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사체를 따라 움직이면서 영상을 촬영할 때 흔들림 없는 자연스러운 장면을 연출하고자 페이유 AK2000S 미러리스 카메라 3축 짐벌을 구매했다.
주의사항 1. 짐벌 후보군은 2019년 이후에 출시한 제품 중에서 제조사 별로 두 개를 선정했다. 2. 각 제조사에서 공개한 짐벌의 정보가 제한적이었고 일부 짐벌은 한국 총판 사이트의 소개와 공식 사이트의 소개가 달라서 올바른 정보를 얻기가 어려웠다. 3. 짐벌은 사용 목적, 기계적 성능, 인터페이스, 편의성, 추가 구성품 중 어디에 우선순위를 두는 가에 따라 제품 선택이 달라질 수 있어서 다수의 사람이 선호하는 제품이 있지만, 절대적이지는 않다. 4. 짐벌은 2020년 12월 29일에 구매했고 3개월간 사용하고 리뷰를 작성했다. 5. 개인적인 경험과 웹상의 정보를 종합해서 작성했기 때문에 사실과 다른 정보가 있을 수도 있다.
목차
- 미러리스 카메라 3축 짐벌 구매 목적
- 미러리스 카메라 3축 짐벌 비교
- 미러리스 카메라 3축 짐벌 비교 요약
- 페이유 AK2000S 짐벌 구매 이유
- 페이유 AK2000S 짐벌 사양
- 페이유 AK2000S 짐벌 사용 후기
미러리스 카메라 3축 짐벌 구매 목적
카메라를 손으로 들고 영상을 촬영하니 영상의 흔들림이 커서 편집할 맛이 나지 않았다. 렌즈나 카메라의 손떨림 보정 기능을 켜고 촬영해도 영상의 잔떨림이 거슬렸고 소프트웨어로 흔들림을 보정해도 보정된 결과물이 부자연스러워서 써먹을 수가 없었다. 그래서 짐벌을 구매하고자 오프라인 매장에서 짐벌을 들어봤는데 너무 무거워서 구매를 포기했었다. 이후 수년에 걸쳐서 풀프레임 미러리스가 대중화되고 동시에 유튜브가 주목받으면서 영상 촬영 장비 업계가 호황을 맞이했고 가벼운 짐벌들이 쏟아지기 시작했다. 토미집도 짐벌 무게 때문에 더 이상 좋은 촬영 기회를 놓칠 수 없어서 최근에 출시한 짐벌 중에서 가볍고 저렴한 짐벌을 구매하고자 했다.
미러리스 카메라 3축 짐벌 비교
○ 짐벌 무게 비교
제품명 | 재질 | 무게(g) | 무게 요소 |
---|---|---|---|
DJI RSC 2 | 알루미늄 합금 | 1,216 | 짐벌 기본 그립 배터리 |
DJI RS 2 |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리스 스틸 탄소 섬유 | 1,337 | 짐벌 기본 그립 배터리 |
지윤텍 크레인 2S | 알루미늄 합금 | 1,880 | 짐벌 |
지윤텍 위빌 S | 알루미늄 합금 | 895 | 짐벌 |
페이유 AK2000C | 알루미늄 합금 나무 | 1,078 | 짐벌 배터리 |
페이유 AK2000S | 알루미늄 합금 나무 | 1,100 | 짐벌 배터리 |
○ 짐벌 최대 탑재 하중
1.사용자 장비 무게
제품명 | 무게(g) | 총 무게(g) |
---|---|---|
소니 A7 Mark III | 650 | – |
바티스 25mm F2 | 335 | 1,025 |
소니 55mm F1.8 | 281 | 971 |
소니 90mm F2.8 | 602 | 1,252 |
소니 A7M3 카메라와 각 렌즈의 무게를 합쳐서 총 무게로 표기했다.
