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스마트폰의 화면이 커지고 유튜브, 네어버 영화, 웨이브 등 모바일 영상 플랫폼이 발전하면서 뉴스, 예능, 다큐 등 모든 영상을 스마트폰으로 시청하게 되었다. 그래서 신혼집에도 TV가 없었고 수신료도 내지 않았다. 영화 감상을 좋아하다 보니 75인치 이상의 TV나 레이저 프로젝트는 구매할 의사가 있었지만, 신혼집이 좁다 보니 대형 화면을 연출할만한 공간이 없었다.
그렇게 한동안 TV에 관해 잊고 있었는데 2021년 4월에 삼성전자 TV 설치기사 두 분이 집에 들어와서 삼성전자 더 프레임 QLED 32인치 80cm TV KQ32LST03를 설치했다. 알고보니 와이프가 카카오메이커스에서 광고를 보고 디자인, 화면 크기, 사진 감상 기능이 마음에 들어서 구매한 것이었다. 와이프가 구매한 라이프스타일 TV의 정보를 기록하고자 삼성전자 더 프레임 QLED 32인치 80cm TV KQ32LST03 사용 후기를 작성했다.
주의사항 1. 더 프레임 TV 32인치 KQ32LST03는 2020년 5월에 북미와 유럽에서 QN32LS03T, QE32LS03T, GQ32LS03T 모델명으로 출시했고 2021년 3월에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에서 출시했다. 2. 삼성전자 사이트에서 KQ32LST03의 사양표를 보면 2020년형 사양 템플릿이 아닌 2021년형 사양 템플릿이고 출시연월에 2021년 3월이라고 되어 있어서 2021년형 신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는데, 한국에서 2021년 3월에 출시했다는 표기일 뿐이다. 3. 2021년 4월 6일에 더 프레임 QLED 32인치 80cm TV KQ32LST03 새 제품을 690,000원에 구매했다. 4. 더 프레임 TV 32인치를 구매한다면 2020년형 KQ32LST03 보다 부가 기능이 대폭 업그레이드된 2022형 KQ32LSB03을 구매해야 한다. 5. TV의 화질과 색감은 온라인에 업로드된 사진이나 영상으로는 절대 가늠할 수 없으므로 반드시 오프라인 매장에서 직접 확인해야 한다. 6. 개인적인 경험과 웹상의 정보를 종합해서 작성했기 때문에 사실과 다른 정보가 있을 수도 있다.
목차
- 삼성전자 더 프레임 TV 사양 비교
- 삼성전자 더 프레임 QLED 32인치 TV 사양
- 삼성전자 더 프레임 QLED 32인치 TV 특징
- 삼성전자 더 프레임 QLED 32인치 TV 외형
- 삼성전자 더 프레임 QLED 32인치 TV 주변 기기 연결
- 삼성전자 더 프레임 QLED 32인치 TV 설정
- 삼성전자 더 프레임 QLED 32인치 TV 주의사항
- 삼성전자 더 프레임 QLED 32인치 TV 소감
삼성전자 더 프레임 TV 사양 비교
삼성 더 프레임 TV 32인치 KQ32LST03는 2020년형 모델이지만, 삼성전자 한국 사이트에서 2021년형 모델인 것처럼 보여주고 있어서 2020년형 더 프레임 TV 32인치의 사양을 2020년형 더 프레임 TV 시리즈와 2021년형 더 프레임 TV 시리즈로 비교했다.
○ 삼성전자 2020 더 프레임 TV 비교
크기 | 75, 65, 55 인치 | 50, 43 인치 | 32 인치 |
광원 | LED | LED | LED |
광원 유형 | Edge LED | Edge LED | Edge LED |
패널 | QD-LCD | QD-LCD | QD-LCD |
화면 브랜드 | QLED | QLED | QLED |
해상도 | 3840 x 2160 | 3840 x 2160 | 1920 x 1080 |
기본 재생률 | 60 Hz | 60 Hz | 60 Hz |
오토 모션 플러스 | 지원 | 지원 | 미지원 |
보간 재생률 | 240 Hz | 120 Hz | – |
화질엔진 | 퀀텀 프로세서 4K (2020) | 퀀텀 프로세서 4K (2020) | 하이퍼 리얼 |
AI 화질 최적화 | 지원 | 지원 | 미지원 |
AI 업스케일링 | 지원 | 지원 | 미지원 |
퀀텀 HDR | 지원 | 지원 | 미지원 (일반 HDR) |
HDR 10+ | 지원 | 지원 | 미지원 |
HLG | 지원 | 지원 | 미지원 |
듀얼 LED | 지원 | 지원 | 미지원 |
디밍 기술 | 슈프림 UHD 디밍 | 슈프림 UHD 디밍 | 마이크로 디밍 프로 |
명암비 강화 기술 | 지원 | 지원 | 지원 |
필름메이커 모드 | 미지원 | 미지원 | 미지원 |
프리싱크 | 프리싱크 프리미엄 | 미지원 | 미지원 |
게임모드 | 지원 | 지원 | 일부 지원 |
스피커 채널 | 2.2 채널 | 2 채널 | 2 채널 |
스피커 출력 | 40 W | 20 W | 20 W |
돌비 디지털 | 지원 | 지원 | 지원 |
무빙 사운드 | 미지원 | 미지원 | 미지원 |
Q-심포니 | 미지원 | 미지원 | 미지원 |
AI 사운드 최적화+ | 지원 | 지원 | 미지원 |
AI 액티브 보이스 | 지원 | 지원 | 미지원 |
음성 강화 | 지원 | 지원 | 미지원 |
운영체제 | 타이젠 | 타이젠 | 타이젠 |
웹브라우저 | 지원 | 지원 | 지원 |
TV Plus | 지원 | 지원 | 지원 |
AI 빅스비 | 지원 | 지원 | 지원 |
구글 어시스턴트 호환 | 지원 | 지원 | 지원 |
매직스크린+ | 지원 | 지원 | 미지원 |
탭뷰 | 지원 | 지원 | 지원 |
멀티뷰 | 지원 | 지원 | 미지원 |
뮤직월 | 지원 | 지원 | 미지원 |
아트모드 | 지원 | 지원 | 지원 |
사진 저장 용량 | 50 MB | 50 MB | 50 MB |
원거리 음성 인식 | 미지원 | 미지원 | 미지원 |
SmartThings | 지원 | 지원 | 호환 |
방수방진 | 미지원 | 미지원 | 미지원 |
에어플레이 2 | 지원 | 지원 | 지원 |
TV to M 미러링 | 지원 | 지원 | 미지원 |
M to TV 미러링 | 지원 | 지원 | 지원 |
조도 센서 | 지원 | 지원 | 지원 |
컬러 센서 | 지원 | 지원 | 미지원 |
동작 감지 센서 | 지원 | 지원 | 미지원 |
에코 센서 | 지원 | 지원 | 지원 |
블루투스 | 지원 | 지원 | 지원 |
IPv6 | 지원 | 지원 | 지원 |
와이파이 | 802.11ac | 802.11ac | 802.11ac |
유선 LAN | 지원 | 지원 | 미지원 |
제조국 | 베트남 | 베트남 | 베트남 |
32인치 모델과 32인치가 아닌 모델의 사양 차이가 매우 크다. 32인치 모델에는 FHD 해상도, FHD 해상도 및 Edge LED에 최적화된 마이크로 디밍 프로 기술, 2009년에 개발한 하이퍼 리얼 화질 엔진을 적용했고, 게임 모드는 지원하지만 기능에 제한이 있는 반면에 32인치가 아닌 모델에는 UHD 해상도와 관련된 기술을 적용했고, 게임 모드, 프리싱크, 듀얼 LED, AI 사운드 최적화+, AI 액티브 보이스, 음성 강화, 매직스크린+, 탭뷰, 멀티뷰, 뮤직월, TV to Mobile 미러링, 컬러 센서, 동작 감지 센서, 유선 LAN 포트와 같은 주요 기능을 모두 지원한다.
