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포스 젠하이저 GSP 670 무선 게이밍 헤드셋 – 라인업 비교

이포스 젠하이저 GSP 670 무선 게이밍 헤드셋을 중심으로 젠하이저와 이포스의 게이밍 헤드셋의 특징을 비교한 자료를 기록하기 위해 이포스 젠하이저 GSP 670 무선 게이밍 헤드셋 – 라인업 비교를 작성했다.

주의사항
1. 2021년 3월에 커뮤니티에서 진행한 무료 증정 이벤트에 0.114%의 확률로 당첨되어 제품을 무료로 받았다.
2. 사양 정보는 젠하이저의 기술 문서, 이포스 상세페이지, 해외 리뷰 순으로 참고했다.
3. 젠하이저 기술 문서마다 사양이 다르게 표기된 부분이 있는 경우 해외 리뷰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한 정보를 표기했다.
4. GSP 670의 드라이버 크기는 EPOS Global Support에 문의한 결과 일반 소비자에게 알려줄 수 없다는 답변을 받았다. 일반적인 문의에 대한 답변은 하루 만에 왔는데 드라이버 크기에 대한 문의는 나의 신분이 판매자인지 또는 소비자인지, 그리고 왜 궁금한지에 대한 질문과 함께 최종 답변까지 약 2주 정도 소요되었다. EPOS Global 내부적으로 논의 후 일반 소비자에게 공개하지 않기로 결론을 내린 것 같다.
5. 웹상의 정보를 종합해서 작성했기 때문에 사실과 다른 정보가 있을 수도 있다.

목차

  1. EPOS 브랜드 역사
  2. EPOS Gaming Headset 시리즈
  3. EPOS Gaming Headset 수입사
  4. EPOS Sennheiser GSP 670 Wireless Gaming Headset 비교
  5. EPOS Sennheiser GSP 670 Wireless Gaming Headset 비교 결과
Quick Menu

