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서 사용하는 삼성전자 터치 노트북에 USB-C 포트가 2개밖에 없어서 USB, 외장하드 등 여러 장치를 연결할 때 불편해서 리버네트워크 넥시 7in1 USB Type-C RGB 멀티스테이션 NX1201을 구매했다.
주의사항 1. 2022년 4월 5일에 리버네트워크 넥시 7in1 USB Type-C RGB 멀티스테이션 NX1201 새 제품을 67,000원에 구매했다. 2. 2022년 5월에 리버네트워크 넥시 7in1 USB Type-C RGB 멀티스테이션 NX1201 제품이 일시 품절되었다. 리버네트워크에 문의하니 일시적인 칩 수급 문제로 제품 입고가 지연되고 있다고 했는데, 제품 생산 공장이 위치한 중국 선전이 지난 2022년 3월에 코로나 19 확산으로 봉쇄 조치 되었다가 해제되는 등 갖은 문제를 겪으면서 생산에 차질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같은 공장에서 양각 디자인만 다르게 생산한 UNITEK의 제품은 출시가 대비 2달러를 높여서 여전히 판매 중인 것을 봤을 때 리버네트워크에서도 조만간에 다시 판매가 재개되지 않을까 싶다. 3. 개인적인 경험과 웹상의 정보를 종합해서 작성했기 때문에 사실과 다른 정보가 있을 수도 있다.
목차
- 리버네트워크 넥시 브랜드
- USB-C 멀티 허브 비교
- 리버네트워크 넥시 7in1 USB Type-C RGB 멀티스테이션 NX1201 제조사
- 리버네트워크 넥시 7in1 USB Type-C RGB 멀티스테이션 NX1201 사양
- 리버네트워크 넥시 7in1 USB Type-C RGB 멀티스테이션 NX1201 개봉
- 리버네트워크 넥시 7in1 USB Type-C RGB 멀티스테이션 NX1201 디자인
- 리버네트워크 넥시 7in1 USB Type-C RGB 멀티스테이션 NX1201 성능
7-1. 리버네트워크 넥시 7in1 USB Type-C RGB 멀티스테이션 NX1201 성능 테스트 컴퓨터 사양
7-2. 리버네트워크 넥시 7in1 USB Type-C RGB 멀티스테이션 NX1201 성능 테스트 방법
7-3. 리버네트워크 넥시 7in1 USB Type-C RGB 멀티스테이션 NX1201 성능 테스트 결과 - 리버네트워크 넥시 7in1 USB Type-C RGB 멀티스테이션 NX1201 소감
리버네트워크 넥시 브랜드
리버네트워크는 2002년 11월에 설립된 네트워크 및 스토리지 유통 전문 기업이다. 국내외 기업과 총판 계약을 통해 네트워크 및 스토리지 장비를 유통하며, 지난 2009년 10월에 자사 브랜드인 NEXI를 런칭했다.
연도 | 연혁 |
---|---|
2002.11 | 리버네트워크 법인 설립 |
2004.04 | SK 네트웍스 협력사 계약 |
2005.09 | EFM 네트웍스 유통 총판 계약 |
2006.07 | CBUFFALO 수입 총판 계약 |
2006.09 | CISCO SMB 파트너 계약 |
2009.08 | VOLKTEK 수입 총판 계약 |
2009.10 | NEXI 자체 브랜드 출시 |
2010.05 | ALLIED TELESIS 수입 총판 계약 |
2013.05 | Synology NAS 대리점 계약 |
2013.06 | UNITEK 수입 총판 계약 |
2014.10 | Seagate NAS 대리점 계약 |
2014.11 | QNAP 수입 총판 계약 |
2015.05 | PLANET 수입 총판 계약 |
2015.08 | DELL Networking Focused Partner 계약 |
2017.01 | 사옥 이전 확장 |
2017.02 | HPE Aruba 무선 단독 대리점 계약 |
2020.05 | Avermedia 수입 총판 계약 |
2020.09 | Aver 수입 총판 계약 |
USB-C 멀티 허브 비교
노트북의 USB-C 포트에 바로 연결할 수 있는 USB-C 플러그, 10G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하는 USB 3.2 Gen2 포트, 1G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하는 이더넷 포트, 4K 60FPS를 지원하는 HDMI 포트가 내장된 USB 허브 중에서 디자인이나 브랜드가 좋은 제품은 아래 세 가지 제품 외에 다른 선택지가 없었다. 4K 30FPS를 지원하는 제품은 많았지만, 4K 60FPS를 지원하는 제품이 거의 없다 보니 제품 선정이 쉬웠다.
브랜드 | NEXI | Microsoft | DELL |
회사명 | 리버네트워크 | Microsoft | Luxshare Precision Industry |
제조사 | SZ COMPOCEAN LIMITED | Microsoft | Luxshare Precision Industry |
제품명 | USB 멀티스테이션 | USB-C Travel Hub | USB-C Mobile Adapter |
모델명 | NX1201 | 1941 | DA310u |
국내 출시일 | 2022.01 | 2021.01 | 2021.06 |
외부 인터페이스 | USB 3.2 Gen 2 | USB 3.2 Gen 2 | USB 3.2 Gen 2 |
외부 커넥터 | USB-C | USB-C | USB-C |
케이블 길이 | 300 mm | 200 mm | 120 mm |
포트 수 | 7 in 1 | 5 in 1 | 7 in 1 |
이더넷 | 1 개 | 1 개 | 1 개 |
이더넷 속도 | 1 Gbps | 1 Gbps | 1 Gbps |
USB-C 3.2 Gen 2 | 1 개 | 1 개 | 1 개 |
USB-A 3.2 Gen 2 | 2 개 | 1 개 | 2 개 |
HDMI 2.0 | 1 개 | 1 개 | 1 개 |
DisplayPort | – | – | 1 개 |
VGA | – | 1 개 | 1 개 |
USB-PD | 1 개 | – | 1 개 |
USB-PD 충전 | 100 W, 20V, 5A | – | 90 W |
오디오 | 1 개 | – | – |
오디오 성능 | 384 kHz, 24 비트 | – | – |
마이크 | 1 개 (오디오 겸용) | – | – |
마이크 성능 | 384 kHz, 24 비트 | – | – |
호환성 | 윈도우 7 이상 맥 OS 10.8 이상 안드로이드 7.0 이상 | 윈도우 7 이상 맥 OS 10.14.1 이상 안드로이드 8.1.0 이상 | 윈도우 10 이상 맥 OS 10.15.6 이상 리눅스 8 이상 우분투 20.04 이상 구글 크롬 83 버전 이상 |
플러그 앤 플레이 | 지원 | 지원 | 지원 |
핫 스왑 | 지원 | (정보 없음) | 지원 |
RGB 라이트 | 지원 | – | – |
너비 | 126 mm | 89 mm | 69.8 mm |
높이 | 57 mm | 48 mm | 69.8 mm |
깊이 | 18 mm | 15 mm | 24.5 mm |
소재 | 알루미늄 합금 플라스틱 | (정보 없음) | (정보 없음) |
무게 | (정보 없음) | 99.2 g | 80 g |
보증 기간 | 1 년 | 1 년 | 3 년 |
해외 출시가 | – | 99.99 달러 | 124.99 달러 |
국내 출시가 | 67,000 원 | 132,000 원 | 147,100 원 |
국내 최저가 | 67,000 원 | 116,000 원 | 134,000 원 |
리버네트워크 넥시 7in1 USB Type-C RGB 멀티스테이션 NX1201은 다른 제품보다 USB-C 플러그 쪽 케이블 길이가 더 길고, 노트북 충전을 지원하고, 가격이 더 저렴해서 구매하지 않을 이유가 없었다. 다른 제품보다 크기가 크고 RGB 라이트를 끌 수 없지만, 그런 단점이 모두 잊힐만한 가격이었다.
리버네트워크 넥시 7in1 USB Type-C RGB 멀티스테이션 NX1201 제조사
리버네트워크의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에 공개된 정보에는 원산지가 중국산(리버네트워크)라고 표기되어 있고, ‘다나와’에 공개된 정보에는 제조사가 리버네트워크라고 표기되어 있는데, ‘국립전파연구원’ 사이트에서 적합성 평가 인증 번호 R-R-RN7-NX-1201를 검색하면 제조사명을 확인할 수 있다.
제품명 | 리버네트워크 넥시 7in1 USB Type-C RGB 멀티스테이션 NX1201 |
상호 | 주식회사 리버네트워크 |
기기명칭 | USB 멀티스테이션 |
모델명 | NX-U31M7-RGB |
인증번호 | R-R-RN7-NX-1201 |
제조자 | SZ COMPOCEAN LIMITED |
제조국가 | 중국 |
인증연월일 | 2021-04-26 |
웹에서 SZ COMPOCEAN LIMITED를 검색하면 아무런 정보가 검색되지 않는다. 그래서 제조자가 영문 약자라고 추정했고, SZ가 SHENZHEN의 약자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SHENZHEN은 중국어로 深圳라고 표기하며 한국어로는 ‘선전’ 또는 ‘심천’이라고 읽는다. 이후 중국 선전의 USB 허브 제조 공장을 검색했고 Tech-Top Technology Limited 사이트에서 리버네트워크 넥시 7in1 USB Type-C RGB 멀티스테이션 NX1201과 같은 제품을 발견했다.
Tech-Top Technology Limited는 2001년에 홍콩에서 설립된 컴퓨터 및 스마트폰/태블릿 액세서리 OEM/ODM 제조 기업으로 USB 케이블, USB 허브, USB 어댑터, 멀티 카드 리더기, HDD/SSD 도킹 스테이션 등을 개발하고 생산한다. 중국 선전에 영업 사무소와 제조 공장이 있는데 영업 사무소 주소는 중국 선전시 광밍신구 공밍거리 율루커뮤니티 제6공업지구 제10빌딩이고, 공장 주소는 중국 선전시 광밍신구 공밍거리 율루커뮤니티 제6공업지구 제1빌딩이다.
리버네트워크 넥시 7in1 USB Type-C RGB 멀티스테이션 NX1201는 Tech-Top Technology Limited가 2021년 1월에 공개한 게이밍 스타일의 USB-C 멀티 허브로 공장 모델명은 D1029A이다. D1029 시리즈는 슬롯 구성에 따라 D1029A, D1029C, D1029D, D1029F 총 다섯 가지로 구분되는데, 가장 범용적인 D1029A는 은 2001년에 홍콩에서 설립된 컴퓨터 및 모바일 액세서리 설계 및 제조 전문 기업인 UNITEK에서 2021년 8월에 홍콩 컴퓨터 & 커뮤니케이션 페스티벌 2021에서 실물을 공개하고, uHUB S7+라는 제품명으로 판매를 시작했다. 리버네트워크는 2013년 6월에 UNITEK과 수입 총판 계약을 체결한 만큼 UNITEK의 제품을 통해 Tech-Top Technology Limited을 알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리버네트워크 넥시 7in1 USB Type-C RGB 멀티스테이션 NX1201은 2021년 4월 25일에 전파 인증을 받았고, 2022년 1월에 출시했다. 리버네트워크 넥시 7in1 USB Type-C RGB 멀티스테이션 NX1201과 UNITEK uHUB S7+ 7-in-1 PD 100W은 제품 사양이 같고 패키지 디자인, 로고, 각 슬롯의 양각 디자인만 다르다.
일반적으로 공산품 하나를 한 회사에서 전부 기획, 개발, 생산, 판매까지 하는 건 현실적으로 어렵다 보니 회사의 요구 조건에 맞는 개발 및 생산 업체가 있다면 해당 업체와 계약해서 제품을 생산하고 자사 브랜드를 붙여서 판매한다.
브랜드 | UNITEK | 리버네트워크 |
제품명 | uHUB S7+ 7-in-1 PD 100W | USB 멀티스테이션 |
2022.04.05 | 80.99 달러 | 67,000원 |
2022.06.01 | 82.99 달러 | 일시품절 |
출시가 기준에서 80.99 달러는 환율을 1,180원이라고 가정해도 약 95,568원이고 부가세 10%를 더하면 약 105,125원이므로 리버네트워크의 제품이 UNITEK의 제품보다 38,125원이 더 저렴하다.
리버네트워크 넥시 7in1 USB Type-C RGB 멀티스테이션 NX1201 사양
○ 내부 구조