삼성전자의 공식 소비자가는 75인치 모델이 499만원이고, 65인치 모델이 314만원이고, 55인치 모델이 224만원이고, 50인치 모델이 194만원이고, 43인치 모델이 164만원이고, 2021년에 한국에서 출시한 32인치 모델이 114만원인데, 각 모델의 가격차를 보면 32인치 모델은 다른 모델에 비해 사양이 낮은 대신 20만원이 더 저렴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하지만 32인치 모델의 소비자 가격이 100만원이 넘는데도 불구하고 UHD 해상도가 아닌 FHD 해상도를 탑재한 건 소비자를 모욕하는 행위라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다행히 더 프레임 TV 32인치의 실 구매 가격은 543,000원이다. 2021년 4월 예판 가격은 690,000원이었고 초기 일반 판매 가격은 그보다 더 비쌌지만, 매달 꾸준하게 판매가가 하락하면서 2021년 10월에는 543,000원까지 낮아졌다. 삼성전자도 32인치 모델의 성능이 다른 모델에 비해 너무 뒤떨어지다 보니 다른 모델에 비해 더 높은 하락폭으로 가격을 낮춘 것으로 추정된다. 만약에 매달 5,000원을 지불하고 아트 모드를 감상할 예정이라면 지금 가격에 구매할만 하다.
○ 삼성전자 2021 더 프레임 TV 비교
크기 | 85, 75, 65, 55 인치 | 50, 43 인치 | 32 인치 |
광원 | LED | LED | LED |
광원 유형 | Edge LED | Edge LED | Edge LED |
패널 | QD-LCD | QD-LCD | QD-LCD |
화면 브랜드 | QLED | QLED | QLED |
해상도 | 3840 x 2160 | 3840 x 2160 | 1920 x 1080 |
기본 재생률 | 60 Hz | 60 Hz | 60 Hz |
오토 모션 플러스 | 지원 | 지원 | 미지원 |
보간 재생률 | 240 Hz | 120 Hz | – |
화질엔진 | 퀀텀 프로세서 4K (2020) | 퀀텀 프로세서 4K (2020) | 하이퍼 리얼 |
AI 화질 최적화 | 지원 | 지원 | 미지원 |
AI 업스케일링 | 지원 | 지원 | 미지원 |
퀀텀 HDR | 지원 | 지원 | 미지원 (일반 HDR) |
HDR 10+ | 지원 | 지원 | 미지원 |
HLG | 지원 | 지원 | 미지원 |
듀얼 LED | 미지원 | 미지원 | 미지원 |
디밍 기술 | 슈프림 UHD 디밍 | 슈프림 UHD 디밍 | 마이크로 디밍 프로 |
명암비 강화 기술 | 지원 | 지원 | 지원 |
필름메이커 모드 | 지원 | 지원 | 미지원 |
프리싱크 | 프리싱크 프리미엄 프로 | 미지원 | 미지원 |
게임모드 | 지원 | 지원 | 일부 지원 |
스피커 채널 | 4 채널 | 2 채널 | 2 채널 |
스피커 출력 | 40 W | 20 W | 20 W |
돌비 디지털 | 지원 | 지원 | 지원 |
무빙 사운드 | Lite 지원 | Lite 지원 | 미지원 |
Q-심포니 | 지원 | 지원 | 미지원 |
AI 사운드 최적화+ | 지원 | 지원 | 미지원 |
AI 액티브 보이스 | 지원 | 지원 | 미지원 |
음성 강화 | 지원 | 지원 | 미지원 |
운영체제 | 타이젠 | 타이젠 | 타이젠 |
웹브라우저 | 지원 | 지원 | 지원 |
TV Plus | 지원 | 지원 | 지원 |
AI 빅스비 | 지원 | 지원 | 지원 |
구글 어시스턴트 호환 | 지원 | 지원 | 지원 |
매직스크린+ | 지원 | 지원 | 미지원 |
탭뷰 | 지원 | 지원 | 지원 |
멀티뷰 | 지원 | 지원 | 미지원 |
뮤직월 | 지원 | 지원 | 미지원 |
아트모드 | 지원 | 지원 | 지원 |
사진 저장 용량 | 6 GB | 6 GB | 50 MB |
원거리 음성 인식 | 미지원 | 미지원 | 미지원 |
SmartThings | 호환 | 호환 | 호환 |
방수방진 | 미지원 | 미지원 | 미지원 |
에어플레이 2 | 지원 | 지원 | 지원 |
TV to M 미러링 | 지원 | 지원 | 미지원 |
M to TV 미러링 | 지원 | 지원 | 지원 |
조도 센서 | 지원 | 지원 | 지원 |
컬러 센서 | 지원 | 지원 | 미지원 |
동작 감지 센서 | 지원 | 지원 | 미지원 |
에코 센서 | 지원 | 지원 | 지원 |
블루투스 | 지원 | 지원 | 지원 |
IPv6 | 지원 | 지원 | 지원 |
와이파이 | 802.11ac | 802.11ac | 802.11ac |
유선 LAN | 지원 | 지원 | 미지원 |
제조국 | 베트남 | 베트남 | 베트남 |
32인치 모델과 32인치가 아닌 모델의 사양 차이가 매우 크다. 32인치 모델에는 FHD 해상도, FHD 해상도 및 Edge LED에 최적화된 마이크로 디밍 프로 기술, 2009년에 개발한 하이퍼 리얼 화질 엔진을 적용했고, 게임 모드는 지원하지만 기능에 제한이 있고, 사진 저장 용량은 50MB인 반면에 32인치가 아닌 모델에는 UHD 해상도와 관련된 기술을 적용했고, 게임 모드, 프리싱크, 무빙 사운드, Q-심포니, AI 사운드 최적화+, AI 액티브 보이스, 음성 강화, 매직스크린+, 탭뷰, 멀티뷰, 뮤직월, TV to Mobile 미러링, 컬러 센서, 동작 감지 센서, 유선 LAN 포트를 모두 지원하고, 사진 저장 용량도 6GB이다.