EPOS 브랜드 역사

○ 젠하이저 브랜드 역사

연도연혁
1945.06독일에서 프리츠 젠하이저(Fritz Sennheiser)가 베네보슈텔 연구소(Laboratorium Wennebostel, Laboratory W)를 설립했다.
1945독일 엔지니어링 회사인 지멘스(Siemens)의 측정 장치를 위탁 생산하기 시작했다.
1945지멘스의 의뢰로 마이크 개발을 시작했다.
1946MD 1 마이크를 출시했다.
1947MD 2 마이크를 출시했다.
1956MD 82 샷건 마이크를 출시했다.
1957독일 북부동일방송(NDR, Norddeutscher Rundfunk)과 함께 TV용 무선 마이크 시스템을 개발했다.
1958TV용 무선 마이크 시스템을 지멘스와 일반전자회사(AEG)의 합작 회사인 텔레푼켄(TELEFUNKEN)과 함께 무선 핀마이크(Mikroport)라는 이름으로 출시했다.
1958회사명을 젠하이저 일렉트로닉(Sennheiser electronic)으로 변경했다.
1960M 421 다이내믹 마이크를 출시했다.
1968세계 최초로 HD 414 개방형 온이어 헤드폰을 출시했다.
1974MKE 2002 스테레오 마이크를 출시했다.
1982프리츠 젠하이저가 아들인 요르그 젠하이저(Jorg Sennheiser)에게 경영권을 이양했다.
1988첫 번째 자회사인 젠하이저 프랑스(Sennheiser France)를 설립했다.
1988전문 모니터링용 HD 25 개방형 온이어 헤드폰을 출시했다. HD 25는 젠하이저의 의도와는 다르게 콩코드 여객기의 고품질 기내 헤드폰 및 전 세계 DJ용 헤드폰으로 명성을 키웠다.
1991독일의 마이크 전문 제조업체인 게오르그 노이만(Georg Neumann)을 인수했다.
1991오르페우스(Orpheus) HE 90 플래그십 정전식 헤드폰을 출시했다.
1992젠하이저 아시아를 설립했다.
1996젠하이저 일렉트로닉의 법적 형태를 독일 유한 책임 회사(GmbH & Co. KG)로 변경했다.
1996요르그 젠하이저가 전무 이사에게 경영권을 이양하고 자신은 감독위원회로 자리를 옮겼다.
1998보컬과 악기용 Evolution 마이크 시리즈를 출시했다.
1999Evolution 무선 마이크 시리즈를 출시했다.
2000MKH 800 스튜디오 콘덴서 마이크를 출시했다.
2003덴마크의 청력 건강 관리 회사인 윌리엄 디만트 홀딩스(William Demant Holding)와 합작 투자해서 젠하이저 커뮤니케이션스 A/S(Sennheiser Communications A/S)를 설립했다.
2005독일의 오디오 전자 회사인 클라인 + 험멜(Klein + Hummel, K + H)을 인수했다.
2008요르그 젠하이저의 아들인 다니엘 젠하이저(Daniel Sennheiser)가 입사했다.
2009HD 800 개방형 오버이어 하이엔드 레퍼런스 헤드폰을 출시했다.
2010다니엘 젠하이저와 형제인 안드레아스 젠하이저(Andreas Sennheiser)가 입사했다.
2012세계 최초로 데이터 압축이나 손실 없이 HD 사운드를 전송하는 Digital 9000 플래그십 무선 마이크 시스템을 출시했다.
2012모멘텀(MOMENTUM) 메인스트림 헤드폰 시리즈를 출시했다.
2013다니엘 젠하이저와 안드레아스 젠하이저가 전무 이사로 승진하고 경영권을 이양받아서 동등한 권리를 가진 공동 CEO가 되었다.
2014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용 스트리밍 솔루션을 개발하는 젠하이저 스트리밍 테크놀로지(Sennheiser Streaming Technology GmbH, SST)를 설립했다.
20163D 오디오 테크놀로지 프로그램인 AMBEO를 공개했다.
2016AMBEO VR 마이크를 출시했다.
2017AMBEO Smart Headset 바이노럴 녹음용 인이어 장치를 출시했다.
2018젠하이저 일렉트로닉 유한회사와 윌리엄 디만트 홀딩스 A/S가 합작 투자를 종료한다고 발표했다. 젠하이저 커뮤니케이션스 A/S의 세 가지 사업부 중에서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사업부와 게임용 헤드셋 사업부는 윌리엄 디만트 홀딩스 A/S의 독립된 사업부로 이관하고, 모바일 뮤직 헤드셋 사업부는 젠하이저 일렉트로닉 유한회사의 소비자 가전 사업부로 이관한다고 했다.
20195.1.4 채널 AMBEO 사운드 바를 출시했다.
2019독일의 3D 오디오 소프트웨어 및 가상 음향 전문 회사인 디어 리얼리티(Dear Reality GmbH)의 대주주가 되었고 2021년에 완전히 인수했다.
2020AMBEO 3D 사운드를 자동차에 도입하는 AMBEO Mobility를 공개했다.
2020세계 최초로 Momentum Tru Wireless 2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 무선 이어폰을 출시했다.
2020젠하이저 일렉트로닉 유한회사와 디만트 A/S가 합작 투자를 종료했다.
2021젠하이저 일렉트로닉 유한회사의 소비자 가전 사업부가 스위스의 청력 관리 솔루션 기업인 소노바 그룹(Sonova Holding AG)에 인수되었다. 젠하이저 일렉트로닉 유한회사는 프로 오디오 사업부,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사업부, 자회사인 노이만의 사업에 집중한다고 했다.