단단한 플라스틱이 내부 구조를 지탱하고 USB 허브 덮개에서 발광하는 LED 불빛을 머금어서 화려함을 더해준다. 단단한 플라스틱 우측의 금색 접점 두 개가 USB 허브 덮개의 LED 기판과 연결된다.

USB 허브 덮개에 LED 기판이 있다. LED 칩은 총 12개이다. 참고로 LED를 끌 수 있는 기능은 없다.
○ 내부 장치

1. USB 컨트롤러
(1) USB 허브 컨트롤러
리버네트워크 넥시 7in1 USB Type-C RGB 멀티스테이션 NX1201의 USB 허브 컨트롤러는 REALTEK RTS5423이다. |
2017년에 Realtek Semiconductor Corp가 REALTEK RTS5423를 개발했다. USB Type-C 컨트롤러와 USB PD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USB 3.2 Gen 2 사양의 USB 포트 4개를 지원하는데, USB Type-C 포트는 최대 2개, USB Type-A 포트는 최대 3개를 지원하고, USB 3.2 이하의 모든 USB 사양과 각 USB 사양별 절전 모드, 전력 공급을 위한 USB BC 1.2 사양, USB Type-C 1.2 사양, USB PD 3.0 사양, RT Smart Charger을 지원한다. 그리고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내장해서 USB 허브와 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하고, 3.3V 전압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LDO 레귤레이터 및 주변 구성 요소를 제어하거나 통신하기 위한 여러 가지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Tech-Top Technology Limited는 D1029A에서 USB-C 플러그 1개, USB-PD 커넥터 1개, USB-C 커넥터 1개, USB-A 커넥터 2개, HDMI 포트 1개, DisplayPort Alt 모드, AUX 1개, RJ-45 1개가 한 번에 모두 작동할 수 있도록 REALTEK RTS5423에 REALTEK RTS5441E를 추가했다.
※ USB BC 1.2(USB Battery Charging specification 1.2) 사양
2010년에 일반적인 USB의 허용 전류보다 더 많은 전류를 인가해서 USB 장치를 급속 충전할 수 있는 USB BC 1.2 기술이 공개되었다. USB 2.0은 최대 500mA 전류를 허용하고 USB 3.1은 최대 900mA 전류를 허용하는데, 외부 장치와 충전기의 USB 포트가 모두 USB BC 1.2를 지원하면 최대 1.5A 전류로 장치를 급속 충전할 수 있다.
※ USB Type-C 1.2 사양
2016년에 USB-IF(USB Implementers Forum)에서 USB Type-C 케이블 및 커넥터에 대한 1.2 버전 사양이 공개되었다.
사양 | 최대 전류 | 지원 전압 | 최대 전력 레벨 |
---|---|---|---|
USB 2.0 | 500mA | 5V | 2.5W |
USB 3.0 USB 3.1 | 900mA | 5V | 4.5W |
USB BC 1.2 | 1.5A | 5V | 7.5W |
USB Type-C 1.2 | 3A | 5V | 15W |
※ USB PD 3.0(USB Power Delivery Revision 3.0) 사양
2015년에 단일 케이블로 최대 100W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USB PD 3.0 기술이 공개되었다. 5V, 9V, 15V, 20V의 전압과 USB Type-C 케이블을 통해 최대 5A의 전류를 지원하며, USB-PD에 연결된 장치에서 요구하는 전압이 5V, 9V, 15V, 20V에 속하지 않으면 전원 규칙에 맞춰서 더 낮은 표준 전압을 제공한다.
그리고 FRS(Fast Role Swap)를 지원해서 외장 배터리로 USB 허브에 전력을 공급 중일 때 USB-PD 커넥터에 외부 전원을 연결하면 150마이크로초 이내에 USB 허브가 외장 배터리가 아닌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서 반대로 외장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고, PPS(Programmable Power Supply)를 지원해서 USB 허브에 연결된 전자기기를 충전할 때 고정 전류를 유지하면서 전압을 점진적으로 높인 후 전자기기의 충전량에 맞춰 다시 고정 전압을 유지하면서 전류를 점진적으로 감소시켜서 충전 속도를 높이고 충전 중에 발생하는 전력 손실을 줄인다.
그리고 높은 전력으로 인한 장치 손상이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USB 허브에 전원을 인가하면 기본적으로 5V가 인가되고, USB 케이블이 USB PD를 지원하는지 체크한 후 USB 케이블이 인증되면 전원 규칙에 맞춰 전압을 적정 수준까지 높인다. 만약에 USB 케이블이 인증되지 않거나 인증되었더라도 장치가 화이트리스트에 없다면 5V 전압에서 최대 500mA 전류만 인가된다.
그리고 USB 케이블이 USB PD와 호환되고 장치가 제대로 작동하더라도 케이블 및 커넥터의 결함으로 장치가 손상되거나 과열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과전압 보호(Over Voltage Protection, OVP), 과전류 보호(Over Current Protection, OCP), 과열 보호(Over Temperature Protection, OTP)를 지원해서 과도한 전압이나 전류가 감지되거나 장치 온도가 안전 작동 온도를 초과하면 즉시 전력을 차단한다.
버전 | 출시연도 | 지원 전압 | 최대 전력 레벨 |
---|---|---|---|
USB PD 1.0 | 2012 | 5V, 12V, 20V | 100W |
USB PD 2.0 | 2014 | 5V, 9V, 15V, 20V | 100W |
USB PD 3.0 | 2015 | 5V, 9V, 15V, 20V | 100W |
USB PD 3.1 | 2021 | 5V, 9V, 15V, 20V, 28V, 36V, 49V | 240W |
(2) USB Type-C PD 컨트롤러
리버네트워크 넥시 7in1 USB Type-C RGB 멀티스테이션 NX1201의 USB 전력 공급 컨트롤러는 REALTEK RTS5441E이다. |
Realtek Semiconductor Corp가 REALTEK RTS5441E를 개발했다. USB Type-C 케이블의 방향과 연결된 장치의 전류 모드를 감지하고, 전압을 모니터링하고, 최대 300mA의 과전류를 방지한다. 그리고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내장해서 USB 허브와 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하고, 3.3V 전압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LDO 레귤레이터를 지원한다.
2. 직렬 NOR 플래시 메모리
리버네트워크 넥시 7in1 USB Type-C RGB 멀티스테이션 NX1201의 직렬 NOR 플래시 메모리는 PUY P25Q40H 2개와 BoyaMicro 25D16ASSIG 1개이다. |
