | 1,050 MB/s | 1,050 MB/s | 2,000 MB/s |
컨트롤러 | Marvell 88SS1074 | (정보 없음) | SanDisk 20-82-10023 | (정보 없음) |
SRAM | (정보 없음) | (정보 없음) | 있음 | (정보 없음) |
DRAM | 없음 | (정보 없음) | 없음 | DDR4 |
인터페이스 | SATA | PCIe | PCIe | PCIe |
프로토콜 | AHCI | NVMe | NVMe | NVMe |
외부 인터페이스 | USB 3.1 Gen 2 | USB 3.1 Gen 2 | USB 3.2 Gen 2 | USB 3.2 Gen 2 x2 |
브리지 | ASMedia ASM235CM | (정보 없음) | ASMedia ASM2362 | ASMedia ASM2364 |
S.M.A.R.T | 지원 | 지원 | 지원 | 지원 |
UASP | 지원 | 지원 | 지원 | 지원 |
TRIM | 지원 | 지원 | 지원 | 지원 |
충격보호 | 최대 2m 높이 낙하충격 보호 | 최대 2m 높이 낙하충격 보호 | 최대 2m 높이 낙하충격 보호 | 최대 2m 높이 낙하충격 보호 |
내충격성 | 최대 1500 g | 최대 1500g | 최대 1500 g | 최대 1500g |
내진동성 | 5 gRMS 10-2,000 Hz | 5 gRMS 10-2,000 Hz | 5 gRMS 10-2,000 Hz | 5 gRMS 10-2,000 Hz |
방진/방수 | IP55 | IP55 | IP55 | IP55 |
커넥터 | USB-C | USB-C | USB-C | USB-C |
호환성 | USB 3.1 Gen 2 USB 3.0 USB 2.0 | USB 3.1 Gen 2 USB 3.0 USB 2.0 | USB 3.2 Gen 2 USB 3.0 USB 2.0 | USB 3.2 Gen 2 x2 USB 3.0 USB 2.0 |
작동 온도 | 0℃ – 45℃ | 0℃ – 45℃ | 0℃ – 45℃ | 0℃ – 45℃ |
보관 온도 | -20℃ – 70℃ | -20℃ – 70℃ | -20℃ – 85℃ | -20℃ – 85℃ |
길이 | 96.2 mm | 110.26 mm | 100.54 mm | 110.26 mm |
너비 | 49.5 mm | 57.34 mm | 52.42 mm | 57.34 mm |
두께 | 8.8 mm | 10.22 mm | 8.95 mm | 10.22 mm |
무게 | 78.9 g | (정보 없음) | 50 g | (정보 없음) |
재질 | 알루미늄 ABS 플라스틱 실리콘 | 알루미늄 ABS 플라스틱 실리콘 | 알루미늄 ABS 플라스틱 실리콘 | 알루미늄 ABS 플라스틱 실리콘 |
색상 | Black | Black | Black | Black |
소프트웨어 | SanDisk Secure Access | (정보 없음) | SanDisk Secure Access | SanDisk Secure Access |
소프트웨어 기능 | 128bit AES 하드웨어 암호화 | (정보 없음) | 256bit AES 하드웨어 암호화 | 256bit AES 하드웨어 암호화 |
보증 기간 | 3년 제한 보증 | 5년 제한 보증 | 5년 제한 보증 | 5년 제한 보증 |
구성품 | 본체 USB-C 케이블 USB-A 어댑터 | 본체 USB-C 케이블 USB-A 케이블 | 본체 USB-C 케이블 USB-A 어댑터 | 본체 USB-C 케이블 USB-A 케이블 |
출시가 | 459,000 원 | 490,000 원 | 269,000 원 | 369,000 원 |
최저가 | 125,000 원 | 194,000 원 | 168,000 원 | 237,000 원 |
2020년 12월에 출시한 샌디스크 익스트림 포터블 SSD V2 E61 1TB는 NVMe 프로토콜, PCIe 3.0 x4 인터페이스, PCIe 3.0 x2 브리지, 최대 전송 속도가 10Gbps인 USB 3.2 Gen 2 인터페이스를 적용해서 쓰기 속도가 1,000MB/s이고 읽기 속도가 1,050MB/s인데, 샌디스크 익스트림 프로 포터블 SSD V2 E81 1TB는 NVMe 프로토콜, PCIe 3.0 x4 인터페이스, 최대 전송 속도가 20Gbps인 USB 3.2 Gen 2 x2 인터페이스를 적용해서 쓰기 속도와 읽기 속도가 2,000MB/s이다. 그리고 익스트림 프로에는 DRAM을 탑재해서 지속 쓰기 작업 시 데이터 전송 속도 저하를 최소화했다.
성능과 수명은 샌디스크 익스트림 프로 포터블 SSD V2 E81 1TB이 가장 좋지만, 영상 작업용 소모품으로 사용할 예정이고 앞으로 낸드플래시 메모리의 가격이 더 하락할 수 있어서 데이터 전송 속도가 1,000MB/s인 외장 SSD 중에서 가장 저렴한 샌디스크 익스트림 포터블 SSD V2 E61 1TB를 선택했다.
NVMe Portable 1TB 외장 SSD 비교
○ NVMe Portable 1TB 외장 SSD 사양 비교
제조사 | 삼성전자 | SanDisk | WD | HP |
시리즈 | Portable SSD T7 | Extreme Portable SSD V2 | NEW My Passports | Portable NVMe SSD P700 |
모델명 | MU-PC1T0 | E61 | WDBAGF0010 | 5MS30AA |
출시일 | 2020.05 | 2020.12 | 2020.10 | 2021.05 |
용량 | 1 TB | 1 TB | 1 TB | 1 TB |
파일 시스템 | exFAT | exFAT | exFAT | exFAT |
메모리 브랜드 | 삼성 | WD | WD | Intel |
메모리 기술 | V5 92L | BiCS4 96L | BiCS4 96L | 64L |
메모리 저장 방식 | TLC | TLC | TLC | TLC |
MTBF | (정보 없음) | (정보 없음) | (정보 없음) | 200만 시간 |
쓰기 속도 | 1,000 MB/s | 1,000 MB/s | 1,000 MB/s | 1,000 MB/s |
읽기 속도 | 1,050 MB/s | 1,050 MB/s | 1,050 MB/s | 1,000 MB/s |
컨트롤러 | 삼성 파블로 | SanDisk 20-82-10023 | SanDisk 20-82-10023 | Silicon Motion SM2263EN |
SRAM | 없음 | 없음 | 있음 | 없음 |
DRAM | 없음 | 없음 | 없음 | Micron D9STQ DDR3 1GB |
인터페이스 | PCIe | PCIe | PCIe | PCIe |
프로토콜 | NVMe | NVMe | NVMe | NVMe |
플랫폼 | M.2 | M.2 | M.2 | 온보드 |
외부 인터페이스 | USB 3.2 Gen 2 | USB 3.2 Gen 2 | USB 3.2 Gen 2 | USB 3.2 Gen 2 |
브리지 | ASMedia ASM2362 | ASMedia ASM2362 | ASMedia ASM2362 | JMicron JMS583 |
S.M.A.R.T | 지원 | 지원 | 지원 | 지원 |
UASP | 지원 | 지원 | 지원 | 지원 |
TRIM | 지원 | 지원 | 지원 | 지원 |
충격보호 | 최대 2m 높이 낙하충격 보호 | 최대 2m 높이 낙하충격 보호 | 최대 2m 높이 낙하충격 보호 | – |
내충격성 | – | 최대 1500 g | – | – |
내진동성 | – | 5 gRMS 10-2,000 Hz | – | – |
방진/방수 | 미지원 | IP55 | 미지원 | 미지원 |
커넥터 | USB-C | USB-C | USB-C | USB-C |
호환성 | USB 3.2 Gen 2 USB 3.0 USB 2.0 | USB 3.2 Gen 2 USB 3.0 USB 2.0 | USB 3.2 Gen 2 USB 3.0 USB 2.0 | USB 3.2 Gen 2 USB 3.0 USB 2.0 |
작동 온도 | (정보 없음) | 0℃ – 45℃ | (정보 없음) | (정보 없음) |
보관 온도 | (정보 없음) | -20℃ – 85℃ | (정보 없음) | (정보 없음) |
길이 | 85 mm | 100.54 mm | 100 mm | 92 mm |
너비 | 57 mm | 52.42 mm | 55.0 mm | 65 mm |
두께 | 8.0 mm | 8.95 mm | 9.0 mm | 9.2 mm |
무게 | 58 g | 50 g | 45.7 g | 58 g |
재질 | 알루미늄 | 알루미늄 ABS 플라스틱 실리콘 | 알루미늄 플라스틱 | 알루미늄 플라스틱 |
색상 | Blue Gray Red | Black | Gray Blue Red Gold | Black Blue Red |
소프트웨어 | 삼성 휴대용 SSD 소프트웨어 | SanDisk Secure Access | WD Discovery | – |
소프트웨어 기능 1 | 256bit AES 하드웨어 암호화 | 256bit AES 하드웨어 암호화 | 256bit AES 하드웨어 암호화 | – |
소프트웨어 기능 2 | – | – | 자동 백업 | – |
소프트웨어 기능 3 | – | – | 클라우드 스토리지 다운로드 | – |
보증 기간 | 3년 제한 보증 | 5년 제한 보증 | 5년 제한 보증 | 3년 제한 보증 |
구성품 | 본체 USB-C 케이블 USB-A 케이블 | 본체 USB-C 케이블 USB-A 어댑터 | 본체 USB-C 케이블 USB-A 어댑터 | 본체 USB-C 케이블 USB-A 어댑터 |
출시가 (세금 별도) | 199.99 달러 | 159.99 달러 | 189.99 달러 | 174.99 달러 |
최저가 | 184,090 원 | 167,950 원 | 179,000 원 | 177,500 원 |
2020년부터 출시된 외장 SSD 중에서 가격이 200,000원 미만이고 용량이 1TB이고 데이터 전송 속도가 1,000MB/s 이상인 세계적인 브랜드 제품을 찾아보니 삼성전자 Portable SSD, SanDisk Extreme Portable SSD V2, WD NEW My Passports, HP Portable NVMe SSD P700, Seagate Fast ONE Touch가 있었다. 각 제품의 사양은 제조사 공식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상세 이미지와 데이터 시트, 해외 리뷰 사이트의 정보를 참고했고 정보가 비공개면 정보 없음이라고 표기했다.