삼성전자의 공식 소비자가는 85인치 모델이 669만원이고, 75인치 모델이 530만원이고, 65인치 모델이 340만원이고, 55인치 모델이 242만원이고, 50인치 모델이 200만원이고, 43인치 모델이 170만원이고, 32인치 모델이 114만원인데, 각 모델의 가격차를 보면 32인치 모델은 다른 모델에 비해 사양이 낮은 대신 더 저렴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하지만 32인치 모델의 소비자 가격이 100만원이 넘는데도 불구하고 UHD 해상도가 아닌 FHD 해상도를 탑재한 건 소비자를 모욕하는 행위라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다행히 더 프레임 TV 32인치의 실 구매 가격은 543,000원이다. 2021년 4월 예판 가격은 690,000원이었고 초기 일반 판매 가격은 그보다 더 비쌌지만, 매달 꾸준하게 판매가가 하락하면서 2021년 10월에는 543,000원까지 낮아졌다. 삼성전자도 32인치 모델의 성능이 다른 모델에 비해 너무 뒤떨어지다 보니 다른 모델에 비해 더 높은 하락폭으로 가격을 낮춘 것으로 추정된다. 만약에 매달 5,000원을 지불하고 아트 모드를 감상할 예정이라면 지금 가격에 구매할만 하다.
○ 삼성전자 2022 더 프레임 TV 32인치 비교
출시일 | 2020년 5월 | 2022년 3월 |
출시일(국내) | 2021년 3월 | 2022년 3월 |
모델명 | KQ32LST03 | KQ32LSB03 |
크기 | 32 인치 | 32 인치 |
광원 | LED | LED |
광원 유형 | Edge LED | Edge LED |
패널 | QD-LCD | QD-LCD |
화면 브랜드 | QLED | QLED |
해상도 | 1920 x 1080 | 1920 x 1080 |
기본 재생률 | 60 Hz | 60 Hz |
오토 모션 플러스 | 미지원 | 미지원 |
보간 재생률 | – | – |
화질엔진 | 하이퍼 리얼 | 하이퍼 리얼 |
스마트 캘리브레이션 | 미지원 | 지원 |
AI 화질 최적화 | 미지원 | 미지원 |
AI 업스케일링 | 미지원 | 미지원 |
HDR | 지원 | 지원 |
HDR 10+ | 미지원 | 미지원 |
HLG | 미지원 | 미지원 |
매트 디스플레이 | 미지원 | 지원 |
디밍 기술 | 마이크로 디밍 프로 | 마이크로 디밍 프로 |
명암비 강화 기술 | 지원 | 지원 |
필름메이커 모드 | 미지원 | 미지원 |
프리싱크 | 미지원 | 미지원 |
게임모드 | 일부 지원 | 일부 지원 |
스피커 채널 | 2 채널 | 2 채널 |
스피커 출력 | 20 W | 20 W |
돌비 디지털 | 지원 | 지원 |
무빙 사운드 | 미지원 | 미지원 |
Q-심포니 | 미지원 | 지원 |
AI 사운드 최적화+ | 미지원 | 지원 |
AI 액티브 보이스 | 미지원 | 미지원 |
운영체제 | 타이젠 | 타이젠 |
웹브라우저 | 지원 | 지원 |
TV Plus | 지원 | 지원 |
AI 빅스비 | 지원 | 지원 |
구글 어시스턴트 호환 | 지원 | 지원 |
구글 어시스턴트 내장 | 미지원 | 지원 |
매직스크린+ | 미지원 | 미지원 |
탭뷰 | 지원 | 지원 |
멀티뷰 | 미지원 | 미지원 |
뮤직월 | 미지원 | 미지원 |
아트모드 | 지원 | 지원 |
사진 저장 용량 | 50 MB | 4 GB |
원거리 음성 인식 | 미지원 | 미지원 |
SmartThings | 호환 | 지원 |
방수방진 | 미지원 | 미지원 |
에어플레이 2 | 지원 | 지원 |
TV to M 미러링 | 미지원 | 미지원 |
M to TV 미러링 | 지원 | 지원 |
조도 센서 | 지원 | 지원 |
컬러 센서 | 미지원 | 지원 |
동작 감지 센서 | 미지원 | 미지원 |
에코 센서 | 지원 | 지원 |
블루투스 | 지원 | 지원 |
IPv6 | 지원 | 지원 |
와이파이 | 802.11ac | 802.11ac |
유선 LAN | 미지원 | 미지원 |
제조국 | 베트남 | 베트남 |
삼성전자 더 프레임 QLED 32인치가 2020년형에서 2022년형으로 변경되면서 부가 기능이 대폭 업그레이드 되었다.
– 빛 반사를 획기적으로 줄인 매트 디스플레이를 적용했다.
– 스마트싱스 APP에서 디스플레이 화질을 컨트롤하는 스마트 캘리브레이션 기능을 추가했다.
– TV 스피커와 사운드바의 모든 스피커를 활용해서 최적의 사운드를 찾아주는 Q-심포니를 추가했다.
– 실시간으로 매 장면의 사운드 입력 신호를 분석하고 왜곡된 주파수 응답을 보정해서 최적화된 사운드를 들려주는 AI 사운드 최적화+를 추가했다.
– 사진 저장 용량이 50MB에서 4GB로 대폭 높아졌다.
– 조도 센서와 함께 주변 환경의 밝기를 감지해서 좀 더 효율적으로 화면의 밝기를 조정하기 위해 컬러 센서를 추가했다.
삼성전자 더 프레임 QLED 32인치 TV 사양
1. 디스플레이 패널
2002년에 개발한 FHD 해상도와 2009년에 개발한 Edge LED를 적용해서 원가 절감을 했고 2015년에 개발한 QD-LCD를 적용해서 화질을 높였다.
(1) LED 백라이트 배열
LED 백라이트의 배열 방법은 화면 전체에 LED 소자를 촘촘하게 배열한 직하형(다이렉트 LED, Direct LED)과 화면 가장자리 네 면에만 LED 소자를 촘촘하게 배열한 엣지형(엣지 LED, Edge LED)으로 구분되는데 세부적으로 화면 전체에 LED 소자를 촘촘하게 배열한 직하형과 특정한 패턴으로 LED 소자를 듬성듬성 배열한 직하형, 화면 가장자리 네 면에만 LED 소자를 촘촘하게 배열한 엣지형과 화면 가장자리의 상하나 좌우 또는 한쪽 면에만 LED 소자를 촘촘하게 배열한 엣지형, 직하형과 엣지형의 혼합형으로 구분된다.