2. 짐벌 최대 탑재 하중
제품명 | 최대하중(g) | 2/3 | 1/2 |
---|---|---|---|
DJI RSC 2 | 3,000 | 2,000 | 1,500 |
DJI RS 2 | 4,500 | 3,000 | 2,250 |
지윤텍 위빌 S | 3,000 | 2,000 | 1,500 |
페이유 AK2000C | 2,200 | 1,466 | 1,100 |
페이유 AK2000S | 2,200 | 1,466 | 1,100 |
최대 탑재 하중은 제조사가 다양한 변수를 통제한 환경에서 짐벌의 균형 세팅을 완벽하게 하고 테스트한 결과로 실사용 환경에서의 최대 탑재 하중이라고 생각하면 안 된다. 짐벌은 균형 세팅이 불완전할수록 짐벌 모터에 부하가 가중되고 그에 따라 최대 탑재 하중도 감소하는데 실제 촬영 장소에서는 한정된 촬영 시간과 렌즈 교체 등의 변수가 많아서 정밀한 세팅을 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최대 탑재 하중에 충분히 여유를 두는 게 좋다. 그리고 최대 탑재 하중에 여유가 있더라도 렌즈의 형태에 따라 장착할 수 없거나 사용에 제약이 있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짐벌 제조사의 공식 홈페이지에서 렌즈/카메라 호환성 표를 찾아봐야 한다.
○ 짐벌 가격
제품명 | 출시 | 정가 | 최저가 |
---|---|---|---|
DJI RSC 2 | 2020.12 | 550,000 | 550,000 |
DJI RS 2 | 2020.10 | 970,000 | 970,000 |
지윤텍 위빌 S | 2019.10 | 480,000 | 450,500 |
페이유 AK2000C | 2020.12 | 299,000 | 297,500 |
페이유 AK2000S | 2020.01 | 420,000 | 417,500 |
최저가는 2020년 12월 기준 가격이다. 짐벌은 성능이 좋을수록 모터의 파워가 좋고 모터의 파워가 좋을수록 무게가 무겁고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짐벌 구매 시 짐벌의 무게를 고려한다면 사용할 장비 무게를 생각해서 적당한 수준의 짐벌을 선택하는 게 좋다. DJI RS 2는 최대 탑재 하중이 높지만, 그만큼 짐벌의 무게도 무겁고 가격도 비싸서 후보군에서 제외했다.
○ 짐벌 배터리 시간
구분 | RSC 2 | 위빌 S | AK2000C | AK2000S |
---|---|---|---|---|
형태 | 내장형 | 충전지 | 내장형 | 내장형 |
자가교체 | 불가 | 가능 | 불가 | 불가 |
충전 | 18W | 5V 2A | 18W | 18W |
충전시간 | 2 h | 2.5 h | 1.5 h | 1.5 h |
사용시간 | 14 h | 14 h | 12 h | 14 h |
사용시간 1/2 | 7 h | 7 h | 6 h | 7 h |
사용 시간은 제조사가 다양한 변수를 통제한 환경에서 테스트한 결과로 실사용 환경에 따라 상당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니 실제 사용 시간은 더 짧다고 생각하는 게 좋다.
참고로 내장형 배터리가 탑재된 짐벌은 USB로 충전할 때 사용자가 보유한 충전 어댑터를 사용해야 하는데, 허용 전류가 18W 이내인 짐벌은 충전기 어댑터에 표기된 V(볼트)와 A(암페어)를 곱한 값이 18W 이내여야 한다.
○ 무상 A/S 기간
구분 | RSC 2 | 위빌 S | AK2000C | AK2000S |
---|---|---|---|---|
A/S 기간 명시 | 없음 | 있음 | 있음 | 있음 |
본체 A/S 기간 | 1년 | 1년 | 1년 | 1년 |
통화 대기 시간 | 김 | 짧음 | 짧음 | 짧음 |
DJI RSC 2는 제품 소개 페이지와 사용자 매뉴얼에 A/S 기간에 대한 안내가 없었다.