위 제품 중에서 샌디스크가 가장 많은 정보를 제공해서 제일 신뢰가 되었고, 삼성전자, 웨스턴 디지털, HP는 조금 미흡한 부분이 있었고, 씨게이트는 기본적인 정보조차 제대로 공개하지 않아서 구매할 생각이 싹 가셨다.
참고로 HP Portable NVMe SSD P700에는 DRAM이 탑재된 만큼 지속 쓰기 성능이 가장 뛰어날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으나 제품마다 컨트롤러 브랜드가 다르고 컨트롤러의 성능에 따라 실제 성능에 큰 차이가 발생하므로 사양표만 보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 NVMe Portable 1TB 외장 SSD 성능 비교
1. Legit Reviews
(1) CrytalDiskMark 7.0.0h
구분 | 읽기 속도 MB/s | 쓰기 속도 MB/s |
---|---|---|
삼성전자 T7 2TB | 1023.5 | 852.3 |
샌디스크 E61 1TB | 1023.5 | 935.2 |
웨스턴 디지털 WDBAGF0010 1TB | 1023.4 | 935.6 |
(2) AJA System Test v12.5 16GB
구분 | 읽기 속도 MB/s | 쓰기 속도 MB/s |
---|---|---|
삼성전자 T7 2TB | 910 | 786 |
샌디스크 E61 1TB | 935 | 861 |
웨스턴 디지털 WDBAGF0010 1TB | 938 | 814 |
(3) 30.5GB 대용량 압축파일 전송 테스트
구분 | 읽기 속도 MB/s | 쓰기 속도 MB/s |
---|---|---|
삼성전자 T7 2TB | 809.66 | 333.62 |
샌디스크 E61 1TB | 807.09 | 354.00 |
웨스턴 디지털 WDBAGF0010 1TB | 803.44 | 351.05 |
(4) 200GB 대용량 파일 전송 테스트
구분 | 쓰기 속도 MB/s |
---|---|
삼성전자 T7 2TB | 498.37 |
샌디스크 E61 1TB | 585.29 |
웨스턴 디지털 WDBAGF0010 1TB | 581.04 |
2. PCMag(PC Magazine) Review
(1) CrytalDiskMark 6.0
구분 | 읽기 속도 MB/s | 쓰기 속도 MB/s |
---|---|---|
삼성전자 T7 Touch 1TB | 952 | 960 |
샌디스크 E61 1TB | 1,072 | 1,044 |
웨스턴 디지털 WDBAGF0010 1TB | 1,066 | 954 |
(2) BlackMage Disk Speed Test
구분 | 읽기 속도 MB/s | 쓰기 속도 MB/s |
---|---|---|
삼성전자 T7 Touch 1TB | 888 | 816 |
샌디스크 E61 1TB | 892 | 915 |
웨스턴 디지털 WDBAGF0010 1TB | 891 | 926 |
3. Tomshardware Review
(1) 게임 로드 성능 – Final Fantasy XIV Shadowbringers
구분 | 로딩 시간 |
---|---|
삼성전자 T7 Touch 1TB | 19.77 초 |
샌디스크 E61 1TB | 17.86 초 |
웨스턴 디지털 WDBAGF0010 1TB | 17.66 초 |
(2) DiskBench 25GB 이미지 데이터 전송 테스트
구분 | 쓰기 속도 MB/s |
---|---|
삼성전자 T7 Touch 1TB | 726 |
샌디스크 E61 1TB | 756 |
웨스턴 디지털 WDBAGF0010 1TB | 717 |
HP P700 1TB | 994 |
(3) 지속 쓰기 성능 테스트
구분 | 성능 하락까지 걸린 시간 초 | 성능 하락 후 쓰기 속도 MB/s |
---|---|---|
삼성전자 T7 Touch 1TB | 50 | 약 580 |
샌디스크 E61 1TB | 15 | 약 875 |
웨스턴 디지털 WDBAGF0010 1TB | 15 | 약 687 |
HP P700 1TB | 150 | 약 600 |
4. Anandtech Review
(1) 10.7GB 블루레이 데이터 전송 테스트
구분 | 읽기 속도 MB/s | 쓰기 속도 MB/s |
---|---|---|
삼성전자 T7 Touch 1TB | 711.60 | 469.95 |
샌디스크 E61 1TB | 754.62 | 468.59 |
웨스턴 디지털 WDBAGF0010 1TB | 739.06 | 471.06 |
HP P700 1TB | 736.72 | 515.41 |
(2) 15.6GB 이미지 데이터 전송 테스트
구분 | 읽기 속도 MB/s | 쓰기 속도 MB/s |
---|---|---|
삼성전자 T7 Touch 1TB | 476.81 | 388.19 |
샌디스크 E61 1TB | 578.05 | 411.79 |
웨스턴 디지털 WDBAGF0010 1TB | 551.68 | 414.88 |
HP P700 1TB | 569.46 | 442.56 |
(3) 16.1GB 동영상 데이터 전송 테스트
구분 | 읽기 속도 MB/s | 쓰기 속도 MB/s |
---|---|---|
삼성전자 T7 Touch 1TB | 693.28 | 463.33 |
샌디스크 E61 1TB | 729.13 | 469.91 |
웨스턴 디지털 WDBAGF0010 1TB | 712.81 | 475.40 |
HP P700 1TB | 725.18 | 518.35 |
(4) 성능 일관성 테스트 – 디스크 용량 90%에 대한 순차 쓰기 16분 이상 테스트
구분 | 시작 지점 최대 속도 Mbps | 시작 지점 최저 속도 Mbps | 끝 지점 최대 속도 Mbps | 끝 지점 최저 속도 Mbps |
---|---|---|---|---|
삼성전자 T7 Touch 1TB | 568 | 550 | 625 | 606 |
샌디스크 E61 1TB | 831 | 812 | 837 | 812 |
웨스턴 디지털 WDBAGF0010 1TB | 681 | 655 | 687 | 662 |
HP P700 1TB | 862 | 830 | 406 | 350 |
○ NVMe Portable 1TB 외장 SSD 사양 및 성능 종합 비교
SanDisk Extreme Portable SSD V2 E61 1TB의 성능이 가장 좋았다.