2005년에 삼성전자가 LED 백라이트 TFT-LCD를 개발했을 때는 직하형만 있었지만, 2009년에 화질이 다소 낮아지더라도 TV의 두께를 얇게 만들고 LED 소자의 개수를 줄여서 원가 절감을 할 수 있는 엣지형을 개발했다. 삼성전자 더 프레임 TV에는 Edge LED 백라이트를 적용했지만, 구체적인 배열 방식은 비공개여서 알 수 없다.
(2) QLED
QLED(QD-LCD)는 일반적인 LED 백라이트 TFT-LCD보다 색표현력과 명암비가 더 뛰어나다. 2015년에 삼성전자가 LED 백라이트 TFT-LCD에 퀀텀닷 필름을 부착하는 ‘나노 크리스털 기술’을 공개하면서 SUHD 브랜드를 론칭했고, 2017년에 퀀텀닷 필름에 메탈 코팅을 추가한 ‘퀀텀닷 기술’을 공개하면서 SUHD 브랜드명을 QLED로 변경했다.
2. HDR
2015년에 개발한 HDR(High Dynamic Range)을 적용해서 화질을 높였다. HDR은 매우 밝고 매우 어두운 영역의 디테일을 더욱 자연스럽고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기술로 삼성전자는 2015년에 출시한 SUHD TV부터 HDR을 적용했다.
3. 화질 엔진
2009년에 개발한 하이퍼 리얼 엔진을 적용했다. 하이퍼 리얼 엔진은 FHD 해상도에서 LED 백라이트 TFT-LCD의 화질을 최적화하는 기술이다.
4. 명암비 강화 기술(Contrast Enhancer)
정적인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적용해서 원본 콘텐츠의 명암비를 높였다.
5. 디밍 기술
2011년에 개발한 마이크로 디밍 프로 기술을 적용해서 검은색 표현력, 선명도, 색 심도를 높였다. 디밍 기술은 백라이트를 여러 영역으로 구분해서 어두운 부분은 백라이트를 끄거나 밝기를 더 줄이고 밝은 부분은 밝기를 더 높여서 동적으로 명암비와 소비전력을 개선하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로컬 디밍이라고 하며 삼성전자는 로컬 디밍 대신 마이크로 디밍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마이크로 디밍은 백라이트를 300개의 존으로 구분하는 마이크로 디밍(Micro Dimming), 더 깊은 수준의 검은색을 만들고 선명도와 색 심도를 향상시키는 마이크로 디밍 프로(Micro Dimming Pro), 백라이트를 600개의 존으로 구분하는 마이크로 디밍 얼티메이트(Micro Dimming Ultimate)로 구분된다.
6. 사진 저장 용량
50MB의 외부 저장소에 사용자 사진을 저장하고 재생할 수 있다. 1920 x 1080 해상도의 고화질 사진 한 장의 용량을 1MB로 가정하면 최대 50장의 사진을 저장하고 재생할 수 있다.
7. SmartThings
더 프레임 TV가 WiFi에 연결되어 있다면 외부에서 SmartThings 앱을 통해 더 프레임 TV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8. Mobile to TV 미러링
Mobile to TV 미러링 기능을 적용해서 모바일 화면을 TV에 미러링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은 SmartThings 앱으로 미러링을 하거나 안드로이드 OS 버전이 8.1 버전 이상인 경우 탭뷰로 미러링을 할 수 있고, 아이폰은 에어플레이로 미러링을 할 수 있다.
9. 조도 센서
TV가 아트 모드일 때 주변 환경의 밝기에 따라 화면의 밝기와 컬러 톤을 조정하고 빛의 유무에 따라 TV를 켜거나 끌 수 있다.
10. 에코 센서
주변 환경의 밝기에 따라 화면의 밝기를 조정하고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삼성전자 더 프레임 QLED 32인치 TV 특징
○ 스마트 TV
1. 스마트 TV
스마트 TV는 TV 방송 수신 외에 인터넷과 앱을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는 TV이다. 더 프레임 TV 32인치에는 유선 LAN 포트가 없기 때문에 집 공유기의 와이파이나 모바일 기기의 핫스팟에 연결해야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2. 홈 화면
홈 아이콘 오른쪽으로 SAMSUNG TV PLUS, NETFLIX, PRIME VIDEO, YOUTUBE, TVING, WATCHA, WAVVE, COUPANG PLAY, GALLERY, INTERNET, OK GOOGLE 앱이 나열되어 있고, 홈 아이콘 왼쪽으로 아트 모드, APPS, 검색, 외부입력, 설정 버튼이 나열되어 있고, 홈 아이콘 아래쪽으로 삼성 TV Plus의 주요 방송 리스트가 나열되어 있다. 홈 아이콘 오른쪽에 나열된 앱은 설정에서 추가/삭제하거나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3. APPS
TV Plus, 넷플릭스, 프라임 비디오, 유튜브, 티빙, 왓챠, 웨이브, 쿠팡 플레이, 갤러리, 인터넷 등의 앱이 설치되어 있고, 삼성전자에서 검증한 영상, 라디오, 음악, 스포츠, 게임, 정보 앱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앱 저장소의 전체 용량은 약 3.82GB이고, 기본 제공 앱이 차지하는 용량은 약 2.34GB인데 대부분의 기본 제공 앱은 삭제할 수 없다. 갤러리 앱을 사용하면 삼성 클라우드로 동기화된 사진 및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고, 인터넷 앱을 사용하면 포털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다. 단 인터넷 앱에서 전자상거래 및 파일 다운로드는 지원하지 않는다.
○ 삼성 TV Plus
1. 기본 정보
구독, 추가 결제, 별도의 회원가입, 다운로드 없이 100% 무료로 제공되는 광고 기반의 스마트 비디오 서비스이다. 삼성전자의 자체 방송편성표에 맞춰 실시간으로 방송이 재생되며, 방송 도중 주기적으로 광고가 재생되며 광고가 편성되지 않으면 광고 시간 안내 문구가 출력된다. 시청자는 ‘방송 편성표’에서 시간대별 방송 목록을 보거나 ‘채널 목록’에서 전체 방송 목록을 볼 수 있고, ‘채널 편집’에서 ‘선호 목록’을 다섯 개까지 설정할 수 있다.