○ 이포스 브랜드 역사

연도연혁
2003덴마크의 청력 건강 관리 회사인 윌리엄 디만트 홀딩스와 젠하이저 일렉트로닉 유한회사가 합작 투자해서 젠하이저 커뮤니케이션스 A/S(Sennheiser Communications A/S)를 설립했다.
2003젠하이저 PC 150 노이즈 캔슬링 마이크 게이밍 헤드셋을 출시했다.
2003젠하이저 SH 300 엔터프라이즈 사무실 솔루션 헤드셋을 출시했다.
2003젠하이저 CC 500 엔터프라이즈 콜센터 솔루션 헤드셋을 출시했다.
2007젠하이저 엔터프라이즈 블루투스 헤드셋을 출시했다.
2008젠하이저 PC 350 하이엔드 게이밍 헤드셋을 출시했다.
2010젠하이저 엔터프라이즈 DECT(Digital Enhanced Cordless Telecommunications) 헤드셋을 출시했다.
2010젠하이저 PC 333D 돌비 가상 서라운드 게이밍 헤드셋을 출시했다.
2013젠하이저 Game One 하이엔드 Hi-Fi 게이밍 헤드셋 시리즈를 출시했다.
2013젠하이저 Game Zero 하이엔드 Hi-Fi 게이밍 헤드셋 시리즈를 출시했다.
2014젠하이저 엔터프라이즈 스피커폰을 출시했다.
2014젠하이저 커뮤니케이션스 A/S 내에 게임 전담 부서를 설립했다.
2016젠하이저에서 개발한 가상 7.1 서라운드 기술을 공개했다.
2016젠하이저 GSX 1000 가상 서라운드 장치를 출시했다.
2016젠하이저 MB 660 엔터프라이즈 블루투스 헤드셋을 출시했다.
2018.09윌리엄 디만트 홀딩스 A/S와 젠하이저 일렉트로닉 유한회사가 합작 투자를 종료한다고 발표했다. 젠하이저 커뮤니케이션스 A/S의 세 가지 사업부 중에서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사업부와 게임용 헤드셋 사업부는 윌리엄 디만트 홀딩스 A/S의 독립된 사업부로 이관하고, 모바일 뮤직 헤드셋 사업부는 젠하이저 일렉트로닉 유한회사의 소비자 가전 사업부로 이관한다고 했다.
2019.03윌리엄 디만트 홀딩스 A/S가 회사명을 디만트 A/S(Demant A/S)로 변경했다.
2019.06이포스 그룹 A/S가 미국 특허상표청(USPTO)에 EPOS 상표 출원을 신청했다.
2019.07젠하이저 GSP 670 무선 플래그십 게이밍 헤드셋을 출시했다.
2019.11디만트 A/S가 젠하이저 커뮤니케이션스 A/S의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사업부와 게임용 헤드셋 사업부를 합쳐서 덴마크의 코펜하겐에 이포스 그룹 A/S(EPOS Group A/S)를 설립했다. 이포스 그룹 A/S는 젠하이저 커뮤니케이션스 A/S의 Sennheiser 브랜드 제품을 EPOS | Sennheiser 브랜드 제품으로 유지하면서 프리미엄 오디오 솔루션인 EPOS 브랜드 제품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했다.
2020.03이포스 그룹 A/S가 Sennheiser Gaming 브랜드를 EPOS 브랜드로 변경했다.
2020.07이포스 그룹 A/S가 Sennheiser에서 완전히 분리된 EPOS 브랜드 제품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했다.
2020.10미국 특허상표청(USPTO)이 EPOS 상표를 승인했다.
2020.10이포스 그룹 A/S가 Sennheiser 브랜드 제품을 EPOS | Sennheiser 브랜드 제품으로 출시하고, 일부 상품에 대한 색상 변경 버전도 출시했다.
2020.11디만트 A/S와 젠하이저 일렉트로닉 유한회사가 합작 투자를 종료했다.
2021.04이포스 그룹 A/S가 H3 유선 게이밍 헤드셋을 출시했다.
2021.09이포스 그룹 A/S가 H3 Hybrid 유무선 게이밍 헤드셋을 출시했다.
2021.10이포스 그룹 A/S가 H6PRO 유선 플래그십 게이밍 헤드셋을 출시했다.
2021.11이포스 그룹 A/S가 H3PRO Hybrid 유무선 게이밍 헤드셋을 출시했다.

GSP 670 무선 게이밍 헤드셋은 2019년 7월에 Sennheiser 브랜드로 출시했고 2020년 10월부터 EPOS | Sennheiser 브랜드로 출시했다.

EPOS Gaming Headset 시리즈

○ 젠하이저 커뮤니케이션스 PC 시리즈

젠하이저의 컴퓨터 및 노트북용 게이밍 헤드셋 시리즈이다. PC 시리즈에는 PC 150, PC 151, PC 155, PC 156, PC 160, PC 160 SK, PC 161, PC 165, PC 166, PC 350, PC 360, PC 333D, PC 163D, PC 330, PC 320, PC 350 Special Edition, PC 363D, PC 373D 등이 있고, 젠하이저의 첫 번째 하이엔드 게이밍 헤드셋인 PC 350부터 G4ME라는 게이밍 기어 명칭을 붙였다. 헤드셋 디자인은 PC 1XX 시리즈는 젠하이저의 사무 및 콜센터용 엔터프라이즈 헤드셋 디자인과 흡사하고, PC 3XX 시리즈는 젠하이저의 헤드폰 디자인에 붐 마이크만 추가한 모습이다.