SanDisk Extreme Portable SSD V2 E61 1TB는 삼성전자 Portable SSD T7 Touch 1TB보다 작동 시 온도가 훨씬 더 높아서 과부하 상태가 장시간 이어지면 낸드플래시의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WD 1TB (2020) NEW My Passports보다 작동 시 온도가 조금 더 높고, HP P700 1TB보다 초기 속도가 느리고 쓰기 속도 지속 시간도 훨씬 짧지만, 저장 장치의 용량이 거의 90% 찬 상황에서 16분 이상의 지속 쓰기 성능이 압도적으로 뛰어났고 방수방진 인증을 받은 점을 고려했을 때 여행 중 노트북으로 사진과 영상을 저장해두고 영상 편집을 하는 데 가장 좋아 보였다.
SanDisk Extreme Portable SSD V2 E61 1TB 외장 SSD 사양
○ 사양

1. 파일 시스템
샌디스크 익스트림 포터블 SSD V2 E61 1TB 외장 SSD의 파일 시스템은 exFAT이다. |
낸드플래시 메모리에서 주로 사용하는 파일 시스템에는 FAT32(File Allocation Table 32), NTFS(New Technology File System), exFAT(Extended File Allocation Table)가 있다. FAT32는 마이크로소프트가 1996년에 개발한 파일 시스템으로 윈도우 95와 맥 OS 8.1부터 사용할 수 있고 파일 하나의 크기가 최대 4GB로 제한되고 하나의 경로에 파일 개수가 최대 16,384개로 제한되어 지금은 더 사용하지 않는다. NTFS는 마이크로소프트가 1993년에 FAT 파일 시스템을 대체하고 윈도우 NT에서 사용하기 위해 개발한 파일 시스템으로 파일 경로의 글자 수가 확장자를 포함해서 255개로 제한되고 파일 하나의 크기가 최대 16TB로 제한되고 파일 개수가 4,294,957,295개로 제한되지만, 과거보다 데이터량이 증가한 지금도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사실상 제한이 없다고 봐도 무방하고 오류 복구 기능과 암호화 기능도 있어서 일반적으로 윈도우 OS가 설치된 컴퓨터에 적용되어 있고, USB와 SSD를 별도로 구매한 사람도 윈도우 OS 사용자라면 파일 시스템을 exFAT에서 NTFS로 변경해서 사용하는 편이다. exFAT는 마이크로소프트가 FAT32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2006년에 개발한 파일 시스템으로 파일 경로의 글자 수가 255개로 제한되고 파일 하나의 크기가 최대 16,777,216TB로 제한되고 하나의 경로에 파일 개수가 최대 2,786,202개로 제한되지만, 일반적인 상황에서 사실상 제한이 없다고 봐도 무방하고 윈도우 OS와 맥 OS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어서 단품으로 판매되는 USB와 SSD에 기본적으로 적용되어 있다.
2. 낸드플래시 메모리
샌디스크 익스트림 포터블 SSD V2 E61 1TB 외장 SSD에는 WD BiCS4 96L TLC를 탑재했다. |
도시바의 마스오카 후지오(Fujio Masuoka, 舛岡 富士雄)가 1980년에 EEPROM을 기반으로 전원을 꺼도 데이터가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인 플래시 메모리를 개발했고, 1987년에 고밀도 회로를 구현할 수 있는 낸드플래시 메모리를 개발했다. 초기 낸드플래시 메모리는 더 많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레이어의 구조를 더욱 세밀하게 개발하는 방향으로 발전했고 이후 물리적인 한계에 부닥치자 레이어를 세로로 쌓는 방식으로 발전했다. 2007년에 도시바는 세계 최초로 3D 직접 회로 기술을 적용해서 2GB 칩 8개를 적층한 16GB 낸드플래시 메모리를 출시했고 이후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등의 다양한 기업들이 3D 적층 기술을 적용한 낸드플래시 메모리를 출시했다.
WD BiCS4 96L TLC는 2017년 6월에 웨스턴 디지털이 도시바와 협력해서 개발한 4세대 3D NAND로 96개의 레이어로 구성되고 칩당 256GB ~ 1TB의 용량을 적용할 수 있고 데이터 저장 방식은 TLC와 QLC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샌디스크 익스트림 포터블 SSD V2 E61에는 2019년 12월에 출시한 WD BLUE SN550 M.2 NVMe SSD의 변형 모델인 WD BLUE SN500E를 탑재했다.
3. 데이터 저장 방식
샌디스크 익스트림 포터블 SSD V2 E61 1TB 외장 SSD의 데이터 저장 방식은 TLC이다. |
물리적으로 하나의 셀에 주입하는 전자의 개수를 구분하는 ‘경우의 수’에 따라 데이터 저장 방식을 결정하는데 SLC(Single Level Cell)은 ‘전자가 없는 1’과 ‘전자가 200개 ~ 1,000개 정도 있는 0’의 총 두 가지 상태를 가지는 1비트(2의 1승)로 동작하고, MLC(Muti Level Cell)는 ‘전자가 없는 11’과 ‘전자가 200개 ~ 400개 정도 있는 10’, ‘전자가 500개 ~ 700개 정도 있는 01’, ‘전자가 800개 ~ 1,000개 정도 있는 00’의 총 네 가지 상태를 가지는 2비트(2의 2승)로 동작하고, TLC(Triple Level Cell)는 ‘전자가 없는 111’과 ‘전자가 있는 110, 101, 100, 011, 010, 001, 000’의 총 아홉 가지 상태를 가지는 3비트(2의 3승)로 동작하고, QLC(Quadruple Level Cell)는 ‘전자가 없는 1111’과 ‘전자가 있는 1110, 1101, 1100, 1011, 1010, 1001, 1000, 0111, 0110, 0101, 0100, 0011, 0010, 0001, 0000’의 총 열여섯 가지 상태를 가지는 4비트(2의 4승)로 동작하고, PLC(Penta Level Cell)는 ‘전자가 없는 11111’과 ‘전자가 있는 11110부터 00000’까지 총 스물다섯 가지 상태를 가지는 5비트(2의 5승)로 동작한다.
SLC, MLC, TLC, QLC, PLC 순으로 갈수록 물리 구조와 작동 원리가 복잡하다 보니 데이터를 한 번 확인할 때 데이터의 위치를 판별하는 동작 횟수가 증가해서 속도가 느리고,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오류를 검출하고 수정하기 위한 코드가 길어져서 지연 시간이 추가되고, 한 가지 상태를 확인하는 동안 다른 요청의 대기 시간도 길어져서 전반적으로 작동 속도가 크게 저하된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셀을 읽는 속도는 SLC는 25마이크로초이고, MLC는 50마이크로초이고, TLC는 75마이크로초이고, QLC는 100마이크로초 이상이다.
그리고 셀에 데이터를 쓰고 삭제할 때마다 산화막에 전자가 축적되고 일정량 이상의 전자가 축적되면 셀에 인가전압을 높여도 전자가 더 이동하지 못하게 되어 셀 수명이 다하는데 SLC, MLC, TLC, QLC, PLC 순으로 갈수록 인가전압에 차이를 둬서 전자가 주입되는 개수를 조절하고 셀 상태 수를 늘리기 때문에 산화막에 전자가 축적되어도 인가전압을 높일 여유가 없어서 셀 수명이 짧다. 그리고 셀에 저장된 데이터의 보존 기간은 제조사의 기술력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SLC는 약 5 ~ 10년이고, MLC와 TLC는 약 1 ~ 2년이고, QLC는 훨씬 더 짧은데 컨트롤러의 작동 방식과 소프트웨어 등 보완 조치로 데이터의 보존 기간을 늘린다. 참고로 SSD는 사용 온도가 높아질수록 셀 수명이 감소하고 데이터 보존 기간도 짧아지므로 제조사에서 명시한 작동 온도를 넘지 않아야 하고, SSD를 사용하지 않고 비작동 상태로 1년 이상 방치하면 셀에 주입된 전자가 유실되어 데이터가 소실될 수 있어서 SSD에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면 SSD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주기적으로 가동해야 한다.