○ 배터리 교체 비용
구분 | RSC 2 | 위빌 S | AK2000C | AK2000S |
---|---|---|---|---|
배터리 무상 A/S 기간 | 6개월 | 6개월 | 6개월 | 6개월 |
배터리 교체 | 가능 | 가능 | 가능 | 가능 |
배터리 교체비 | 비공개 | 35,000원 | 45,000원 | 45,000원 |
각 제조사는 각 제조사의 전용 18650 배터리를 써야 하고 타사 18650 배터리로 자가 교체하면 향후 A/S 처리가 안 된다고 명시하고 있다. DJI RSC 2는 A/S 센터에 제품을 입고하고 엔지니어가 점검한 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하고 하면 배터리 교체 비용을 알려줄 수 있다고 했다. 지윤텍 위빌 S는 충전지 교체 방식이기 때문에 지윤텍 전용 충전지만 별도로 구매하면 되고 배터리 구매 가격이 35,000원이라고 했다. 페이유는 짐벌에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어서 A/S 센터에 제품을 입고해서 교체가 가능하고 두 제품 모두 배터리 교체비는 45,000원이고 택배비는 별도라고 했다.
○ 짐벌 인터페이스
1. 인터페이스 이미지

2. 인터페이스
구분 | RSC 2 | 위빌 S | AK2000C | AK2000S |
---|---|---|---|---|
스크린 크기 | 1인치 | 비공개 | 비공개 | 비공개 |
스크린 종류 | OLED | OLED | 비공개 | 비공개 |
스크린 터치 | 미지원 | 미지원 | 지원 | 지원 |
스크린 터치 잠금 | – | – | 지원 | 지원 |
스크린 터치 버튼 | – | – | 락 모드 팬 모드 틸트/팬 모드 올 팔로우 모드 | 락 모드 팬 모드 틸트/팬 모드 올 팔로우 모드 |
엄지 버튼 | 전원 버튼 촬영 버튼 M 버튼 조이스틱 | 조이스틱 POV 모드 버튼 촬영 버튼 다이얼 버튼 | 전원 버튼 조이스틱 모드 버튼 촬영 버튼 영상/사진 전환 버튼 | 전원 버튼 조이스틱 모드 버튼 촬영 버튼 영상/사진 전환 버튼 |
검지 버튼 | 전면 큰 다이얼 트리거 버튼 | 트리거 버튼 | 트리거 버튼 | 트리거 버튼 |
좌측면 버튼 | 측면 다이얼 뒤로가기 버튼 | 측면 큰 다이얼 GO 모드 버튼 PF 모드 버튼 L 모드 버튼 전원 버튼 | – | 측면 큰 다이얼 |
3. 큰 다이얼
구분 | RSC 2 | 위빌 S | AK2000C | AK2000S |
---|---|---|---|---|
위치 | 전면 | 측면 | – | 측면 |
기본 기능 | 포커스 조정 | 포커스 조정 | – | 틸트 축 제어 |
변경 기능 | 포커스 ISO 조리개 롤 축 제어 | – | – | 포커스 팔로우 모드에 따라 팬, 틸트, 롤 축 제어 |
4. 촬영 모드 변경
구분 | RSC 2 | 위빌 S | AK2000C | AK2000S |
---|---|---|---|---|
팔로우 모드 변경 | 메뉴 내 조정 | 각 버튼 개별 클릭 | 화면 터치 모드 버튼 클릭 | 화면 터치 모드 버튼 클릭 |
팔로우 모드 빠른 변경 | 모드 버튼 클릭 | 각 버튼 개별 클릭 | 화면 터치 모드 버튼 클릭 | 화면 터치 모드 버튼 클릭 |
팔로우 모드 | PF PTF FPV Custom Lock 세로 셀피 3D 롤 (360°) | PF F POV Lock 셀피 V 모드 (360°) | PF F POV Lock 인셉션 (360°) 세로 | PF F POV Lock 인셉션 (360°) 세로 |
고속 모드 | 스포츠 모드 | GO 모드 | 액션 모드 | 액션 모드 |
슬립 모드 | 지원 | 지원 | 지원 | 지원 |