1. PC 150 밀폐형 온이어 스테레오 유선 게이밍 헤드셋

2003년에 첫 번째 게이밍 헤드셋을 출시했다. PC 150은 프로 게이머와 인터넷 통화에 최적화한 제품으로 조절식 헤어밴드, XL 사이즈의 이어 패드, 노이즈 캔슬링 마이크, 인라인 볼륨 컨트롤, 마이크 음소거 스위치를 탑재했다. PC 150의 헤드폰 사양은 18 ~ 22,000 Hz, 32 Ω, 114 dB이고, 마이크 사양은 80 ~ 15,000 Hz, 단방향 픽업 패턴, -38 dBV/Pa이다.

2. PC 155 USB 밀폐형 온이어 스테레오 유선 게이밍 헤드셋

2005년에 PC 155 USB 게이밍 헤드셋을 출시했다. PC 155는 프로 게이머에 최적화한 제품으로 조절식 헤어밴드, XL 사이즈의 이어 패드, 노이즈 캔슬링 마이크, 인라인 볼륨 컨트롤, 케이블 정리 클립, 360도 서라운드를 제공하는 사운드 카드 칩을 내장한 USB 어댑터를 탑재했다. PC 155의 헤드폰 사양은 18 ~ 22,000 Hz, 32 Ω, 114 dB이고, 마이크 사양은 80 ~ 15,000 Hz, 단방향 픽업 패턴, -38 dBV/Pa이다.

3. PC 160 개방형 온이어 스테레오 유선 게이밍 헤드셋

2006년에 PC 160 게이밍 헤드셋을 출시했다. PC 160은 e스포츠 대회에 최적화한 제품으로 조절식 헤어밴드, XXL 사이즈의 이어 패드, 장시간 착용 시 열 발산을 위한 개방형 이어 커버, 노이즈 캔슬링 마이크, 인라인 볼륨 컨트롤, 마이크 음소거 스위치를 탑재했다. PC 160의 헤드폰 사양은 15 ~ 23,000 Hz, 16 Ω, 114 dB이고, 마이크 사양은 80 ~ 15,000 Hz, 단방향 픽업 패턴, -38 dBV/Pa이다.

4. PC 165 USB 개방형 온이어 스테레오 유선 게이밍 헤드셋

2006년에 PC 165 USB 게이밍 헤드셋을 출시했다. PC 165는 e스포츠 대회에 최적화한 제품으로 조절식 헤어밴드, XXL 사이즈의 이어 패드, 장시간 착용 시 열 발산을 위한 개방형 이어 커버, 노이즈 캔슬링 마이크, 인라인 볼륨 컨트롤, 케이블 정리 클립, 마이크 음소거 스위치, 360도 3D 서라운드를 제공하는 사운드 카드 칩을 내장한 USB 어댑터를 탑재했다. PC 165의 헤드폰 사양은 15 ~ 23,000 Hz, 16 Ω, 114 dB이고, 마이크 사양은 80 ~ 15,000 Hz, 단방향 픽업 패턴, -38 dBV/Pa이다.

5. PC 350 밀폐형 오버이어 스테레오 유선 게이밍 헤드셋

2008년에 첫 번째 하이엔드 게이밍 헤드셋을 출시했다. PC 350 은 프로 게이머에 최적화한 제품으로 장시간 착용해도 편안한 디자인을 적용하고 조절식 헤어밴드,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있는 플립형 붐 마이크, 인라인 볼륨 컨트롤, 마이크 음소거 스위치를 탑재했다. PC 350 G4ME의 헤드폰 사양은 10 ~ 26,000 Hz, 150 Ω, 108 dB, 전고조파 왜곡 < 0.1%이고, 마이크 사양은 50 ~ 16,000 Hz, -38 dBV/Pa이다.

6. PC 360 개방형 오버이어 스테레오 유선 게이밍 헤드셋

2010년에 PC 360 게이밍 헤드셋을 출시했다. PC 360에는 장시간 착용해도 편안한 디자인을 적용하고 조절식 헤어밴드, 장시간 착용 시 열 발산을 위한 개방형 이어 커버,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있는 플립형 붐 마이크, 이어 컵 볼륨 휠, 마이크 플립 음소거 기능을 탑재했고 사양은 PC 350과 같다.