직렬 NOR 플래시 메모리에서 ‘직렬’은 직렬 주변기기 인터페이스(SPI, Serial Peripheral Interface)를 의미하며 1979년에 모토로라가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 간에 한 번에 하나의 비트 단위의 데이터를 양방향으로 주고 받을 수 있도록 개발한 통신 프로토콜이다. 1983년에 최초의 SPI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출시된 이후 임베이드 시스템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프로토콜로 자리잡았고, NOR과 NAND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NOR 플래시 메모리’은 1980년에 도시바의 마스오카 후지오(Fujio Masuoka, 舛岡 富士雄)가 EEPROM을 기반으로 개발한 전원을 꺼도 데이터가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이다. NOR은 전기 회로의 구성 요소들로 만든 논리 게이트의 한 종류로 1987년에 마스오카 후지오가 개발한 NAND와 비교했을 때 가격이 높고, 집적도가 낮고, 데이터 기록 속도가 훨씬 느리고, 데이터 읽기 속도가 더 빨라서 일반적으로 임베이드 시스템에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리버네트워크 넥시 7in1 USB Type-C RGB 멀티스테이션 NX1201에 장착된 직렬 NOR 플래시 메모리에는 각 컨트롤러의 작동 코드 및 펌웨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직렬 주변기기 인터페이스로 각 컨트롤러와 통신한다.
(1) PUY P25Q40H
2018년에 Puya Semiconductor가 초저전력 4Mbits 멀티 I/O 플래시 메모리인 PUY P25Q40H를 개발했다. 2.3V ~ 3.6V의 넓은 공급 전압 범위에서 프로그램 읽기, 삭제, 쓰기 작업을 지원하며, 작동 온도는 -40℃ ~ +85℃이고, 작동 수명은 100,000회이고, 데이터 보존 기간은 최대 20년이다.
(2) BoyaMicro 25D16ASSIG
2018년에 Zhuhai Boya Technology가 16Mbits 멀티 I/O 플래시 메모리인 BoyaMicro 25D16ASSIG를 개발했다. 2.7V ~ 3.6V의 넓은 공급 전압 범위에서 프로그램 읽기, 삭제, 쓰기 작업을 지원하며, 작동 온도는 -40℃ ~ +85℃이고, 작동 수명은 100,000회이고, 데이터 보존 기간은 최대 20년이다.
3. 네트워크
리버네트워크 넥시 7in1 USB Type-C RGB 멀티스테이션 NX1201는 IEEE 802.3 표준을 준수하고, 10/100/1000 Mbps와 호환되고, IPv4/IPv6, COE, Wake-On-Lan, 전이중 및 반이중, 이더넷 흐름 제어를 지원한다.
(1) 레지스터드 잭
리버네트워크 넥시 7in1 USB Type-C RGB 멀티스테이션 NX1201의 레지스터드 잭은 RJ45이다. |
1973년에 벨 전화 연구소(Bell Telephone Laboratories)에서 미국 전기 엔지니어링 및 제조 회사인 웨스턴 일렉트릭(Western Electric Company)이 생산하는 트림라인 전화기(Trimline telephone)의 리버전에 적용할 모듈식 커넥터를 개발했고, 1976년에 벨 전화 연구소(Bell Telephone Laboratories)에서 미국 연방 통신 위원회(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FCC)가 의무화한 고객 제공 전화 장비 등록 프로그램을 준수하기 위해 가정 및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장비를 대규모의 공용 네트워크에 연결할 때 통신 서비스 및 장비를 식별하기 위해 레지스터드 잭(Registered Jack)을 정의하면서 지난 1973년에 개발했던 모듈식 커넥터를 RJ11이라고 명명했다. 레지스터드 잭은 배선 구성을 지정하는 범용 서비스 주문 코드(Universal Service Ordering Code, USOC) 시스템에 따라 종류가 다양한데 가장 일반적으로 알려진 레지스터드 잭은 전화선으로 알려진 RJ11과 랜선으로 알려진 RJ45이다.
RJ45는 전화 통신 커넥터로 개발되었으나 미국 전기전자공학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가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표준을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1990년에 고속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비차폐 연선 케이블(Unshielded Twisted Pair Cable, UTP Cable)과 RJ45 플러그를 사용하는 IEEE 802.3i 표준을 발표했다. IEEE 802.3i 표준이 정의한 10BASE-T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은 케이블 내부에 8개의 와이어가 꼬여있는 형태로 8개의 핀이 있는 RJ45 플러그를 사용한다.
비차폐 연선 케이블은 데이터 전송 대역폭에 따라 카테고리로 분류하는데, 10Mbps를 지원하는 카테고리3, 16Mbps를 지원하는 카테고리4, 100Mbps를 지원하는 카테고리5, 1000Mbps를 지원하는 카테고리6, 10000Mbps를 지원하는 카테고리7, 40000Mbps를 지원하는 카테고리8까지 RJ45를 사용한다.
(2) LAN 네트워크 변압기
리버네트워크 넥시 7in1 USB Type-C RGB 멀티스테이션 NX1201의 LAN 네트워크 변압기는 DGKYD KG2401PR이다. |
LAN 네트워크 변압기(LAN Network Transformer, LAN Pulse Transformer, Ethernet Pulse Transformer)는 RJ45 커넥터와 하드웨어의 송수신 기능을 구현하는 PHY 트랜시버(Physical Layer Transceiver) 칩 사이에서 펄스 신호를 빠르고 안정적으로 전달하는 자기 모듈이다.
DGKYD(Donguan Keyouda Electronic Technology Co.,LTD.)에서 개발한 DGKYD KG2401PR은 IEEE 802.3 사양을 준수하고, 펄스 변압기와 공통 모드 초크 그룹이 총 네 개로 구성되어 있고, 0 ~ 85℃ 사이에서 작동하고, 25℃에서 전기적 특성이 가장 좋고, 24핀 SMD 커넥터로 기판과 연결된다.
(3) 이더넷 컨트롤러
리버네트워크 넥시 7in1 USB Type-C RGB 멀티스테이션 NX1201의 이더넷 컨트롤러는 REALTEK RTL8153B이다. |
2013년에 Realtek Semiconductor Corp가 REALTEK RTL8153B를 개발했다. IEEE 802 LAN/MAN 표준에서 데이터 패킷 전송의 흐름을 제어하는 MAC(Media Access Controller)와 다른 장치 간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USB 3.0 인터페이스 컨트롤러가 통합되어 있고,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IEEE 802.3az EEE(Energy Efficient Ethernet),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으로 컴퓨터를 켜고 끌 수 있는 WOL(Wake-On-LAN)을 지원하고, 내장 메모리가 있어서 외부 플래시 메모리가 필요 없다.