4. 컨트롤러
샌디스크 익스트림 포터블 SSD V2 E61 1TB 외장 SSD의 컨트롤러는 SanDisk 20-82-10023-A1 이다. |
SSD의 성능과 수명을 관리하는 핵심 장치로 프로세서, 컨트롤러 메모리, FTL(Flash Translation Layer), 낸드플래시 메모리 컨트롤러 등으로 구성되며,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의 입출력, 낸드플래시 메모리의 작동 방식, 오류 수정, 캐싱 등 SSD의 모든 기능을 제어한다. 특히 FTL은 호스트 소프트웨어가 SSD에 데이터 입출력 요청을 할 때 데이터의 논리 주소를 물리 주소로 변환하고, 주소를 잃어버린 데이터 블록을 비워서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고, 특정한 셀에 과도한 작업이 집중되지 않도록 전체 셀에 대해 작업량을 균등하게 분배하고, 데이터 블록의 오류를 탐지하고 수정하는 등 매우 중요한 작업을 수행한다.
SanDisk 20-82-00000-A1은 웨스턴 디지털이 2016년에 SanDisk를 인수하고 2017년에 도시바와 함께 개발한 4세대 96레이어 3D NAND 칩에 최적화된 컨트롤러로 SRAM을 탑재했고 PCIe 3.0 x4 인터페이스(컨트롤러는 PCIe 3.0 x4를 지원하지만, 브리지에서 PCIe 3.0 x2를 지원하므로 샌디스크 익스트림 포터블 SSD V2 E61의 물리적인 최대 대역폭은 PCIe 3.0 x2이다), NVMe 1.3 프로토콜, TRIM, GC(Garbege Collection), S.M.A.R.T, ECC, DEVSLP, SLC 캐싱을 지원한다. 샌디스크 익스트림 포터블 SSD V2 E61에는 2019년 12월에 출시한 WD BLUE SN550 M.2 NVMe SSD에 탑재된 SanDisk 20-82-01008-A1의 리버전 컨트롤러를 탑재했다.
5. DRAM Less
샌디스크 익스트림 포터블 SSD V2 E61 1TB 외장 SSD에는 DRAM을 탑재하지 않았다. |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은 데이터 접근 시간이 60ns이고 데이터를 약 1/1000초 간 저장할 수 있는 휘발성 메모리이다. SSD에 탑재한 DRAM은 호스트 소프트웨어가 SSD의 데이터에 접근할 때 필요한 ‘논리-물리 주소 변환용 매핑 테이블’을 캐시해서 호스트 소프트웨어가 ‘파일시스템의 논리적 주소’로 SSD에 데이터 입출력을 요청할 때 캐시된 매핑 테이블을 통해 논리적 주소를 물리적 주소로 빠르게 변환해서 컨트롤러의 프로세서에 전달하고, 프로세서가 데이터의 위치를 파악하면 요청된 데이터를 읽거나 쓰는 작업을 수행한다.
매핑 테이블을 저장하는데 필요한 용량은 SSD 전체 용량의 약 0.1%로 1TB SSD 기준 약 1GB DRAM이 필요하다. 만약에 DRAM의 용량이 전체 매핑 테이블을 저장하지 못할 정도로 작다면 DRAM보다 속도가 훨씬 느린 낸드플래시 메모리에 매핑 테이블을 저장한 후 DRAM에서 매핑 테이블의 일부만 캐시하므로 제조사의 캐시 알고리즘 기술 역량이 부족해서 캐시 정확도가 떨어질 경우 캐시를 시도하는 횟수가 증가해서 데이터 입출력 속도가 저하된다.
그리고 DRAM이 탑재되지 않았다면 매핑 테이블이 낸드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 상태로 ‘논리-물리 주소 변환 작업’을 수행하고 데이터 입출력도 DRAM에 의존하지 않으므로 데이터의 읽기/쓰기 작업이 증가할수록 데이터 입출력 속도가 저하하고 매핑 테이블이 새롭게 갱신될수록 셀 수명이 감소한다. 참고로 NVMe 프로토콜의 1.2 버전부터는 HMB(Host Memory Buffer) 기능을 지원해서 DRAM이 없는 경우 HMB에 매핑 테이블을 캐시해서 데이터 입출력 증가 시 속도 저하를 완화하고, NVMe 프로토콜 1.4버전부터는 PMR(Persistent Memory Region) 기능을 지원해서 DRAM이 없는 경우 PMR에 매핑 테이블의 일부를 캐시해서 데이터 입출력 증가 시 속도 저하를 완화한다.
초기 SSD는 DRAM이 탑재된 MLC SSD가 주류였으나 TLC SSD가 보급되면서 일부 제조사가 제조 단가를 낮추고자 DRAM을 제거했고 성능이 조악한 컨트롤러까지 탑재하는 바람에 HDD 수준으로 성능이 떨어졌고 프리징 현상까지 잦다보니 전 세계 소비자에게 DRAM Less SSD는 절대 구매해선 안 된다는 인식을 만들었다.
6. SRAM
샌디스크 익스트림 포터블 SSD V2 E61 1TB 외장 SSD의 컨트롤러에는 SRAM을 탑재했다. |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은 데이터 접근 시간이 약 10ns이고 전원이 공급되는 한 데이터를 저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휘발성 메모리이다. 웨스턴 디지털은 SanDisk 20-82-00000-A1 시리즈 컨트롤러에 SRAM을 내장해서 DRAM보다 속도가 훨씬 더 빠른 SRAM에 매핑 테이블의 일부를 캐시해서 데이터 입출력 증가 시 속도 저하를 완화한다. 참고로 SRAM은 DRAM보다 구조가 복잡하고 칩의 크기가 더 크고 제조 단가도 수십 배 더 비싸서 매핑 테이블 전체를 저정할만한 용량의 SRAM을 탑재하는 건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낸드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 매핑 테이블의 일부만 캐시한다. 그리고 매핑 테이블의 일부만 캐시하는 만큼 컨트롤러의 캐시 정확도가 실제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
7. SLC 캐싱
샌디스크 익스트림 포터블 SSD V2 E61 1TB 외장 SSD은 SLC 캐싱을 지원한다. |
TLC 낸드플래시 메모리의 일부 블록을 SLC 모드로 프로그래밍해서 SLC 낸드플래시 메모리처럼 동작하도록 설정하고 해당 영역을 캐시로 사용해서 DRAM Less로 인한 데이터 전송 속도 저하 문제를 개선하는 기술로 정적인 SLC 캐싱과 동적인 SLC 캐싱으로 구분된다.
정적인 SLC 캐싱은 특정한 위치의 고정된 블록에 SLC 프로그래밍 영역을 설정해서 해당 블록에만 읽기/쓰기 작업을 집중 시켜 셀 수명을 급속히 감소시키지만, 캐시 안정성이 높고, 동적인 SLC 캐싱은 전체 블록에 대해 동적으로 SLC 프로그래밍 영역을 설정해서 전체 셀 수명이 균등해지도록 읽기/쓰기 작업을 분산 시켜 셀 수명이 감소하는 속도를 최대한 늦추지만, 캐시 안정성은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샌디스크 익스트림 포터블 SSD V2 1TB 외장 SSD에는 정적인 SLC 캐싱을 적용했고 SLC 캐싱 영역의 크기는 약 12GB이다.
구분 | 매핑 테이블 | 데이터 입출력 |
---|---|---|
DRAM Less 초기 SATA SSD | 낸드플래시 | 낸드플래시 |
DRAM Less SATA SSD | SLC 캐싱 | SLC 캐싱 |
DRAM Less NVMe 1.2 SSD | HMB | SLC 캐싱 |
DRAM Less NVMe 1.4 SSD | PMR | SLC 캐싱 |
DRAM Less 샌디스크 E61 SSD | SRAM | SLC 캐싱 |
DRAM NVMe SSD | DRAM | DRAM SLC 캐싱 |
8. 인터페이스
샌디스크 익스트림 포터블 SSD V2 E61 1TB 외장 SSD의 인터페이스는 대역폭이 4,000MB/s인 PCIe 3.0 x4이다. ※ 전송 속도 명칭, 이론상 최대 속도, 실제 최대 속도는 서로 다르다. 괄호 안의 속도는 전송 속도 명칭에 표기된 속도를 환산한 것으로 이론상 최대 속도 또는 실제 최대 속도가 아니다. |
외장 SSD의 인터페이스에는 SATA III(Serial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Revision 3.0)와 PCIe(PCI Express, 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Express)가 있다. SATA는 호스트 소프트웨어가 하드디스크 및 ODD와 통신하기 위해 개발된 인터페이스로 2000년에 인텔 개발자 포럼에서 1.5Gbps(187.5MB/s)를 지원하는 SATA를 발표한 이후 2004년에 3Gbps(375MB/s)를 지원하는 SATA II를 발표했고, 2009년에 6Gbps(750MB/s)를 지원하는 SATA III을 발표했고, 2013년에 PCI Express 기술을 접목해서16Gbps(2,000MB/s)를 지원하는 SATA Express, SATA M.2 등의 폼팩터를 지원하는 SATA 3.2를 발표했고, 2016년과 2018년에 HDD 성능을 개선한 SATA 3.3과 SATA 3.4를 각각 발표했다. SATA 인터페이스가 적용된 SSD 폼팩터로는 2.5인치 드라이브, mSATA, M.2 등이 있다.