움직임 보정 | SuperSmooth 모드 | – | Smooth Mode | Smooth Mode |
촬영 기능 | 파노라마 타임랩스 트랙 | 파노라마 타임랩스 모션 타임랩스 | 모션 타임랩스 | 모션 타임랩스 |
(1) DJI RSC 2
스크린에 사용자 프로필, DJI RavenEye 이미지 전송 시스템 연결 여부, 스포츠 모드 활성화 유무, 카메라 컨트롤 케이블 연결 여부, 배터리 충전 여부, 배터리 잔량, 팔로우 모드, 팔로우 스피드 등이 표시된다. 사용자 프로필은 모바일 앱에서 팔로우 모드, 팔로우 스피드, 팔로우 전환 시기, 짐벌 움직임 감도, 짐벌 회전 범위 제한 등 상세 설정을 사전에 저장할 수 있는 기능으로 최대 3개까지 저장할 수 있고 짐벌의 M 버튼을 눌려서 사용자 프로필을 빠르게 전환할 수 있다. 사용자 프로필을 사용하지 않고 팔로우 모드를 변경하려면 메뉴 – 팔로우 모드에서 팔로우 모드를 변경해야 한다. 그리고 M 버튼을 길게 누르면 스포츠 모드가 활성화되고, M 버튼을 세 번 누르면 3D 롤 360 모드가 활성화되고, M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트리거 버튼을 두 번 누르면 스포츠 모드가 유지된다. 그리고 트리거 버튼을 길게 누르면 락 모드가 활성화되고, 트리거 버튼을 두 번 누르면 짐벌이 중앙으로 복귀하고, 트리거 버튼을 세 번 누르면 짐벌의 팬축이 180도 회전해서 카메라가 사용자를 바라보는 셀피 모드가 활성화되고, 전원 버튼을 두 번 누르면 슬립 모드가 활성화된다.
(2) 지윤텍 위빌 S
스크린에 사진/영상 모드, 카메라 컨트롤 케이블 연결 여부, 슬립 모드 활성화 유무, 배터리 잔량, 팔로우 모드, 버튼 락 모드가 표시되고, 짐벌 설정 방식에 따라 조리개, 셔터 스피드, ISO, 노출 수치 중에서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팔로우 모드는 개별 버튼으로 되어 있어서 각 버튼만 누르면 즉시 해당 팔로우 모드로 전환된다. 그리고 POV 버튼을 두 번 누르면 V 모드(롤 360 모드)가 작동하고, POV 버튼을 세 번 누르면 슬립 모드가 작동한다. 하지만 위빌 S는 기본 그립 부분에 제어 버튼이 밀집되어 있어서 추가 그립을 장착하더라도 제어 버튼에 락을 걸고 사용을 해야 할 수 있는데, LV 버튼을 세 번 눌리면 락이 걸리고 LV 버튼을 두 번 누르면 락이 풀리는 형태에서 사용자에 따라 불편할 수 있다.
(3) 페이유 AK2000S
스크린에 카메라 연결 여부, 블루투스 연결 여부, 배터리 잔량, 락 모드 버튼, 팬 팔로우 모드 버튼, 팔로우 모드(팬/틸트) 버튼, 올 팔로우 모드(팬/틸트/롤 팔로우) 버튼이 표시되고 각 팔로우 모드를 스크린을 터치해서 즉시 변경할 수 있다. 터치를 사용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는 모드 버튼을 눌려서 팔로우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촬영 중 잘못된 터치를 예방할 수 있도록 전원 버튼을 한 번 누르면 터치가 비활성화되고 다시 한번 누르면 터치가 활성화되고, 전원 버튼을 두 번 누르면 슬립 모드가 작동한다. 그리고 트리거 버튼을 꾹 누르고 있으면 팔로우 모드가 작동하고, 트리거 버튼을 두 번 누르면 짐벌이 중앙으로 복귀하고, 트리거 버튼을 세 번 누르면 짐벌의 팬축이 180도 회전해서 카메라가 사용자를 바라보는 셀피 모드가 활성화된다. 그리고 스크린 메뉴에서 인셉션 모드(롤 360 모드)를 터치하면 인셉션 모드가 활성화된다. 페이유 AK2000C는 페이유 AK2000S의 측면 인터페이스인 큰 다이얼이 없는 것만 제외하면 모든 기능이 같다.