4. 디스플레이
리버네트워크 넥시 7in1 USB Type-C RGB 멀티스테이션 NX1201는 삼성 덱스모드, 스마트폰 미러링 모드, 닌텐도 스위치 호환, 맥북/노트북의 화면 복제, 화면 확장, 화면 변환을 지원한다.
(1)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리버네트워크 넥시 7in1 USB Type-C RGB 멀티스테이션 NX1201의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는 HDMI 2.0이다. |
2002년에 Hitachi, Panasonic, Philips, Silicon Image, Thomson, Toshiba가 하나의 커넥터로 오디오 및 비디오를 전송할 수 있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을 개발했다.
출시연도 | 버전 | 추가 기능 |
---|---|---|
2002 | HDMI 1.0 | DVI 역호환, 1920 x 1080 해상도 (60Hz), 4.95 Gbit/s 전송 속도, 돌비 디지털, DTS, 7.1채널 비압축 PCM 오디오 |
2004 | HDMI 1.1 | DVD 오디오 |
2005 | HDMI 1.2 | 2560 x 1440 (30Hz), 1280 x 720 해상도 (120Hz), 리모컨으로 HDMI 연결 장치를 제어하는 HDMI-CEC, 광디스크 슈퍼 오디오 CD |
2006 | HDMI 1.3 | 2560 x 1440 (60Hz), 1920 x 1080 (120Hz), 10.2 Gbit/s 전송 속도, sRGB, xvYCC 색공간, 돌비 디지털 플러스, 돌비 트루HD, DTS-HD 마스터 오디오 스트림, HDCP 1.2 |
2009 | HDMI 1.4 | 4096 x 2160 (24Hz), 3840 x 2160 (30Hz), 2560 x 1440 (75Hz), 1920 x 1080 (144Hz), SYCC 601, 어도비 YCC601, 어도비 RGB 색공간, HDMI 선 하나만으로 외부 장치에 영상 데이터뿐만 아니라 오디오 데이터도 양방향으로 전송할 수 있는 HDMI ARC(Audio Return Channel), HDCP 1.4 |
2013 | HDMI 2.0 | 3840 x 2160 (60Hz), 2560 x 1440 (144Hz), 1920 x 1080 (240Hz), 18 Gbit/s 전송 속도, 21:9 화면비, ITU-R BT.2020 색공간, 비디오 및 오디오 스트림의 동적 동기화, 32채널 비압축 오디오, 돌비 아트모스, Auro 3D 오디오, HE-AAC(고효율 고급 오디오 코딩), HDCP 2.2 |
2015 | HDMI 2.0a | HDR(High Dynamic Range) |
2016 | HDMI 2.0b | HLG(Hybrid Log-Gamma) |
2017 | HDMI 2.1 | 10240 x 4320 (120Hz), 7680 x 4320 (120Hz), 3840 x 2160 (120Hz), 2560 x 1440 (240Hz), 48 Gbit/s 전송 속도, HDR 10+, 가변 재생율(Variable Refresh Rate, VRR), 자동 저지연 모드 (Auto Low Latency Mode, ALLM), 콘텐츠가 표시되기 전에 빈화면이 표시되는 지연을 제거하는 QMS(Quick Media Switching), HDMI eARC, HDCP 2.3 |
리버네트워크 넥시 7in1 USB Type-C RGB 멀티스테이션 NX1201의 HDMI 2.0b는 3840 x 2160 (60Hz), 2560 x 1440 (144Hz), 1920 x 1080 (240Hz)을 지원한다.
(2) 디스플레이 프로토콜 변환기
리버네트워크 넥시 7in1 USB Type-C RGB 멀티스테이션 NX1201의 디스플레이 프로토콜 변화기는 Parade PS 186이다. |
2018년에 Parade Technologies, Ltd.가 Parade PS 186을 개발했다. DisplayPort 1.4a에 입력된 4K HDR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를 HDMI 2.0b로 출력하고, USB-C Alt-Mode를 통해 USB-C로 DisplayPort 비디오 인터페이스와 Thunderbolt 3을 지원한다. 그리고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외부의 직렬 NOR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 마이크로 코드를 읽어서 시스템과 Alt-Mode를 제어하고, DSC(Display Stream Compression) 및 HBR3(High Bit Rate 3)로 압축된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수용하고, HDCP 1.4 및 HDCP 2.3을 지원한다.
※ USB-C Alt 모드
USB-C 커넥터로 DisplayPort 또는 Thunderbolt 3처럼 USB가 아닌 다른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서 USB 허브, 컴퓨터나 스마트폰, 모니터에서 모두 USB-C Alt 모드를 지원하면, USB 허브의 USB-C 플러그를 컴퓨터나 스마트폰에 연결하고 USB 허브와 모니터를 HDMI 2.0 케이블로 연결해서 컴퓨터나 스마트폰에서 재생되는 4K HDR 영상을 모니터로 출력할 수 있다.
USB-C Alt 모드를 지원한다고 해서 DisplayPort 인터페이스와 Thunderbolt 3 인터페이스를 모두 지원하는 건 아니지만, 리버네트워크 넥시 7in1 USB Type-C RGB 멀티스테이션 NX1201는 USB-C Alt 모드를 통해 DisplayPort 및 Thunderbolt 3 인터페이스를 모두 지원한다.
5. 오디오 컨트롤러
리버네트워크 넥시 7in1 USB Type-C RGB 멀티스테이션 NX1201의 오디오 컨트롤러는 REALTEK ALC4042이다. |
2017년에 Realtek Semiconductor Corp가 REALTEK ALC4042를 개발했다. 3.5mm 4극 오디오 출력 및 마이크 입력을 지원하고,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회로(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1개가 샘플링 레이트 384,000 Hz, 32비트를 지원하고,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Analog-Digital Converter, ADC) 2개가 샘플링 레이트 384,000 Hz, 32비트를 지원하고, 헤드폰 출력용 Class-G 증폭기, 7-밴드 하드웨어 재생 EQ, 6-밴드 하드웨어 녹음 EQ를 지원한다. 그리고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내장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 마이크로 코드를 읽어서 시스템을 제어한다. 다만 리버네트워크 넥시 7in1 USB Type-C RGB 멀티스테이션 NX1201는 DAC, ADC 모두 비트 심도를 32비트가 아닌 24비트까지만 지원한다.
리버네트워크 넥시 7in1 USB Type-C RGB 멀티스테이션 NX1201 개봉
○ 포장 박스 디자인