PCIe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서 다른 주변 장치로 고속의 직렬 통신을 위해 개발된 인터페이스로 인텔에서 초안을 작성한 이후 IBM 등 다수의 세계적인 기업들이 함께 개발했고 2003년에 PCIe 1.0을 발표했다. PCIe의 데이터 전송 속도는 레인 수에 따라 다른데, 레인 수는 PCIe x1, PCIe x4, PCIe x8, PCIe x16로 표기하고 레인 수에 따라 슬롯의 규격이 다르다. PCIe 1.0버전에서 PCIe x1의 대역폭은 250MB/s이고 PCIe x4의 대역폭은 단일 레인 대역폭의 4배, PCIe x8의 대역폭은 단일 레인 대역폭의 8배, PCIe x16의 대역폭의 단일 레인 대역폭의 16배였다. 2007년에는 PCIe x1 대역폭이 500MB/s인 PCIe 2.0을 발표했고, 2010년에는 PCIe x1 대역폭이 1,000MB/s인 PCIe 3.0을 발표했고, 2017년에는 PCIe x1 대역폭이 2,000MB/s인 PCIe 4.0을 발표했고, 2019년에는 PCIe x1 대역폭이 4,000MB/s인 PCIe 5.0을 발표했고, 2021년에는 PCIe x1 대역폭이 8,000MB/s인 PCIe 6.0을 발표할 예정이다. 초기 PCIe SSD는 PCIe 인터페이스가 적용된 PCIe 카드 SSD였고 이후 PCIe 인터페이스가 적용된 Mini PCIe(mPCIe, Mini PCI Express, PEM) SSD, U.2 SSD, M.2 SSD 등이 개발되었다. PCIe 인터페이스가 적용된 SSD 폼팩터로는 Mini PCIe(mPCIe, Mini PCI Express, PEM), U.2, M.2 등이 있다.
9. 프로토콜
샌디스크 익스트림 포터블 SSD V2 E61 1TB 외장 SSD의 프로토콜은 NVMe 1.3이다. |
외장 SSD 통신 규격에는 AHCI(Advanced Host Controller Interface)와 NVMe(Non Volatile Memory Host Controller Interface)가 있다. AHCI는 SATA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HDD에 최적화된 통신 규약으로 2004년에 인텔에서 개발했다. AHCI의 명령어 대기열은 1개이고 대기열 당 32개의 명령어를 전달할 수 있고 지연시간은 6마이크로 초이다. 초기 SSD는 AHCI 통신 규약을 사용하는 SATA 인터페이스를 사용했는데 낸드플래시 메모리의 속도가 SATA III의 전송 속도를 넘어서는 시점이 다가오자 2007년에 인텔 개발자 포럼에서 비휘발성 메모리와 통신하기 위한 새로운 표준을 논의했고, 2008년에 인텔이 PCIe 인터페이스 SSD에 최적화한 통신 규약인 NVMe 초안을 작성한 후 2011년에 NVMe1.0을 발표했고 이후 다수의 리버전을 거쳐서 2021년에 HDD를 지원하는 NVMe 2.0을 발표했다. NVMe는 명령어 대기열이 65,535개이고 대기열 당 65,536개의 명령어를 전달할 수 있고 지연시간은 2.8마이크로초이다.
10. 외부 인터페이스
샌디스크 익스트림 포터블 SSD V2 E61 1TB 외장 SSD의 외부 인터페이스는 USB 3.2 Gen 2(USB 3.1, USB 3.1 Gen 2)이다. ※ 전송 속도 명칭, 이론상 최대 속도, 실제 최대 속도는 서로 다르다. 괄호 안의 속도는 전송 속도 명칭에 표기된 속도를 환산한 것으로 이론상 최대 속도 또는 실제 최대 속도가 아니다. |
외장 SSD의 외부 인터페이스에는 USB(Universal Serial Bus)와 Thunderbolt가 있다. USB는 컴퓨터 주변 장치와 통신하고 주변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1994년에 Compaq , DEC , IBM , Intel , Microsoft , NEC, Nortel이 함께 개발을 시작했고 Ajay Bhat과 인텔에서 초안을 만든 후 1996년에 1.5MB/s를 지원하는 USB 1.0을 개발했고, 2000년에 60MB/s를 지원하는 USB 2.0을 개발했고, 2008년에 UAS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5Gbps(625MB/s)를 지원하는 USB 3.0을 개발했고, 2013년에 10Gbps(1,250MB/s)를 지원하는 USB 3.1을 개발했고, 2017년에 20Gbps(2,500MB/s)를 지원하는 USB 3.2를 개발했고, 2019년에 Thunderbolt 3을 기반으로 40Gbps(5,000MB/s)를 지원하는 USB4를 개발했다. 그리고 2019년에 USB-IF(USB Implementers Forum)에서 USB 버전별 명칭을 변경했는데, 5Gbps를 지원하는 USB 3.0은 USB 3.0과 USB 3.1 Gen1에서 USB 3.2 Gen1로 변경했고, 10Gbps를 지원하는 USB 3.1은 USB 3.1과 USB 3.1 Gen2에서 USB 3.2 Gen2로 변경했고, 20Gbps를 지원하는 USB 3.2는 USB 3.2 Gen 2 x2로 변경했다.
Thunderbolt는 컴퓨터 주변 장치와 통신하고 주변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2009년에 인텔이 애플과 협력해서 개발한 프로토타입 기술을 공개한 이후 2011년에 mDP(Mini Display Port)를 기반으로 10Gbit/s(10,000MB/s)를 지원하는 Thunderbolt 1을 개발했고, 2013년에 20Gbit/s(20,000MB/s)를 지원하는 Thunderbolt 2을 개발했고, 2015년에 USB-C Port를 기반으로 40Gbit/s(40,000MB/s)를 지원하는 Thunderbolt 3를 개발했고, 2020년에 기능이 강화된 Thunderbolt 4를 개발했다.
11. 브리지
샌디스크 익스트림 포터블 SSD V2 E61 1TB 외장 SSD의 브리지는 PCIe 3.0 X2까지 지원하는 ASMedia ASM2362이다. |
브리지(Bridge)는 PCIe 인터페이스와 USB 인터페이스를 연결해주는 장치이다. ASMedia ASM2362는 2018년에 ASMedia에서 개발한 ASMedia 1세대 브리지로 PCIe 3.0 x2와 USB 3.2 Gen2를 최대 10Gbps(1,250MB/s)로 연결한다.