5. 촬영 자세
DJI RSC 2는 ‘언더슬렁 촬영 모드’를 지원하고, 지윤텍 위빌 S는 트라이포드 그립을 짐벌 중단에 장착해서 하단 촬영 시 짐벌을 들기 쉬운 자세를 취할 수 있고, 페이유 AK2000S는 기본 구성품에 포함된 탈착식 다목적 그립을 장착해서 하단 촬영 시 짐벌을 들기 쉬운 자세를 취할 수 있고, 페이유 AK2000C는 해외직구로 탈착식 다목적 그립을 구매해서 사용해야 한다.
미러리스 카메라 3축 짐벌 비교 요약
구분 | RSC 2 | 위빌 S | AK2000C | AK2000S |
---|---|---|---|---|
무게(g) | 1,216 | 990 | 1,078 | 1,100 |
최대하중(g) | 3,000 | 3,000 | 2,200 | 2,200 |
최저가 | 550,000 | 450,500 | 297,500 | 417,500 |
충전시간 | 2 | 2.5 | 1.5 | 1.5 |
사용시간 | 14 | 14 | 12 | 14 |
배터리 교체비 | 비공개 | 35,000 | 45,000 | 45,000 |
직관적인 정보 제공 | O | X | X | X |
제품 소개 퀄리티 | 우수 | 보통 | 보통 | 보통 |
사용자 매뉴얼 | 한글 | 영문 | 영문 | 영문 |
팔로우 모드 조작 | M 버튼 스크린 메뉴 조작 | 개별 버튼 | 스크린 터치 모드 버튼 | 스크린 터치 모드 버튼 |
추가 그립 | 트라이포드 그립 | 트라이포드 그립 | 트라이포드 그립 | 트라이포드 그립 다목적 그립 |
1. 브랜드 가치
DJI가 가장 우수하다. 공식 사이트와 제품 소개 페이지가 최신 디자인 트렌드이고 소비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직관적으로 제공하고 사용자 매뉴얼도 한글이다. 유튜브 영상 소개도 깔끔하게 제작해서 영어를 전혀 몰라도 모든 내용을 쉽게 숙지할 수 있다.
반면 지윤텍과 페이유는 상세페이지에 표기된 정보가 일부 부정확하고 사용자 매뉴얼도 영문이다. 유튜브 영상 소개도 지윤텍은 한국 총판과 연계된 유튜버 리뷰 영상을 개시하다 보니 불필요한 내용이 많았고 페이유는 제조사에서 제작한 영상이지만, 영상 퀄리티가 떨어졌다.
2. 최대 탑재 하중
짐벌의 무게와 무게 대비 최대 탑재 하중은 지윤텍 위빌 S가 가장 우수하고, DJI RSC 2도 좋은 편이다. 페이유 시리즈는 무게는 가벼운 편이지만, 최대 탑재 하중이 상대적으로 낮다.
3. 인터페이스
제조사마다 특징이 뚜렷해서 사용자마다 선호도가 다를 수 있다. DJI RSC 2는 사용자 프로파일을 미리 설정하고 M 버튼을 눌려서 사용자 프로파일을 전환하는 방식인데, 각 사용자 프로파일마다 팔로우 모드, 팔로우 스피드, 팔로우 전환 시기, 짐벌 움직임 감도, 짐벌 회전 범위 제한 등을 상세하게 설정해둘 수 있어서 짐벌의 작동에 민감한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지윤텍 위빌 S는 개별 버튼을 눌려서 직관적이고 빠르게 팔로우 모드를 변경할 수 있지만, 손잡이에 버튼이 몰려 있어서 촬영 시 버튼을 잘못 누르지 않도록 제어 버튼에 락을 걸어야 할 수 있고 락을 걸고 푸는 방식이 다소 복잡하다 보니 팔로우 모드를 전환할 때마다 불편할 수 있다.