포장 박스 아래쪽에 밀봉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지만, 포장 박스 위쪽은 그냥 열 수 있어서 소비자가 제품을 받았을 때 공장에서 출고된 새 제품인지, 한 번 이상 출고되었다가 반품된 제품인지, 중고인지 알 수 없다.
박스 뒷면에는 RoHS 마크, CE 마크, FCC 마크가 표기되어 있다. RoHS 마크(Restriction of Hazardous Substances Directive Mark)는 유럽 연합에서 전기 및 전자 장비의 특정 유해 물질 사용 제한 지침이다. 납(Pb), 수은(Hg), 카드뮴(Cd), 6가 크롬, 폴리브롬화 비페닐(PBB), 폴리브롬화 디페닐 에테르(PBDE), 비스프탈레이트(DEHP), 부틸 벤질 프탈레이트(BBP), 디부틸프탈레이트(DBP), 디소부틸프탈레이트(DIBP) 총 10가지 유해 물질의 함유량이 기준치 이하일 때 RoHS 마크를 받을 수 있다.
CE 마크(Conformity European Mark)은 제조업체 또는 수입자가 유럽 연합 법률을 준수하고 유럽 경제 지역(EEA)의 어느 곳에서나 판매할 수 있을 나타내는 인증으로 제품에 맞는 적합성 인증 평가를 통과해야 CE 마크를 받을 수 있다.
FCC 마크(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Mark)는 미국에서 제조 또는 판매되는 전자 제품의 전자파 방사가 연방 통신 위원회에서 지정한 요구 조건을 충족했다는 인증으로 제품에 맞는 적합성 인증 평가를 통과해야 FCC 마크를 받을 수 있다.
○ 구성품