12. 용량
파일 시스템 | 사용 중인 공간 | 사용 가능한 공간 |
---|---|---|
exFAT | 27 MB | 931 GB |
NTFS | 131 MB | 931 GB |
○ 안전성
1. 낙하 충격 보호
샌디스크 익스트림 포터블 SSD V2 E61 1TB 외장 SSD는 최대 2m(6.56 feet) 높이에서 떨어뜨려도 안전하다. |
제조사에서 공개한 성능은 최고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최상의 조건에서 테스트한 결과이고 위 문구 외에는 검사 방법에 관한 내용이 일체 없기 때문에 6.65피트에서 떨어뜨려도 안전하다는 말을 신뢰하기 어렵다. 다만 일반적인 실내 테이블 높이가 1m 이하이므로 일상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낙하 충격에 대해서는 보호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2. 내충격성
샌디스크 익스트림 포터블 SSD V2 E61 1TB 외장 SSD의 내충격성은 비동작 시 1500g이다. |
내충격성(Shock Resistant)은 충격에 견디는 성질로 단위는 g(중력가속도)이다. 일반적으로 진동 및 충격에 강한 산업용 컴퓨터가 50g 이상을 견딜 수 있게 설계되므로 샌디스크 익스트림 포터블 SSD V2 E61 1TB 외장 SSD는 산업 환경에서도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
3. 내진동성
샌디스크 익스트림 포터블 SSD V2 E61 1TB 외장 SSD의 내진동성은 비동작 시 10 – 2,000Hz 범위에서 5gRMS이다. |
내진동성(Vibration Resistant)은 흔들림에 견디는 성질로 단위는 gRMS(g Root Mean Square, Random Vibration, 중력가속도의 제곱평균값)이다. 내진동성이 10 – 2,000Hz 범위에서 5gRMS면 진동 주파수가 10 – 2,000Hz일 때 평균 중력가속도가 5g라는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진동 주파수가 약 1 – 25Hz이고, 철도의 진동 주파수가 약 1 – 100Hz이다. 그리고 광산에서 발파 작업 시 진동 주파수가 약 1 – 300Hz일 때 평균 중력가속도가 2.5gRMS 이므로 샌디스크 익스트림 포터블 SSD V2 E61 1TB 외장 SSD는 산업 환경에서도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
4. 방진/방습
샌디스크 익스트림 포터블 SSD V2 E61 1TB 외장 SSD의 방진/방습은 IP55 인증을 받았다. |
IP(International Protection)는 전자제품 내에 먼지 및 물의 침입에 대한 보호 수준을 분류하는 국제 표준 등급으로 IP 뒤에 붙은 첫 번째 숫자는 고체에 대한 보호 수준이고 두 번째 숫자는 액체에 대한 보호 수준이다. IP55는 제한된 먼지 유입과 모든 방향에서 저압으로 분사되는 물의 침입을 막을 수 있다는 의미이다.
(1) 고체에 대한 보호 등급
등급 | 설명 |
---|---|
0 | 보호 없음 |
1 | 손등과 같은 넓은 신체 부위에 대한 보호 |
2 | 손가락과 같은 작은 신체 부위에 대한 보호 |
3 | 굵은 전선 등에 대한 보호 |
4 | 얇은 전선 및 나사 등에 대한 보호 |
5 | 신체 접촉에 대한 완전한 보호 및 먼지 침입 억제 |
6 | 먼지 유입에 대한 완전한 보호 |
(2) 액체에 대한 보호 등급
등급 | 설명 |
---|---|
0 | 보호 없음 |
1 | 수직으로 떨어지는 작은 물방울에 대한 보호 |
2 | 제품이 수직에서 최대 15°로 기울어졌을 때 수직으로 떨어지는 분무기 물방울에 대한 보호 |
3 | 제품이 수직에서 최대 60°로 기울어졌을 때 수직으로 떨어지는 분무기 물방울에 대한 보호 |
4 | 모든 방향에서 분무기 물방울에 대한 보호 |
5 | 모든 방향에서 6.3mm 노즐로 투사되는 물에 대한 보호 |
6 | 모든 방향에서 12.5mm 노즐로 투사되는 물에 대한 보호 |
7 | 최대 1m 이내의 수심에서 정해진 압력 및 시간 동안 물에 대한 보호 |
8 | 1m 이상의 수심에서 정해진 조건에 따라 사용 시 물에 대한 보호 |
9 | 스팀 제트 청소로부터 보호 |
5. 작동 온도
샌디스크 익스트림 포터블 SSD V2 E61 1TB 외장 SSD의 작동 온도는 0℃ – 45℃이다. |
외장 SSD는 정밀한 전자기기인 만큼 온도에 아주 민감하다. 온도가 높아질수록 셀 수명이 감소하고, 데이터 보존 기간이 감소하고, 데이터 전송 속도가 감소하고, 데이터 전송 안정성이 떨어지므로 가능한 한 제조사가 공개한 최대 온도보다 낮게 사용해야 한다.
6. 보관 온도
샌디스크 익스트림 포터블 SSD V2 E61 1TB 외장 SSD의 보관 온도는 -20℃ – 85℃이다. |
2015년 5월 12일에 JEDEC(Joint Electron Device Engineering Council)에서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인텔 MLC SSD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보관 온도가 높아질수록 데이터 보존 기간이 급격히 짧아진다고 했다. 소비자 SSD의 경우 25℃에서 105주, 30℃에서 52주, 35℃에서 26주, 40℃에서 14주, 45℃에서 7주, 50℃에서 4주, 55℃에서 2주였고, 기업용 SSD의 경우 25℃에서 20주, 30℃에서 10주, 35℃에서 5주, 40℃에서 3주, 45℃에서 1주, 50℃에서 1주, 55℃에서 1주일도 버티지 못했다. 샌디스크 익스트림 포터블 SSD V2 E61 1TB 외장 SSD는 MLC보다 구조와 작동 방식이 더 복잡한 TLC이므로 물리적으로 온도에 따른 수명이 더욱 짧아질 수 있어서 햇볕이 들지 않는 서늘한 그늘에 보관하고 주기적으로 전원을 인가해야 한다.
SanDisk Extreme Portable SSD V2 E61 1TB 외장 SSD 개봉

SanDisk Extreme Portable SSD V2 E61 1TB 외장 SSD 디자인




SanDisk Extreme Portable SSD V2 E61 1TB 외장 SSD 성능
○ 성능 테스트 주의사항
전문가 레벨에서 변인을 통제하고 최적의 테스트 조건에서 얻은 가장 높은 성능 값은 제조사에서 공개한 성능이다. 토미집은 변인을 전혀 통제하지 않고 윈도우 시작 프로그램이 모두 작동한 상태에서 테스트를 했는데, 벤치마크 소프트웨어를 변경하거나 외장 SSD를 연결하는 USB 슬롯을 변경할 때마다 윈도우를 재시작했고 뜨거워진 SSD를 에어컨 앞에 놔둬서 겉면이 차가워질 때까지 식힌 후 다시 컴퓨터에 연결하고 테스트를 했다.