페이유 짐벌은 스크린 화면 터치로 원하는 팔로우 모드를 즉시 선택할 수 있고, 촬영 중 터치 오류를 예방할 수 있도록 전원 버튼 원터치로 터치스크린 락을 걸거나 풀 수 있다. 그리고 스크린 터치에 락이 걸렸을 때도 모드 버튼을 눌려서 팔로우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페이유 AK2000S 짐벌 구매 이유
탈착식 다목적 그립을 장착했을 때 양손으로 잡는 자세가 편해 보였고 측면 큰 다이얼을 돌려서 촬영 중 각 축의 각도를 미세 조정할 수 있는 점이 좋아 보였다. 짐벌 구매 후보군 중에서 성능과 기능은 DJI RSC 2가 가장 우수했지만, 보유한 카메라와 렌즈 무게, 촬영 목적, 촬영 스타일을 고려했을 때 페이유 AK2000S로도 충분해서 들고 다니기 좋아 보이는 제품을 선택했다.
페이유 AK2000S 짐벌 사양
○ 무게
무게는 0.1g 단위로 측정할 수 있는 ‘샤오미 DUKA ES1 정말 전자저울’을 사용했다. 저렴한 전자저울이다 보니 수십 그림 단위에서는 0.5g 이내의 오차가 있었고 수백 그램 단위에서는 3g 이내의 오차가 있었고 수천 그램 단위에서는 10g 이내의 오차가 있었다.
1. 짐벌 무게 측정
구분 | 무게(g) |
---|---|
퀵 릴리즈 | 24.7 |
퀵 릴리즈 마운트 | 66.3 |
트라이포드 그립 | 209.2 |
탈착식 다목적 그립 탈착식 다목적 그립 고정 나사 | 157.5 |
렌즈 받침대 렌즈 받침대 고정 나사 | 14.1 |
Type-C 멀티 케이블 | 8.2 |
짐벌 본체 | 1045.5 |
짐벌 본체 퀵 릴리즈 퀵 릴리즈 마운트 Type-C 멀티 케이블 | 1145.5 |
짐벌 본체 퀵 릴리즈 퀵 릴리즈 마운트 Type-C 멀티 케이블 트라이포드 그립 | 1353.6 |
짐벌 본체 퀵 릴리즈 퀵 릴리즈 마운트 Type-C 멀티 케이블 트라이포드 그립 탈착식 다목적 그립 탈착식 다목적 그립 고정 나사 | 1512.1 |
AK2000S의 사양표에 나와있는 무게는 1,100g인데, 짐벌 본체에 퀵 릴리즈 마운트를 포함한 무게인 것으로 추정된다. 렌즈 받침대 구성품을 제외한 짐벌 풀세팅 무게는 약 1,512g이다.
2. 장비 무게 측정
구분 | 무게(g) |
---|---|
소니 A7M3 SD 카드 2장 배터리 (바디 캡 없음) | 650.4 |
스트랩 퀵 릴리즈 | 3.2 |
소니 A7M3 SD 카드 2장 배터리 스트랩 퀵 릴리즈 (바디 캡 없음) | 653.6 |
칼자이스 바티스 25mm F2 렌즈 후드 렌즈 필터 (렌즈 앞, 뒤 캡 없음) | 386.9 |
소니 55mm F1.8 렌즈 후드 렌즈 필터 (렌즈 앞, 뒤 캡 없음) | 344.7 |
소니 90mm F2.8 마크로 렌즈 후드 렌즈 필터 (렌즈 앞, 뒤 캡 없음) | 682.2 |
소니 A7M3 바티스 25mm F2 전체 무게 | 1040.9 |
소니 A7M3 소니 55mm F1.8 전체 무게 | 998.6 |
소니 A7M3 소니 90mm F2.8 전체 무게 | 1350.8 |
촬영할 때는 렌즈 캡을 씌우지 않고 카메라 스트랩을 탈착하므로 렌즈 캡 무게와 스트랩 무게는 제외했다.