USB 허브 본체, 플라스틱 보호 커버, 설명서가 있다. 설명서에는 제품 소개, 품질 표시 사항, 주요 기능, 구성품 안내, 포트 구성 및 기능, 자주 묻는 질문, A/S 서비스 규정, A/S 신청 접수처가 표기되어 있다.
무상 보증 기간 | 1 년 |
A/S 신청 | 이메일 접수 또는 전화 상담 |
A/S 이메일 | gokeeper@goriver.co.kr |
A/S 전화 상담 | 070-7727-6543 |
업무 시간 | 평일 10:00 ~ 17:00 |
점심 시간 | 평일 12:30 ~ 13:00 |
A/S 주소 | 서울시 용산구 원효로 68-5 리버네트워크 3층 A/S담당자 |
A/S 택배사 | 우체국 택배 |
리버네트워크 넥시 7in1 USB Type-C RGB 멀티스테이션 NX1201 디자인

시계 방향으로 RJ-45, USB-A 3.2 Gen2, HDMI 2.0, AUX 4극, USB-C 3.2 Gen2 플러그, USB-C PD, USB-C 3.2 Gen2, USB-A 3.2 Gen2이다.

오디오 포트는 4극 단자를 지원하므로 스피커와 마이크 모두 사용할 수 있고, HDMI 2.0 포트는 DisplayPort Alt 모드를 지원하는 장치와 연결 시 3840 x 2160 (60Hz), 2560 x 1440 (144Hz), 1920 x 1080 (240Hz)를 지원하고, USB-A 포트는 USB 3.2 Gen2 10Gbps를 지원한다.

USB-A 포트와 USB-C 포트는 USB 3.2 Gen2 10Gbps를 지원하고, USB-PD 포트는 100W, 5V, 20A 충전을 지원한다.

KC 마크가 표기되어 있다. KC 마크(Korea Certification Mark)는 한국에서 판매되는 제품이 특정한 요구 조건을 충족했다는 인증으로 제품에 맞는 적합성 인증 평가를 통과해야 KC 마크를 받을 수 있다. 과거에는 정부 부처별로 13개의 법정 인증 마크가 있었는데 인증이 번거롭고, 국제 신뢰도가 낮다 보니 2009년에 KC 마크로 통합했다.

USB 허브 본체에 고정된 USB-C 플러그는 USB 3.2 Gen2 10Gbps를 지원한다.

RJ-45 LAN은 1Gbps를 지원한다.