○ 성능 테스트 컴퓨터 사양
1. 데스크톱 컴퓨터 사양
CPU | AMD 3900X (BIOS PBO ON) |
CPU 쿨러 | NZXT KRAKEN X63 |
메인보드 | MSI X570 MEG ACE |
메인보드 BIOS | 7C35v1E (2021.05.17) |
RAM | 삼성전자 3200MHz 16GB x 2 |
RAM 방열판 | 리드쿨 RH-1 EVO ARGB |
RAM 쿨러 | GEIL CYCLONE 3 Cooler |
RAM 오버클럭 | 3,600MHz 18-22-22-22-48-2T 1.33V (실제 1.356V 또는 1.360V) |
VGA | INNO3D RTX 3070 iChiLL X4 |
VGA BIOS | 94.04.25.80.3E |
VGA 오버클럭 | 부스트 클록 1,885MHz 메모리 클록15,130 MHz 전력 제한 해제 108% |
NVIDIA Driver | 471.11 |
M.2 SSD | 삼성전자 970 PRO M.2 512GB |
M.2 SSD 방열판 | 스팀팩 T1000 MEDIC PRO |
SSD | Micron 5100 960GB |
SSD | 삼성전자 830 128GB |
HDD | WD WD10EALX 1TB |
파워 | Seasonic PRIME Ultra GOLD SSR-850GD Full Modular |
케이스 | NZXT H700i |
모니터 | LG 32GK850F |
운영체제 | Windows 10 (Bulid 19041.630) |
전원 관리 옵션 | AMD Ryzen High Performance |
시작 프로그램 | – ESET Internet Security – SAMSUNG Magician – Creative Sound Blaster – NVIDIA 설정 – MSI DRAGON CENTER – INNO3D TuneIT – NEXT CAM – Windows 보안 |
2. 노트북 사양
브랜드 | 삼성전자 |
시리즈 | 2019 노트북 Pen S 38.1cm |
모델명 | NT950SBE-X58 |
출시일 | 2018.12 |
크기 | 15 인치 |
운영체제 | Windows 10 Home |
CPU | i5-8265U 1.6GHz |
메인보드 | 삼성전자 NT950BE-X58 |
메이보드 BIOS | American Megtrends P07RES.076.190919.SP |
RAM | 온보드 8GB LPDDR3 |
VGA | GeForce MX150 2GB GDDR5 |
M.2 SSD | 삼성전자 PM981 NVMe NTFS 256 GB 64Layer TLC 3D NAND MZVLB256HAHQ-0000 |
UFS 메모리 | 삼성전자 UFS exFAT 128 GB |
모니터 | RealView LED, 1920 x 1080 터치스크린, 플리커 프리 |
S 펜 | 1 개 |
S 펜 팁 | 스케치용 화이트 팁 1개 드로잉용 그레이 팁 1개 필기용 블랙 팁 1개 |
스피커 | AKG 5W 스테레오 스피커 Thunder 앰프 내장 |
마이크 | 내장 듀얼 디지털마이크 |
카메라 | 720p IR 카메라 |
보안 | TPM, 지문인식, 얼굴인식 |
센서 | 조도 센서 가속 센서 방향 센서 중력 센서 |
와이파이 | 802.11ac wave2 2×2 |
블루투스 | 블루투스 5.0 |
USB-C (썬더볼트 3) | 2 포트 (노트북 좌측) |
USB-C PD | 1 포트 (노트북 우측) |
UFS & Micro SD 콤보 | 1 슬롯 |
헤드폰/마이크 콤보 | 1 슬롯 |
배터리 | 54 Wh |
충전 어댑터 | 65W USB-C 어댑터 |
재질 | 알루미늄 합금 |
너비 | 347.9 mm |
높이 | 229.1 mm |
두께 | 16.9 mm |
무게 | 1.56 kg |
무선 연결 | 로지텍 K380 블루투스 키보드 삼성전자 블루투스 마우스 |
시작 프로그램 | – SAMSUNG Magician – NVIDIA 설정 – Windows 보안 – Kakao Talk – 네이트 온 – f.lux – clip down |
○ 성능 테스트 케이블 사양
샌디스크 익스트림 포터블 SSD V2 E61 1TB 패키지에는 USB-C to USB-C 케이블과 USB-C to USB-A 어댑터가 포함되어 있는데, USB-C to USB-C 케이블의 길이가 약 14cm로 짧아서 데스크톱 메인보드의 후면 USB-C 슬롯에 장착하면 외장 SSD가 공중에 매달려 있는 상태가 되었고, USB-C to USB-A 어댑터까지 장착하니 외장 SSD의 무게 때문인지 체결이 다소 헐거워져서 외장 SSD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메인보드의 USB-C 포트에 장착할 때는 외장 SSD의 기본 구성품에 포함된 USB-C to USB-C 케이블을 사용했고, 메인보드의 USB-A 포트에 장착할 때는 최대 10Gbps의 USB 3.2 Gen2를 지원하는 USB-C to USB-A 케이블(어뮤즈 NCB-04 고속 충전케이블)을 별도로 구매해서 사용했다.
○ 성능 테스트 방법
1. 포트 연결

– AMD 3900X 프로세서에서 지원하는 USB 3.2 Gen 2 Type-C 포트
– AMD 3900X 프로세서에서 지원하는 USB 3.2 Gen 2 Type-A 포트
– AMD 3900X 프로세서에서 지원하는 USB 3.2 Gen 1 Type-A 포트(포트 인식 불량으로 테스트 못함)
– AMD X570 칩셋에서 지원하는 USB 2.0 Type-A 포트
– INTEL i5-8265U 프로세서에서 지원하는 Thunderbolt 3 포트
2. 벤치마크 소프트웨어 위치 및 데이터 위치
(1) 데스트톱 컴퓨터
– C드라이브: 삼성전자 970 PRO M.2 512GB
– C드라이브 슬롯: AMD Processor Supports PCIe 4.0 x4 (not AMD X570 Chipset)
– C드라이브 컨디션: 159GB 사용 중, 8.6TB 기록됨
– 소프트웨어 경로: C드라이브 – bench 폴더 – 벤치마크 소프트웨어 폴더 – 벤치마크 실행 파일
– 데이터 경로: C드라이브 – data 폴더 – 전송할 데이터
(2) 노트북
– C드라이브: 삼성전자 PM981 M.2 256GB
– C드라이브 컨디션: 알 수 없음
– 소프트웨어 경로: C드라이브 – bench 폴더 – 전송할 데이터
– 데이터 경로: C드라이브 – data 폴더 – 전송할 데이터
3. 사용자 데이터
구분 | 내용 |
---|---|
출처 | 지난 여행 중 소니 카메라로 촬영한 데이터 |
전체 용량 | 42.216563 GB (44,255,947,035 Byte) |
전체 폴더 수 | 5 개 |
전체 파일 수 | 568 개 |
전체 데이터 종류 | RAW, JPEG, MP4, XML |
RAW 데이터 | 187 개 7.863072 GB (8,442,909,184 Byte) |
JPEG 데이터 | 187 개 2.326172 GB (2,497,708,032 Byte) |
MP4 데이터 | 97 개 30.290172 GB (32,523,824,158 Byte) |
XML 데이터 | 97 개 170 KB |
○ SanDisk Extreme Portable SSD V2 E61 1TB 외장 SSD 성능 테스트 결과
1. AJA System Test 벤치마크
– 소개: AJA는 1993년에 John Abt이 설립한 프로덕션 시스템 개발 회사로 전 세계적으로 200명 이상의 직원들이 업계 최고의 비디오 캡쳐 카드, 디지털 기록 장치, 비디오 라우터, 프레임 동기화 장치, 디지털 변환기 등을 개발하고 있다. AJA System Test는 포스트 프로덕션 시스템에서 모든 드라이브 시스템의 기능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 개발한 소프트웨어로 모든 드라이브의 성능을 상세하게 평가할 수 있다.
– 소프트웨어: AJA System Test
– 개발: AJA VIDEO SYSTEMS
– 라이선스: 프리웨어
(1) 포트 별 벤치마크 결과





(2) 용량 별 벤치마크 결과




(3) 벤치마크 결과 원본 이미지 보기
- AMD 3900X USB 3.2 Gen 2 Type-C 벤치마크 결과 원본 보기
- AMD 3900X USB 3.2 Gen 2 Type-A 벤치마크 결과 원본 보기
- AMD X570 USB 3.2 Gen 2 Type-A 벤치마크 결과 원본 보기
- AMD X570 USB 2.0 Type-A 벤치마크 결과 원본 보기
- Intel i5-8265U Thunderbolt 3 Type-C 벤치마크 결과 원본 보기
2. Crystal Disk Mark 벤치마크
– 소개: 무료 벤치마크툴로 SSD의 읽기/쓰기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다.
– 소프트웨어: Crystal Disk Mark 8.0.4 Shizuku Edition
– 개발자: hiyohiyo
– 라이선스: 프리웨어
– 기부금: 1,000엔 이상 기부할 수 있다.
– 주의사항: 벤치마크 시 SSD의 수명이 줄어든다. 테스트 결과는 서로 다른 버전 간에 호환되지 않는다. 테스트 결과는 테스트 파일 크기, 테스트 파일 위치, 저장 장치 컨트롤러, CPU 성능에 따라 달라진다. 참고로 NVMe SSD를 테스트한다면 소프트웨어 설정에서 기본값 대신 NVMe SSD를 선택해야 한다.
(1) 벤치마크 결과

대용량 파일 복사에 대한 성능 지표이다. SEQ1M Q8T1는 1MB 블록 8개를 하나의 묶음으로 만들고 1개의 스레드가 반복해서 테스트 파일 크기까지 순차 읽기/쓰기 테스트를 수행한다. 저장 장치는 한 번에 8개의 블록을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한 가지 블록에 대한 작업이 끝나기 전에 나머지 블록은 대기한다.

SEQ128K Q32T1는 128KB 블록 32개를 하나의 묶음으로 만들고 1개의 스레드가 반복해서 테스트 파일 크기까지 순차 읽기/쓰기 테스트를 수행한다. 저장 장치는 한 번에 32개의 블록을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한 가지 블록에 대한 작업이 끝나기 전에 나머지 블록은 대기한다.

RND4K Q32T16는 4KB 블록 32개를 하나의 묶음으로 만들고 16개의 스레드가 반복해서 테스트 파일 크기까지 랜덤 읽기/쓰기 테스트를 수행한다. 저장 장치는 한 번에 32개의 블록을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한 가지 블록에 대한 작업이 끝나기 전에 나머지 블록은 대기한다.