2. 채널 정보
(1) 2021년 5월 2일
연합뉴스TV, 구미호뎐, 여신강림, 번외수사, 트레인, 산후조리원, 악의 꽃, 써치, 미씽, 호텔 델루나,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WWW, 아는 와이프, 응답하라 1988, 영앤드라마, 삼성 웹드라마, 맛있는 녀석들, 바퀴 달린 집, 여름방학, 온앤오프, 대탈출3, 신박한 정리, 식스센스, 신서유기7, 모터그래프, 셀레브, 후재팬 뉴스, 코미디빅리그, 현대홈쇼핑, TBS FLEX, 우리의 식탁, NEW MOBIES, 비포플레이, 삼성 TV PLus Fitness, 스포TV, 빌리어즈TV 레전드, Mubeat, ch.핑크퐁, 미니특공대TV
(2) 2021년 6월 27일
연합 뉴스 TV, 라이프온마스, 여신강림, 날 죽여주오, tvN 드라마 스테이지 2020, 산후조리원, 머니게임, 써치, 하늘에서 내리는 일억개의 별,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WWW, 아는 와이프, 영앤드라마, 맛있는 녀석들, 포커스(Folk Us), 서울촌놈, 바닷길 선발대, 여름방학, 온앤오프, 나의 첫 사회생활, 신박한정리, 시긋센스, 신서유기7, 모터그래프, 셀레브, 후즈팬 뉴스, 코미디빅리그, 현대홈쇼핑, TBS FLEX, 우리의식탁, 현대홈쇼핑+Shop, NEW MOVIES, 비포플레이, 삼성 TV Plus Fitness, 스포TV, 빌리어즈 TV 레전드, Bloomberg Quicktake, Mubeat, ch.핑크퐁, 미니특공대 TV
○ 아트모드
1. 기본 정보
아트모드는 스마트 TV를 종료했을 때 고전 명화, 현대 미술, 유명 작가들의 사진 등 1,400개 이상의 예술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기능이다. 아트 스토어에서 맴버쉽 1개월 무료 체험을 하고 매월 5,000원을 지불하면 모든 작품을 자유롭게 감상할 수 있다. 참고로 2021년 5월에 삼성전자가 무료로 제공한 작품 수는 23가지이다.
작품은 스포트라이트, 큐레이션, 파트너, 소재, 장르, 색상, 아티스트별로 검색할 수 있고 각 작품의 상세정보에서 작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볼 수 있다. 작품의 노출 방식은 매트 없음, 모던 매트, 그림자 매트로 구분되며, 매트를 사용하면 화면 가장자리에 매트 영역이 노출되고 작품은 화면 정중앙에 위치한다. 매트 컬러는 검정, 뉴트럴, 앤틱, 따뜻함, 순백, 모래, 석판, 풀잎, 와인, 네이비, 살구, 비잔틴, 라벤더, 오렌지, 스카이 블루, 청록을 지원한다.
2. 즐겨찾기
마음에 드는 작품을 즐겨찾기하면 ‘나의 컬렉션’의 ‘즐겨찾기’에서 즐겨찾기한 작품만 따로 모아서 슬라이드 쇼를 재생할 수 있다. 슬라이드 쇼 주기는 10분, 30분, 1시간, 6시간, 12시간, 1일, 3일, 7일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3. 사용자 이미지
‘나의 컬렉션’의 ‘나의 사진’에서 사용자 이미지를 불러와서 외부 저장소에 저장하면 사용자 이미지만 따로 모아서 슬라이드 쇼를 재생할 수 있다. 외부 저장소의 용량은 50MB이고 권장 이미지 해상도는 1920 x 1080이다.
4. 아트모드 설정
– 화면 밝기를 총 11단계로 조정할 수 있다.
– 컬러의 차갑고 따뜻한 느낌을 총 11단계로 조정할 수 있다.
– ‘다음 시간 후 꺼짐’을 끄기,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 빛이 감지되지 않을 때 TV가 완전히 종료되는 ‘심야 모드’를 켜고 끌 수 있다.
○ 액자 베젤
베젤 컬러는 베이지, 브라운, 화이트 세 가지를 지원하며 자석 탈부착 방식으로 설치 및 교체할 수 있다. 단 베젤을 부착하면 베젤 구조상 화면 가장자리가 약 2mm 정도 가려져서 전체 화면으로 영상이나 사진을 감상할 때 사람에 따라 이질감을 느낄 수도 있다.
○ 설치 방식
테이블 위에 올려둘 수 있는 기본 스탠드 방식과 벽에 밀착해서 설치하는 월마운트 방식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데, 월마운트 방식은 월마운트 설치 구성품을 별도로 구매해야 한다. 참고로 더 프레임 TV 32인치는 스튜디오 스탠드를 지원하지 않는다.
삼성전자 더 프레임 QLED 32인치 TV 외형



삼성전자 더 프레임 QLED 32인치 TV 주변 기기 연결
– 영상 기기 연결: HDMI
– 스마트폰 연결: 삼성 SmartThings, 애플 에어플레이, 탭 뷰
– PC 연결: HDMI, 무선 화면 공유, 애플 에어플레이
– 입력 장치 연결: 블루투스 키보드, 블루투스 마우스, USB 게임패드
– 게임기 연결: HDMI로 플레이스테이션, XBOX, 닌텐도 스위치를 연결할 수 있다.
– 외부 저장장치 연결: USB 저장장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 오디오 연결: HDMI(ARC), 옵티컬, 블루투스, Wi-Fi, Wi-Fi 스피커 서라운드
삼성전자 더 프레임 QLED 32인치 TV 설정
○ 화면
1. 화면 모드
– 선명한 화면: 표준 화면보다 대비가 아주 더 높다.
– 표준 화면: 가장 자연스럽다.
– 최적 화면: 표준 화면보다 채도와 대비가 조금 더 높다.
– 영화 화면: 표준 화면보다 밝기가 조금 더 어둡고 따뜻한 느낌의 색조가 입혀진다.
2. 전문가 설정
– 밝기: 화면 전체의 밝기를 0부터 50까지 조절할 수 있다. 기본값은 50이다.
– 명암: 물체와 배경 간의 밝고 어두움의 차이를 0부터 50까지 조절할 수 있다. 기본값은 50이다.
– 선명도: 사물 윤곽의 선명도를 0부터 20까지 조절할 수 있다. 기본값은 10이다.
– 채도: 영상의 채도를 0부터 50까지 조절할 수 있다. 기본값은 25이다.
– 색조(녹/적): 녹색 색조 또는 적색 색조를 0부터 15까지 조절할 수 있다. 기본값은 0이다.
– 잡음 제거: 화면이 떨리거나 점선이 생기는 현상을 줄인다. 기본값은 켜짐이다.
– 자동 명암 조정: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의 밝기 차이가 지나지지 않도록 자동으로 조절한다. 꺼짐, 약하게, 강하게 중에서 기본값은 강하게이다. 강하게로 설정하면 휘도가 높아져서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이 더 밝아진다.