USB-C 케이블은 사용자가 힘을 줘서 어느정도 구부려서 사용할 수 있다.
리버네트워크 넥시 7in1 USB Type-C RGB 멀티스테이션 NX1201 성능
○ 성능 테스트 컴퓨터 사양
CPU | AMD 3900X (BIOS PBO ON) |
CPU 쿨러 | NZXT KRAKEN X63 |
메인보드 | MSI X570 MEG ACE |
메인보드 BIOS | 7C35v1E (2021.05.17) |
RAM | 삼성전자 3200MHz 16GB x 2 |
RAM 방열판 | 리드쿨 RH-1 EVO ARGB |
RAM 쿨러 | GEIL CYCLONE 3 Cooler |
RAM 오버클럭 | 3,600MHz 18-22-22-22-48-2T 1.33V (실제 1.356V 또는 1.360V) |
VGA | INNO3D RTX 3070 iChiLL X4 |
VGA BIOS | 94.04.25.80.3E |
VGA 오버클럭 | 부스트 클록 1,885MHz 메모리 클록15,130 MHz 전력 제한 해제 108% |
NVIDIA Driver | 512.15 |
M.2 SSD | 삼성전자 970 PRO M.2 512GB |
M.2 SSD 방열판 | 스팀팩 T1000 MEDIC PRO |
SSD | Micron 5100 960GB |
SSD | 삼성전자 830 128GB |
HDD | WD WD10EALX 1TB |
파워 | Seasonic PRIME Ultra GOLD SSR-850GD Full Modular |
케이스 | NZXT H700i |
모니터 | LG 32GK850F |
운영체제 | Windows 10 (Bulid 19041.630) |
전원 관리 옵션 | AMD Ryzen High Performance |
시작 프로그램 | – ESET Internet Security – SAMSUNG Magician – Creative Sound Blaster – NVIDIA 설정 – MSI DRAGON CENTER – INNO3D TuneIT – NEXT CAM – Windows 보안 |
○ 성능 테스트 방법
1. 주의사항
– 아무런 변인을 통제하지 않고 시작 프로그램이 모두 켜져 있는 상태에서 테스트했다.
– 데이터 파일 전송 속도에 오차가 있다. 데이터 전송창의 데이터 전송률이 50% ~ 90% 사이일 때 최대 속도와 최소 속도를 눈으로 체크했다.
– 데이터 파일 전송 시간에 오차가 있다. 데이터 파일을 드래그해서 놓는 순간에 스마트폰 타이머의 시작 버튼을 눌렸고, 데이터 전송 창이 꺼진 순간에 스마트폰 타이머의 멈춤 버튼을 눌렸다.
– 데이터 전송을 시도할 때마다 캐시를 삭제하기 위해 전체 시스템을 재시작 했다.
2. 포트 연결
– AMD 3900X 프로세서에서 지원하는 USB 3.2 Gen 2 Type-A 포트에 USB 3.0을 연결해서 속도 체크
– AMD 3900X 프로세서에서 지원하는 USB 3.2 Gen 2 Type-C 포트에 NX1201 USB 3.2 Gen 2 Type-C 플러그를 연결하고, NX1201 USB 3.2 Gen 2 Type-A 포트에 USB 3.0을 연결해서 속도 체크
– AMD 3900X 프로세서에서 지원하는 USB 3.2 Gen 2 Type-C 포트에 외장 SSD를 연결해서 속도 체크
– AMD 3900X 프로세서에서 지원하는 USB 3.2 Gen 2 Type-C 포트에 NX1201 USB 3.2 Gen 2 Type-C 플러그를 연결하고, NX1201 USB 3.2 Gen 2 Type-C 포트에 외장 SSD를 연결해서 속도 체크
3. 전송 데이터
구분 | 내용 |
---|---|
전체 용량 | 9.71 GB |
전체 폴더 수 | 5 개 |
전체 파일 수 | 65 개 |
ZIP 데이터 | 2 개, 9.32 GB |
JPEG 데이터 | 63개, 300MB |
4. 전송 장치
– USB: Lexar 64GB USB 3.0 (사용 기간: 약 7년)
– 외장 SS: 샌디스크 익스트림 포터블 SSD V2 E61 1TB 외장 SSD (사용 기간: 약 1년)
5. 전송 데이터 저장 위치
– C드라이브: 삼성전자 970 PRO M.2 512GB
– C드라이브 연결 포트: AMD Processor Supports PCIe 4.0 x4 (not AMD X570 Chipset)
– 데이터 경로: C드라이브 – data 폴더 – 전송할 데이터
○ 성능 테스트 결과
1. USB 3.0 데이터 전송 속도
(1) USB 허브 미사용
– 데스크톱 & USB 연결: AMD 3900X 칩에서 지원하는 USB 3.2 Gen2 Type-A 포트에 USB 연결
– 측정: 데이터 전송 타임라인 50% ~ 90% 사이에서 최대 속도와 최소 속도 체크
회차 | 시간 | 최고 속도 | 최저 속도 |
---|---|---|---|
1차 | 03:45:77 | 44.2 MB/s | 43.3 MB/s |
2차 | 03:45:85 | 44.2 MB/s | 43.4 MB/s |
3차 | 03:46:14 | 44.2 MB/s | 43.2 MB/s |
(2) USB 허브 사용
– 데스크톱 & USB 허브 연결: AMD 3900X 칩에서 지원하는 USB 3.2 Gen2 Type-C 포트에 USB 허브 연결
– USB 허브 & USB 연결: USB 허브의 USB 3.2 Gen2 Type-A 포트에 USB 연결
– 측정: 데이터 전송 타임라인 50% ~ 90% 사이에서 최대 속도와 최소 속도 체크
회차 | 시간 | 최고 속도 | 최저 속도 |
---|---|---|---|
1차 | 03:45:96 | 44.0 MB/s | 43.6 MB/s |
2차 | 03:46:02 | 44.2 MB/s | 43.3 MB/s |
3차 | 03:45:80 | 44.2 MB/s | 43.6 MB/s |
2. USB 3.2 Gen2 데이터 전송 속도
(1) USB 허브 미사용
– 데스크톱 & 샌디스크 외장 SSD 연결: AMD 3900X 칩에서 지원하는 USB 3.2 Gen2 Type-C 포트에 샌디스크 외장 SSD 연결
– 측정: 데이터 전송 타임라인 50% ~ 90% 사이에서 최대 속도와 최소 속도 체크
회차 | 시간 | 최고 속도 | 최저 속도 |
---|---|---|---|
1차 | 00:12:35 | 854 MB/s | 823 MB/s |
2차 | 00:12:14 | 859 MB/s | 842 MB/s |
3차 | 00:12:06 | 856 MB/s | 848 MB/s |
(2) USB 허브 사용
– 데스크톱 & USB 허브 연결: AMD 3900X 칩에서 지원하는 USB 3.2 Gen2 Type-C 포트에 USB 허브 연결
– USB 허브 & 샌디스크 외장 SSD 연결: USB 허브의 USB 3.2 Gen2 Type-C 포트에 샌디스크 외장 SSD 연결
– 측정: 데이터 전송 타임라인 50% ~ 90% 사이에서 최대 속도와 최소 속도 체크
회차 | 시간 | 최고 속도 | 최저 속도 |
---|---|---|---|
1차 | 00:13:08 | 823 MB/s | 814 MB/s |
2차 | 00:13:10 | 822 MB/s | 812 MB/s |
3차 | 00:13:18 | 834 MB/s | 816 MB/s |
○ 성능 테스트 결과 요약

– USB 3.0으로 데이터 전송 속도 테스트 시 USB 허브의 사용 유무에 따라 데이터 전송 속도 차이가 없었다.