OS 부팅 및 소프트웨어 실행 속도에 대한 성능 지표이다. RND4K Q1T1는 4KB 블록 1개를 하나의 묶음으로 만들고 1개의 스레드가 반복해서 테스트 파일 크기까지 랜덤 읽기/쓰기 테스트를 수행한다. 저장 장치는 한 번에 32개의 블록을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한 가지 블록에 대한 작업이 끝나기 전에 나머지 블록은 대기한다.
(2) 벤치마크 결과 원본 이미지 보기
3. 나래온 더티 테스트 벤치마크
– 소개: 무료 벤치마크툴로 SSD의 쓰기 성능의 지속 능력을 테스트할 수 있다.
– 소프트웨어: DirtyTest 6.0.4
– 개발자: 김민규
– 라이선스: 프리웨어
– 주의사항: SSD 수명이 감소한다.

4. DiskBench 벤치마크
– 소개: 무료 벤치마크툴로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읽기/쓰기 시간을 체크할 수 있다.
– 소프트웨어: Disk Bench
– 개발자: Anders Svensson, Jonas Lewin
– 라이선스: 프리웨어
– 기부금: 페이팔로 기부할 수 있다.

SanDisk Extreme Portable SSD V2 E61 1TB 외장 SSD 소프트웨어

외장 SSD에 맥과 윈도우용 소프트웨어 설치 파일이 저장되어 있다. SanDisk Security 소프트웨어 주의 사항에 SanDisk는 사용자 암호를 잃어버릴 경우 복구할 수 없고 드라이브를 포맷해서 암호를 제거해야 하며 사용자는 이에 동의할 경우에만 암호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즉 암호를 기억하지 못할 경우 영구적으로 데이터에 접근할 방법이 없다. 암호는 최대 25자까지 작성할 수 있고, 암호 힌트를 남겨둘 수 있다. 그리고 한 가지 메인 컴퓨터에 대해 자동 잠금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
SanDisk Extreme Portable SSD V2 E61 1TB 외장 SSD 소감
모서리를 둥글게 처리해서 손으로 쥐었을 때 그립감이 좋고 프레임 우측 상단이 고리형이어서 실용적이다. 제품의 측면과 후면은 충격 흡수에 용이한 실리콘 재질이고 전면은 점 패턴이 더해진 플라스틱 재질이어서 스포티한 느낌이다.
풀프레임 미러리스 카메라로 촬영한 총 12GB 용량의 4K 영상 클립 8개를 SanDisk Extreme Portable SSD V2 E61 1TB 외장 SSD에 저장하고 어도비 프리미어 프로에서 데이터를 불러온 후 컷 편집, 루미트리 컬러, 화면 전환 효과를 적용했는데 메인시스템의 삼성전자 970 PRO M.2 512GB와 비교했을 때 아무런 이질감을 느낄 수 없었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발열이다. 온도계가 없어서 온도 측정은 못했지만, 실내 온도 29 ℃ 기준에서 컴퓨터에 연결 해둔 채 두 시간 정도 두니 뜻뜻한 느낌이 들었고, 이후 두 시간에 걸쳐 영상 편집 작업을 하니 꽤 뜨거워졌다. 손으로 외장 SSD의 가장 자리를 쥐었을 때 과거 커피 우유 스팀을 다뤄본 경험을 토대로 떠올려 보면 적어도 40℃ 이상은 되는 것 같았고 중심부에 손을 대었을 때는 몇 초 이상 손가락을 대기 어려울 정도여서 적어도 60℃ 이상은 되는 것 같았다. 작동 권장 온도가 0℃ – 45℃인데 실제 사용온도는 훨씬 높으니 셀 기대 수명은 매우 낮아질 수 밖에 없으므로 토미집처럼 ‘소모품’으로 사용한다면 외장 SSD를 추천하지만, 이외의 경우에는 추천하기 어렵다. NVMe SSD는 기본적으로 발열이 매우 심하기 때문에 히트싱크를 부착하고 쿨링 솔루션이 갖춰진 데스크톱에서도 약 40℃ – 50℃의 높은 온도를 보여주므로 작은 외장 케이스에서 발열을 해소하는 건 불가능하다. 참고로 SanDisk Extreme Portable SSD V2 E61 1TB 외장 SSD는 높은 작동 온도에서도 데이터 전송 속도 저하가 없었다.
SanDisk Extreme Portable SSD V2 E61 1TB 외장 SSD는 분명 만족스러운 제품이지만, 1GB 당 가격이 하드디스크에 비해서 여전히 비싸므로 제품 수명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 소모품으로 사용할만한 여력이 되지 않는다면 구매하는데 신중한 결정이 필요하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외장SSD 구매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덕분에 안심하고 E61제품을 구입하였습니다.
선택에 도움이 되었다니 저도 기분이 좋습니다. ^^
대용량 파일 복사시 처음 몇초간은 빠른 속도가 잘 나오는데 조금 지나면 속도가 확 떨어집니다. 물론 그래도 지난번 버전보다는 빠르지만 그냥 약간 빠른 정도?
이 속도라면 그냥 지난 버전의 2TB 모델을 살 걸 그랬다고 후회가 밀려옵니다.
사용 목적에 맞게 선택하셔야 하는데 잘못 구매하셨다니 안타깝습니다. 혹시나 제 글을 보고 잘못 선택하신거라면 ㅠㅠ 저는 소모품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속도 저하가 크지 않다면 큰 문제가 되지 않아 구매 당시에 최신 모델인 샌디스크 익스트림 포터블 SSD V2 E61 1TB 외장 SSD를 구매했습니다. E61 모델이 DRAM이 없는 것 치고는 괜찮다곤 하나 DRAM이 있는 것 보단 못 한 만큼 속도 저하에 민감하다면 DRAM 탑재 모델을 구매하시는 게 좋습니다.
같은 제품인데 뽑기운이 있는 듯합니다. 저는 샌디스크 익스트림 포터블 SSD V2 E61 1TB를 두 개 구입했는데 속도가 완전히 다릅니다.
둘 중 하나는 리뷰에 쓰신 것처럼 대용량 파일 쓰기에서 초기에 높은 속도가 나온 후 속도 저하가 있습니다. 위에 ‘실망’님께서 쓰신 것처럼 전 버전보다 좀더 빠른 정도의 속도밖에 안 나오네요. 다만, 아무리 차이가 작다 한들 어쨌든 그 저하된 속도조차도 전 버전보다 빠른 것은 확실하기에 전 버전을 쓰지 않고 새 것을 쓰고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둘 중 다른 하나인데, 이게 무엇을 해도 속도 저하가 없습니다. 초반에 매우 빠른 속도가 나오며 그 속도가 저하되지 않고 끝까지 갑니다. 체감 속도는 ‘미친 듯이 빠르다’입니다. 두 개에 동시에 쓰기를 실행해 보면 쓰기 종료 시간 차이가 아주 심하게 나는군요.
같은 값을 주고 산 물건인데 만족도가 너무 엄청나게 차이가 나네요. 이런 일이 있다는 것 알아 두셨으면 합니다. 개체 편차가 너무 엄청난데, 아무래도 이름만 같고 내부에 들어 있는 장치가 다른 것 같습니다. 개체에 따라 2가지 이상의 다른 SSD를 쓰는 것 같네요.
같은 제품을 두 개 구매했는데 속도가 완전히 다르다면 하나가 불량 제품이 아닌 이상 말씀하신 것처럼 내부 장치가 다르다고 추정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샌디스크는 아니지만, 2021년에 웨스턴디지털에서 SSD 낸드플래시 사양을 소리소문없이 낮춘 전례가 있으니까요.
다만 실제 낸드플래시가 다른지는 제품을 뜯어보지 않는 한 알기 어렵고 제가 여러 제품을 구매해서 테스트한 것은 아니므로 제가 제품에 문제가 있다고 말하기는 어려운 것 같습니다. 사용하신 소감 댓글은 감사합니다! ^^
제가 구입한 제품은 아직까지 별다른 문제없이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에러복구는 어떻게 하나요? 인식이 안되는 경우
SSD 인식 불량이나 에러 복구에 대해서는 잘 알 지 못합니다. 도움이 되지 못해 죄송합니다. 일반적으로 SSD 인식 불량은 샌디스크 익스트림 포터블 SSD V2 E61 1TB 외장 SSD만의 문제라고 보기는 어려우므로 구글에서 한글 또는 영문으로 SSD 인식 불량에 대해 검색해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