– 필름 모드: 오래된 영상의 입력 신호가 480i, 1080i일 때 시청하기 좋은 화질로 보정한다. 기본값은 꺼짐이다. 필름 모드는 기본적으로 비활성화되어 있다.
– 컬러 톤: 시청하는 상황에 따라 적합한 컬러 톤을 선택한다. 차갑게, 중간, 따뜻하게1, 따뜻하게2 중에서 기본값은 중간이다. 차갑게로 설정하면 푸른 빛이 강조되고, 따뜻하게로 설정하면 노란 빛이 강조된다.
– 화이트 밸런스: 화면의 가장 밝은 부분이 흰색이 되도록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2포인트와 10포인트 옵션이 있는데, 2포인트는 화면을 두 개의 구역으로 나누고 각 구역의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의 밝기를 조절한다. 10포인트는 기본적으로 비활성화되어 있다.
– 감마 조정: 영상의 중간 밝기를 -3에서 3까지 조절할 수 있다. 기본값은 0이다.
– 어두운 화면 밝기: 화면의 어두운 부분을 -5까지 더 어둡게 하거나 5까지 밝게 조절할 수 있다. 기본값은 0이다.
– 색상 보정 기능: 화면의 컬러를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으로 변경할 수 있다. 기본값은 꺼짐이다.
– 색 재현 범위 설정: 화면에 표현할 수 있는 색의 범위를 자동, 확장, 사용자 정의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기본값은 확장이다. 확장 설정은 자동 설정보다 채도가 높다.
– 화면 초기화: 화면 설정을 처음 상태로 되돌린다.
○ 음량
1. 소리 출력
TV 소리를 들을 스피커를 TV 스피커, 옵티컬만 연결, 블루투스 스피커 목록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기본값은 TV 스피커이다.
2. 음향 모드
시청 환경에 맞는 음향 모드를 표준으로 들을 때, AI 사운드, 또렷하게 들을 때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기본값은 AI 사운드이다.
3. Wi-Fi 스피커 서라운드 설정
Wi-Fi로 연결된 삼성 사운드바 또는 무선 스피커를 스테레오나 서라운드 방식으로 들을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Wi-Fi 스피커 서라운드 설정은 기본적으로 비활성화되어 있다.
4. 전문가 설정
– 음균형: 좌우 스피커의 소리 크기를 좌우 각각 최대 10까지 조절해서 좌우 소리 균형을 조정할 수 있다. 기본값은 0이다.
– 이퀄라이저: 고음과 저음의 음량을 조절해서 TV 소리를 원하는 대로 보정할 수 있다. 이퀄라이저저는 기본적으로 비활성화되어 있다.
– 디지털 출력 오디오 형식: 디지털 오디오의 출력 형식을 PCM, 자동, Pass-Through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기본값은 자동이다. Pass-Through 옵션은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그대로 리시버에 전달하는데, 외부입력이 HDMI이고, 리시버가 HDMI-ARC로 연결된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다.
– 디지털 출력 오디오 지연시간 조정: 외부기기가 HDMI-ARC 및 SPDIF로 연결된 경우 디지털 오디오의 출력 지연 시간을 0부터 250까지 10단위로 조절할 수 있다. 기본값은 100이다.
– 돌비 애트모스 호환: HDMI-ARC 포트에 연결된 오디오 기기가 돌비 애트모스를 지원할 경우 활성화되는 옵션이다. 돌비 애트모스 호환은 기본적으로 비활성화되어 있다.
– 자동 음량: 채널을 변경하거나 다른 외부입력으로 전환할 때 소리가 일정한 크기로 나도록 자동으로 조절한다. 기본값은 꺼짐이다.
– 동작음: 메뉴를 조작하거나 옵션을 선택할 때 알림의 재생여부와 크기를 꺼짐, 약하게, 중간, 강하게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기본값은 약하게이다.
– 음향 초기화: 음향 설정을 처음 상태로 되돌린다.
○ 채널/방송
1. 자동 채널 설정
수신되는 모든 채널을 검색해서 저장한다.
2. 채널 잠금 적용
어린이가 유해한 채널을 시청하지 못하도록 채널의 시청을 제한한다. (2021년 6월 27일 기준 어린이에게 유해한 채널은 없다)
3. 방송 음성 설정
– 스테레오 설정: 음원에 따라 음성 출력을 스테레오나 모노로 조정한다. 기본값은 수동이다.
– 선호 언어: 한국어로 설정되어 있다. 선호 언어는 기본적으로 비활성화되어 있다.
○ 일반
1. 음성 기능
– 보이스 어시스턴트: 빅스비와 Google 어시스턴트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기본값은 빅스비이다.
– 음성 추천어: 사용자에 기반한 상황별 음성 추천 기능이다. 기본값은 켜짐이다.
– 빅스비 언어: 영국 영어, 미국 영어, 인도 영어, 한국어, 독일어, 에스파냐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브라질어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기본값은 한국어이다.
– 빅스비 음성 답변: 사용안함, 윤정, 유리, 우호, 두리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 빅스비 소리 피드백: 리모컨을 조작할 때 알림음이 빅스비가 듣기 시작할 때 나거나 빅스비가 듣고 나서 나도록 선택할 수 있다.
2. 네트워크
– 네트워크 상태: 네트워크 및 인터넷의 연결상태를 확인한다.
– 네트워크 설정 실행: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를 설정한다.
– 네트워크 초기화: 네트워크 설정을 처음 상태로 되돌린다.
– 전문가 설정: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등 모바일 기기로 TV의 전원을 켤 수 있도록 설정한다. 기본값은 켜짐이다.
3. 시스템 관리
– 시간 설정 모드: 시간을 수동이나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다. 기본값은 자동이다.
– 시간 오프셋: 오프셋을 설정해서 올바른 시간을 설정한다. 기본값은 00:00이다.
– 취침 예약: 취침 예약 시간에 자동으로 TV가 꺼지도록 꺼짐, 30분, 60분, 120분, 180분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기본값은 꺼짐이다.
– 꺼짐 시간 예약: 예약된 시간에 자동으로 TV가 꺼지도록 꺼짐, 요일별 특정 시간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기본값은 꺼짐이다. 꺼짐 시간 예약을 켜면 한번, 매일, 월-금, 월-토, 토-일, 수동 선택 중에서 선택하고 시간을 설정을 할 수 있다.
– 언어: 메뉴를 표시하고 음성 인식에 사용할 언어를 한국어와 영어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기본값은 한국어이다.
– 기기 이름: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휴대폰 및 PC에 표시되는 TV의 기기 이름을 설정한다. 기본값은 Samsung The Frame (32)이다.
– 삼성 계정: 스마트 허브를 사용하기 위해 삼성 계정을 생성하거나 관리한다.