– 외장 SSD로 데이터 전송 속도 테스트 시 USB 허브의 사용 유무에 따라 데이터 전송 속도 차이가 있었다.
– USB 허브에 연결한 저장 매체의 개수에 따라 데이터 전송 속도 차이가 없었다. AMD 3900X 칩에서 지원하는 USB 3.2 Gen2 Type-C 커넥터에 USB 허브를 연결하고, USB 허브에 다른 전원을 인가하지 않고 USB-C 커넥터 2개와 USB-A 커넥터 2개에 저장매체를 연결했을 때 한 저장매체의 연결이 간헐적으로 끊길 정도로 전력이 부족했지만, 데이터 전송 속도는 저장매체를 1개만 연결했을 때와 같았다.
리버네트워크 넥시 7in1 USB Type-C RGB 멀티스테이션 NX1201 소감
○ 영상
USB 허브의 USB-C 플러그를 컴퓨터/노트북/스마트폰에 연결하는 즉시 LED가 켜진다. 설명서에 따르면 12개의 컬러 모드가 3초 간격으로 전환되는데, 위 영상은 짧은 시간 동안 LED 컬러 모드를 전부 보여주기 위해 수 초 간격으로 1배속, 3배속, 6배속으로 재생된다.
○ 이미지

집에 있는 업무용 컴퓨터 책상에 리버네트워크 넥시 7in1 USB Type-C RGB 멀티스테이션 NX1201를 셋팅했다.

LED 불빛이 화려하다.

실제 사용할 때는 자리 배치상 위 사진처럼 USB 허브를 뒤집고, 노트북 전원 케이블을 USB 허브의 USB-PD 포트에 장착해서 사용하고 있다.
○ 사용 후기
크기는 2.5인치 외장 HDD와 비슷한 수준으로 3.5인치 외장 HDD보다는 작고, 외장 SSD보다는 크다. NX1201는 USB 3.2 Gen2 플러그 케이블의 길이가 긴 장점이 있지만, 케이블 길이만큼의 공간을 추가로 차지할 수밖에 없고 NX1201에 케이블을 연결하면 최소한 케이블 커넥터만큼은 공간을 더 차지하므로 NX1201를 배치할 공간을 생각할 필요가 있다. 다자인은 개인 취향이지만, 컴퓨터 하드웨어 덕후라면 좋아할 만한 스타일이고 제품 마감 상태가 깔끔해서 손으로 잡았을 때 만듦새가 괜찮게 느껴진다.
NX1201의 모든 포트를 한 번에 다 연결해서 사용해 보지는 않았지만, USB-C 포트 2개와 USB-A 포트 2개에 외장 SSD/HDD를 연결해보니 NX1201의 USB 3.2 Gen2 플러그를 통해 공급하는 전력만으로 모든 장치를 100% 작동하는 건 무리였다. 먼저 NX1201을 AMD 3900X 칩에서 지원하는 USB 3.2 Gen2 Type-C 포트에 연결하고, NX1201의 USB 포트 4개에 외장 SSD/HDD를 연결했을 때 데스크톱이 정상적으로 부팅되지 않았다. NX1201의 USB 포트에서 외장 SSD/HDD 연결을 해제하고 정상 부팅 완료 후 NX1201의 USB 포트 4개에 외장 SSD/HDD를 연결했을 때도 간헐적으로 4개 중 1개 제품의 연결이 끊겼다. 외장 SSD/HDD 4개를 모두 인식할 때도 있었지만, 그중 하나를 인식하지 못할 때도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NX1201의 USB-PD 포트에 외부 전원을 인가해야 하는데, 충전기를 사용하는 노트북 사용자가 아니라면 사실상 문제를 해결하기가 쉽지 않다. 데스크톱 사용자도 NX1201에 스마트폰 충전기 등으로 외부 전원을 인가하면 되지만, 데스크톱 케이스의 크기, 위치, 발열 및 스마트폰 충전기의 선 길이 등에 따라 사용하기가 굉장히 번거로울 수 있다.
데이터 전송 속도는 USB 3.2 Gen2 장치 간에 NX1201를 사용했을 때 약간의 속도 저하가 있었지만, 약 9.7GB의 데이터를 옮길 때 채 1초도 안 되는 시간만 늘어났을 뿐이다. 만약에 수십 기가바이트의 데이터를 옮긴다면 데이터 전송 시간이 조금 더 길어지겠지만, 영화 속 주인공처럼 초를 다투는 사람이 아니라면 무의미하다.
디자인, 마감, 데이터 전송 속도, 가격 모두 마음에 든다. 다만 제품 상세페이지에 USB 3.2 Gen2를 USB 3.1 Gen2로 잘못 표기했고, 제품 재질을 알루미늄 합금과 플라스틱이 아닌 플라스틱으로만 표기했고, 맥 OS 호환성에 관해 제품 상세페이지와 설명서 간에 최소 지원 버전이 다르게 표기된 점은 아쉽다.
이런 리뷰 엄청나네요………………
리뷰 읽기만 하지 웬만해서 댓글 안다는데….
너무 정성스럽게 적었고
저또한 정독해서 글 남깁니다
최고세요
잘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지금도 위 제품을 USB-PD 포트에 외부 전원을 인가해서 노트북에 사용 중인데, 사용하다 보니 외장하드와 USB를 3개 이상 연결할 때부터 연결이 원활하지 않을 때가 있고 슬롯 개수도 조금 부족한거 같아 더 좋은 제품을 알아보는 중인데 가격대가 만만치가 않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