7. PC 333D 밀폐형 오버이어 스테레오 유선 게이밍 헤드셋

2010년에 PC 333D 게이밍 헤드셋을 출시했다. PC 333D에는 장시간 착용해도 편안한 디자인을 적용하고 조절식 헤어밴드,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있는 플립형 붐 마이크, 마이크 플립 음소거 기능, 이어 컵 볼륨 휠, 돌비 헤드폰의 가상 7.1 서라운드 기능을 탑재했다. PC 333D의 헤드폰 사양은 14 ~ 22,000 Hz, 32 Ω, 112 dB이고, 마이크 사양은 70 ~ 15,000 Hz, -38 dBV/Pa이다.

돌비 헤드폰(Dolby Headphone)은 호주의 레이크 테크놀러지(Lake Technology)에서 개발한 가상 서라운드 기술로 1998년에 돌비가 라이크 테크놀러지에 헤드폰 서라운드 사운드 기술에 대한 라이선스비를 지불하고 돌비 헤드폰이라는 이름으로 사용하다가 2003년에 레이크 테크놀러지를 인수했다. 돌비 헤드폰은 디지털 신호 처리(Digital Signal Processing, DSP)로 가상 서라운드를 구현하고 5.1채널 콘텐츠와 호환된다. 그리고 돌비에서 개발한 돌비 프로 로직 II(Dolby Pro Logic II)와 같이 사용하면 2채널 소스를 5.1 채널 가상 서라운드로 변환할 수 있고, 돌비 프로 로직 IIz(Dolby Pro Logic IIz)와 같이 사용하면 2채널 소스를 7.1 채널 가상 서라운드로 변환할 수 있다.

8. PC 373D 개방형 오버이어 스테레오 유선 게이밍 헤드셋

2016년 7월에 젠하이저의 마지막 PC 시리즈 게이밍 헤드셋을 출시했다. PC 373D은 게임과 음악에 최적화한 제품으로 조절식 헤어밴드, 장시간 착용 시 열 발산을 위한 개방형 이어 커버,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있는 플립형 붐 마이크, 마이크 플립 음소거 기능, 이어 컵 볼륨 휠, 사운드의 디테일을 향상시키는 젠하이저 트랜스듀서 테크놀로지(Sennheiser Transducer Technology), 돌비 헤드폰의 가상 7.1 서라운드 기능 및 ON/OFF 스위치를 탑재했고, 젠하이저 서라운드 소프트웨어를 통해 서라운드 기능의 세부사항을 조정할 수 있다. 젠하이저 서라운드 소프트웨어는 이퀄라이저, 마이크 노이즈 감소, 사이드톤, 가상 7.1 서라운드를 지원한다. PC 373D의 헤드폰 사양은 15 ~ 28,000 Hz, 50 Ω, 116 dB이고, 마이크 사양은 50 ~ 16,000 Hz, -38 dBV/Pa이다.

○ 젠하이저 커뮤니케이션스 G4ME 시리즈

2013년에 젠하이저 커뮤니케이션스가 스퀘어 에닉스(Square Enix)의 자회사이자 히트맨 게임을 개발한 IO 인터랙티브(IO Interactive A/S)와 함께 인체공학적인 설계로 장시간 착용해도 편안한 G4ME ZERO와 G4ME ONE을 개발했고 2013년 11월에 출시했다. 헤드셋의 디자인은 기존의 PC 3XX 시리즈와 크게 다르지 않다.

1. G4ME ZERO 밀폐형 오버이어 스테레오 유선 게이밍 헤드셋

최고의 사운드로 오직 게임에만 집중할 수 있는 게이밍 헤드셋으로 인조가죽으로 마감한 이중 메모리 폼 패드가 귀 전체를 덮어 외부 소음을 차단하고, 조절식 헤어밴드, XXL 사이즈의 이어 패드,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있는 플립형 붐 마이크, 이어 컵 볼륨 휠, 금도금 커넥터, 마이크 플립 음소거 기능, 인체공학적 음향 개선(Ergonomic Acoustic Refinement, E.A.R) 기능, 사운드의 디테일을 향상시키는 젠하이저 트랜스듀서 테크놀로지를 탑재했다. G4ME ZERO의 헤드폰 사양은 10 – 26,000 Hz, 150 Ω, 108 dB이고, 마이크 사양은 50 ~ 16,000 Hz, -38 dBV/Pa이다.