– PIN 변경: 잠금 기능을 사용하는 데 필요한 4자리 숫자의 비밀번호를 변경한다. 기본값은 0000이다.
– 자동 보호 시간: 2시간 동안 같은 정지 영상이 계속 표시되면 화면 보호기를 실행한다. 기본값은 켜짐이다.
– 사용 모드: 사용하는 위치에 따라 가장 모드, 매장 모드 중에서 선택한다. 기본값은 가정 모드이다.
4. 외부기기 관리
– Anynet+ (HDMI-CEC): TV 리모컨으로 외부 기기를 조작할 수 있고, 소리를 HDMI(eARC)에 연결된 사운드바(리시버)로 들을 수 있다. 기본값은 켜짐이다.
– 게임 모드: 외부 게임기를 사용할 때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최적화한다. 기본값은 꺼짐이다. 게임 모드는 기본적으로 비활성화되어 있다.
– HDMI 블랙 레벨: 영상 신호의 블랙 레벨을 조절해서 HDMI 이미지의 밝기와 명암대비를 최적화한다. 기본값은 약하게이다. HDMI 블랙 레벨은 기본적으로 비활성화되어 있다.
– 입력 장치 관리자: TV에 연결한 입력장치(키보드, 마우스, 게임패드)의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마우스 설정에서는 기본 버튼을 좌클릭과 우클릭 중에서 선택할 수 있고 포인터 속도를 느리게, 중간, 빠르게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 기기 연결 관리자: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등 외부 기기의 허용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5. Apple AirPlay 설정
AirPlay를 이용해서 비디오, 음악, 사진을 iPhone, iPad, Mac에서 TV로 간편하게 스트리밍할 수 있다. 기본값은 켜짐이다.
6. 에코 절전 설정
– 화면 밝기 조정: 주변 밝기에 따라 영상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절한다. 기본값은 켜짐이다.
– 최소 밝기: TV 화면의 최소 밝기를 0부터 50까지 조절할 수 있다. 기본값은 18이다.
– 절전 모드: 주변 밝기에 따라 화면 밝기를 조절해서 전력 소모를 줄인다. 기본값은 꺼짐이다.
– 모션 밝기 조정: 화면 움직임에 따라 밝기를 조절해서 전력 소모를 줄인다. 기본값은 켜짐이다.
– 자동 전원 끄기: 지정한 시간 동안 조작이 없으면 자동으로 TV가 꺼진다. 꺼짐, 4시간, 6시간, 8시간 중에서 선택할 수 있고 기본값은 꺼짐이다.
7. 접근성
– 음성 안내: TV 조작을 도울 수 있도록 메뉴와 옵션을 음성으로 읽어준다. 기본값은 꺼짐이다.
– 화면 끄기: TV 화면을 끄고 소리만 나오게 한다. 기본값은 꺼짐이다.
– 화면 해설 방송: 방송이 화면해설을 제공하는 경우 화면의 상황을 설명해주는 화면 해설을 재생한다. 기본값은 꺼짐이다. 화면 해설 방송은 기본적으로 비활성화되어 있다.
– 고대비 화면: 스마트 허브와 설정 메뉴의 배경 및 글자 색상을 고대비로 설정한다. 기본값은 꺼짐이다.
– 포커스 확대: 메뉴를 확대해서 표시한다. 기본값은 꺼짐이다.
– 리모컨 익히기: 리모컨 버튼의 위치를 학습한다. 이 기능을 실행하면 리모컨 버튼을 누를 때마다 버튼의 이름을 말해준다.
– 메뉴 익히기: TV 화면에 나타난 메뉴를 학습한다. 이 기능을 실행하면 선택된 메뉴의 구조와 기능을 말해준다.
– 자막 설정: 방송이 자막을 제공하는 경우 자막을 표시한다. 기본값은 꺼짐이다.
– 소리 다중 출력: TV 스피커와 블루투스 스피커로 동시에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블루투스 기기의 음량을 TV 스피커 음량보다 더 크게 설정할 수 있다. 기본값은 꺼짐이다. 소리 다중 출력은 기본적으로 비활성화되어 있다.
– 리모컨 버튼 반복 설정: 리모컨 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을 때 버튼의 반복해서 누르도록 설정한다. 기본값은 꺼짐이다.
8. 스마트 기능
– 스마트 허브 자동 실행: TV의 전원이 켜지면 자동으로 스마트 허브를 실행한다. 기본값은 꺼짐이다.
– 앱 자동 실행: TV의 전원이 켜지면 최근에 사용한 앱을 자동으로 다시 실행한다. 기본값은 꺼짐이다.
9. 초기화
모든 설정을 공장 초기값으로 설정한다.
○ 고객지원
1.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TV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를 실행한다. 기본값은 자동이다.
2. 디바이스 케어
TV 상태를 진단하고 최적화한다. 저장공간 사용 현황을 확인해서 정리할 수 있고 제품 사용 중 문제가 발생했을 때 진단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거나 서비스 지원을 요청할 수 있다.
3. e-설명서 보기
TV 사용과 관련된 자세한 설명이나 문제해결 방법을 본다.
4. 원격 진단
도움이 필요할 때 콜 센터에서 삼성 제품에 원격으로 연결해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어야 하고 서비스 약관에 동의해야 한다. 기본값은 꺼짐이다.
5. 고객지원 정보
고객지원을 받기 위해 필요한 제품 정보를 확인한다.
삼성전자 더 프레임 QLED 32인치 TV 주의사항
1. 무선 연결
– 와이파이는 802.11 a/b/g/n/ac를 지원하는데, 삼성전자는 802.11n를 권장한다.
– 통신 보안의 인증 모드는 WEP, WPAPSK, WPA2PSK를 지원하고 암호화 유형은 WEP, TKIP, AES를 지원하는데, 802.11n 연결 상태에서 암호화 유형을 WEP 또는 TKIP로 설정하면 Wi-Fi 인증 표준에 따라 연결이 안 된다.
– 블루투스 기기와 Wi-Fi 스피커 서라운드 설정 기능을 동시에 사용할 수 없다.
– 블루투스 기기 종류에 따라 싱크 에러, 노이즈 발생, 음 끊김 등이 발생할 수 있는데 해당 증상이 발생하면 옵티컬 단자나 HDMI(eARC) 단자를 통해 유선 연결을 해야 한다.
– 화면 공유 기능은 2.4Hz 환경에서 동작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5Hz 사용을 권장한다.
– 탭 뷰는 안드로이드 8.1 버전 이상의 모바일 기기 화면이 켜진 상태에서 더 프레임을 탭 했을 때 작동한다.
– iOS 기기는 탭 뷰를 사용할 수 없고 에어플레이를 사용해야 한다.