3. 총 무게
구분 | 무게(g) |
---|---|
소니 A7M3 바티스 25mm F2 짐벌 전체 풀세팅 | 2568.5 |
소니 A7M3 소니 55mm F1.8 짐벌 전체 풀세팅 | 2527.8 |
소니 A7M3 소니 90mm F2.8 짐벌 전체 풀세팅 | 2864.6 |
렌즈 캡과 카메라 스트랩을 제외한 모든 부착물을 다 부착한 상태에서 무게를 측정했다.
○ 장착 가능 렌즈
칼자이스 바티스 25mm F2, 소니 55mm F1.8, 소니 90mm F2.8 Macro 모두 장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소니 90mm F2.8 Macro는 렌즈가 길어서 짐벌에 장착하고 짐벌을 아래로 숙일 때마다 카메라가 짐벌 본체에 부딪히는 문제가 있었다. 세 가지 렌즈 모두 모터의 떨림 현상은 없었고 아주 조용한 실내에서 10분간 촬영했을 때 미세한 초음파 소리가 한 두 번 났으나 마이크에 녹음될 정도의 소음은 아니었다.
페이유 AK2000S 짐벌 사용 후기
○ 페이유 AK2000S 짐벌 구성품


○ 페이유 AK2000S 짐벌 사용 후기

1. 장점
짐벌이 없을 때는 절대 촬영할 수 없는 아주 자연스러운 장면을 촬영할 수 있었다. 그리고 탈착식 다목적 그립을 장착해서 짐벌을 양손으로 잡을 때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었고 여행지에서 약 한 시간 이상을 들고 다녀도 무게 부담이 없었다.
(2023.01.01 추가) 영하 0℃에서 3박 4일간 여행을 하면서 틈틈히 짐벌을 사용해서 촬영할 때 소니 ZV-E10은 수시로 충전을 해야했지만, 페이유 AK2000S는 배터리가 부족한 문제가 없었다.
2. 단점
(1) 짐벌 축 틀어짐
다양한 촬영 구도에 맞춰 짐벌을 움직이다 보면 짐벌의 축이 틀어지는 문제가 잦았다. 녹화 중에는 문제가 없지만, 녹화를 마치고 촬영 장면에 맞춰서 짐벌을 움직이다 보면 짐벌의 축이 조금씩 틀어지는 게 체감되었고 그때마다 짐벌의 리셋 버튼을 눌려서 각 축의 각도를 초기화해야 했다. 다만 이전에 사용해본 스마트폰 짐벌인 모자 미니미와 지윤텍 스무스 4에서도 같은 문제가 발생했기 때문에 현재 출시된 짐벌이 가진 고질적인 문제인 것으로 추정된다.
(2023.01.01 추가) 소니 A7M3보다 훨씬 가벼운 소니 ZV-E10에 바티스 25mm F2를 장착하고 현장에서 균형을 잘 맞췄음에도 3시간 이상 사용한 시점부터 짐벌을 켰을 때 머리가 약간 숙여지는 문제가 있었다.
(2) 바람이 매우 심하게 부는 환경에서 틸트 축 숙여짐
사람이 고개를 숙이고 천천히 걸어야 할 정도로 바람이 심하게 부는 날에 소니 55mm F1.8 렌즈를 장착하고 촬영을 한 적이 있는데 바람 때문에 짐벌 모터에 부하가 가중되었는지 리셋 버튼을 눌려도 틸트 축이 완전히 초기화되지 않고 고개가 숙어진 상태가 지속되는 문제가 있었다. 처음에는 평소처럼 짐벌 축 틀어짐 현상이 나타난 줄 알았는데 촬영을 지속할수록 고개가 숙어지는 각도가 커졌고 리셋 버튼을 눌려도 완전히 초기화되지 않고 카메라가 앞쪽으로 숙어진 상태가 지속되었다. 다행히 짐벌을 완전히 껐다가 켜니 틸트 축이 정상적으로 초기화가 되었고, 이날 이후에 같은 증상을 겪은 적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