2. 유선 연결
– 외장 하드디스크를 연결하려면 반드시 USB(HDD 5V 1A) 전용 단자에 연결해야 한다.
– USB 기기에 8,000개 이상의 파일과 폴더가 있다면 일부 파일 및 폴더가 열리지 않을 수 있다.
– USB 기기를 두 개 이상 연결하면 일부 기기를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 USB MSC만 지원하고 USB 허브는 지원하지 않는다.
– 파일 시스템은 FAT, exFAT, NTFS를 지원한다.
3. 재생
– PC 연결 시 PC 화면의 해상도가 1920 x 1080, 60FPS가 아니라면 화면이 안 나올 수 있다.
– 재생 가능한 동영상 코덱: H.264, HEVC, MPEG4, VP9 등
– 재생 가능한 이미지: JPEG, PNG, BMP, MPO
– 재생 가능한 음악: FLAC, WMA, WAV, ACC, MPEG1 Audio Layer 3, Vorbis, midi, ape, AIFF, ALAC
– 재생 가능한 영상: H.264, HEVC, MPEG4, VP9 등
– 재생 가능한 자막: smi, srt, sub, txt, ssa, ass, ttxt, xml
4. 동작
– TV가 세워진 바닥 면의 색상에 따라 화면 밝기와 컬러 톤에 영향을 줄 수 있다.
– TV 주변이 너무 어둡거나 밝으면 화면 밝기가 제한되거나 센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 조도 센서는 TV의 왼쪽 외에 있어서 주변 물체가 센서를 막으면 화면의 밝기가 감소할 수 있다.
– 동작 온도: 10℃ ~ 40℃
– 동작 습도: 10% ~ 80%
삼성전자 더 프레임 QLED 32인치 TV 소감
1. 디자인
TV가 아닌 액자처럼 보인다. 측면의 두께도 액자처럼 얇고, TV의 후면도 군더더기 없어서 집 안 어느 곳에 배치해도 이질감이 들지 않는다. 기본 스탠드를 장착하면 TV가 뒤쪽으로 조금 뉘어진다.
2. 화질
32인치 화면에 FHD 1920 x 1080 해상도를 적용해서 화면 크기 대비 해상도가 낮은 만큼 화질이 떨어져 보이지만, Edge LED 백라이트 TFT-LCD에 퀀텀닷 필름을 추가하고 HDR을 적용해서 2006년도에 출시한 FHD TV보다는 색표현력, 명암비, 화이트밸런스가 좋다. 특히 화이트 표현이 정확하고 어두운 부분은 확실히 어둡게 보이는 점이 마음에 들었다.
3. 용도
아트모드의 작품을 재생하거나 유튜브의 고화질 풍경 영상을 재생해서 거실의 분위기를 전환했다. 일반 방송은 영상의 비트레이트가 낮아서 화질이 떨어지는데, 유튜브에서 8K나 4K 영상을 검색하면 1920 x 1080으로 재생하더라도 영상의 비트레이트가 대체로 높아서 고화질로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외부 콘텐츠를 볼 때는 HDMI나 무선 화면 공유로 노트북 화면을 미러링했다.
4. 가격
삼성전자 사이트의 공식 소비자가는 1,114,000원이고, 회원 혜택가는 990,000원이고, 2021년 10월 16일 기준 온라인 최저가는 543,000원이다. 공식 소비자가 기준에서는 절대 구매해선 안 될 제품이지만, 삼성전자의 32인치 TV 라인업 중에서 QD-LCD 패널과 HDR을 지원하는 TV는 더 프레임 TV 32인치가 유일하고 실구매가격도 다소 안정화되었기 때문에 매달 5,000원을 지불하고 아트 모드를 감상할 예정이라면 지금 가격에 구매할만하다.
사양 대비 가격이 비싸지만, 맴버쉽에 가입하고 약 1400여점의 세계적인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TV는 더 프레임 TV가 유일하다.
5. 문제점
(1) HDMI 유선 연결이 불안정하다.
2019년도에 구매한 최고 사양의 삼성전자 노트북과 더 프레임 TV 32인치를 HDMI로 연결할 때 연결이 잘 안 되는 경우가 많았다. 보유 중인 노트북은 HDMI 슬롯이 없어서 USB C 타입과 HDMI 젠더를 사용해서 TV와 연결해야 하는데, 노트북과 TV를 껐다 켜고 선을 다 뽑았다가 다시 연결해도 인식을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무선 연결도 가능하지만, HDMI 유선 연결을 해야 노트북과 TV 간에 입력장치 딜레이가 없고 영상 스트리밍도 끊김 없이 재생되기 때문에 유선 연결이 잘 안되다 보니 여간 불편한게 아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TV 설정에서 더 프레임 TV 공장초기화를 진행하고 사용자 설정을 다시 진행해야 한다.
(2) 무선 연결 시 입력장치 딜레이가 있다.
스마트폰과 더 프레임 TV 32인치를 삼성 SmartThings, 애플 에어플레이, 탭 뷰로 연결하거나 노트북과 더 프레임 TV 32인치를 무선 화면 공유로 연결하면 각 디바이스 간에 딜레이가 발생해서 화면 스크롤이나 터치 조작 시 한 박자 늦게 작동했다.
(3) 무선 연결 시 영상 재생이 끊길 때가 있다.
스마트폰과 더 프레임 TV 32인치를 삼성 SmartThings, 애플 에어플레이, 탭 뷰로 연결하거나 노트북과 더 프레임 TV 32인치를 무선 화면 공유로 연결하고 각 디바이스에서 러닝 타임이 약 2시간 정도 되는 FHD 해상도의 영화를 재생할 때 TV에서 재생되는 영상이 끊길 때가 있었다. 스트리밍 재생도 아니고 각 디바이스에 저장된 영상을 재생했는데도 영상이 끊기는 걸 봤을 때 아직까지는 TV의 무선 연결 기술력이 부족한 것으로 추정된다.
(4) 아이폰과 무선 연결이 불안정하다.
아이폰 XS MAX와 더 프레임 TV 32인치를 에어플레이로 연결할 때 TV가 아이폰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매우 많았다. 수십번을 시도해야 한번 연결될까 말까 여서 사실상 사용하기가 어려웠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TV 설정에서 더 프레임 TV 공장초기화를 진행하고 사용자 설정을 다시 진행해야 한다.
(5) 안드로이드폰과 무선 연결이 불안정하다.
삼성 갤럭시 폰과 더 프레임 TV 32인치를 탭뷰로 연결할 때 TV가 갤럭시 폰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간혹 있었다. 한 번 연결이 안 되면, 수십번을 시도해도 연결이 안 되어서 미러링을 사용할 수 없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TV 설정에서 더 프레임 TV 공장초기화를 진행하고 사용자 설정을 다시 진행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