2. G4ME ONE 개방형 오버이어 스테레오 유선 게이밍 헤드셋

장시간 게임을 즐길 수 있는 게이밍 헤드셋으로 통기성이 있는 패브릭으로 마감한 이중 메모리 폼 패드가 귀 전체를 덮고 개방형 이어 커버를 적용해서 불쾌한 열기를 배출하고, 조절식 헤어밴드, XXL 사이즈의 이어 패드,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있는 플립형 붐 마이크, 마이크 플립 음소거 기능, 이어 컵 볼륨 휠, 인체공학적 음향 개선(E.A.R) 기능, 사운드의 디테일을 향상시키는 젠하이저 트랜스듀서 테크놀로지를 탑재했다. G4ME ONE의 헤드폰 사양은 15 ~ 28,000 Hz, 50 Ω, 116 dB이고, 마이크 사양은 50 ~ 16,000 Hz, -38 dBV/Pa이다.

○ 젠하이저 커뮤니케이션스 GSP 시리즈

2014년에 젠하이저 커뮤니케이션스 A/S가 게임 전담 부서를 설립해서 개발한 게이밍 라인업으로 2016년 8월에 ‘게임스컴 2016’에서 공개했다. 선명하고 사실적인 게임 사운드를 지원하고, 액션을 강화하기 위해 저음을 강조하고, 밀폐형 디자인으로 외부 소음을 차단해서 게임에 대한 집중도를 높이고, 매우 편안한 메모리 폼을 적용해서 장시간 플레이를 지원한다. GSP 시리즈에는 GSP 300, GSP 350, Need for Speed Payback Edition GSP 303 등이 있다. 헤드셋 디자인은 기존의 젠하이저 헤드폰 디자인과는 다르게 미래지향적이면서도 세련된 느낌이다.

1. GSP 300 밀폐형 오버이어 스테레오 유선 게이밍 헤드셋

2016년 9월에 첫 번째 GSP 시리즈를 출시했다. GSP 300에는 내구성이 좋은 고품질 소재를 적용하고 조절식 분할 헤어밴드, 최고의 방음과 편안함을 위한 메모리 폼 이어 패드, 브로드캐스트급 품질의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있는 플립형 붐 마이크, 마이크 플립 음소거 기능, 이어 컵 볼륨 휠을 탑재했고, 뛰어난 선명도와 향상된 저음 성능을 제공하고, PC, Mac, PS4에서 사용할 수 있다. GSP 300의 헤드폰 사양은 15 ~ 26,000 Hz, 19 Ω, 113 dB이고, 마이크 사양은 10 ~ 15,000 Hz, -41 dBV/Pa이다.

2. GSP 350 밀폐형 오버이어 스테리오 유선 게이밍 헤드셋

2016년 10월에 GSP 350 게이밍 헤드셋을 출시했다. GSP 350에는 GSP 300에 돌비 헤드폰의 가상 7.1 서라운드 기능 및 ON/OFF 스위치를 추가했고, 젠하이저 서라운드 소프트웨어를 통해 서라운드 기능의 세부사항을 조정할 수 있다. 젠하이저 서라운드 소프트웨어는 이퀄라이저, 마이크 노이즈 감소, 사이드톤, 가상 7.1 서라운드를 지원한다. GSP 350에 추가한 가상 서라운드 기능 및 어댑터는 지난 2016년 7월에 출시한 PC 373D와 같고, GSP 350의 사양은 GSP 300과 같다.

3. GSP 600 밀폐형 오버이어 스테레오 유선 게이밍 헤드셋

2018년 1월에 GSP 시리즈의 플래그십 유선 게이밍 헤드셋을 출시했다. GSP 600은 젠하이저의 플래그십 게이밍 헤드셋인 G4ME ZERO를 기반으로 오디오, 마이크, 편안함, 내구성을 모두 업그레이드한 프로게이머용 게이밍 헤드셋으로 접촉 압력 조절 기능(Adjustable Contact Pressure)을 도입한 조절식 분할 헤어밴드, 자유로운 착용감을 위한 고급 솔리드 메탈 이중 힌지 시스템, 외부 소음을 차단하고 사운드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고 베이스 주파수의 강도를 보존하기 위해 귀의 윤곽을 고려한 이어 패드, 브로드캐스트급 품질의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있는 플립형 붐 마이크, 마이크 플립 음소거 기능, 이어 컵 볼륨 휠, 현실감 있는 오디오 경험을 위한 알루미늄 보이스 코일 스피커를 탑재했고, 게임과 영화에서 강력한 임팩트를 주기 위한 서브 베이스 범위를 제공하고, PC, Mac, PS4에서 사용할 수 있다. GSP 600의 헤드폰 사양은 10 ~ 30,000 Hz, 28 Ω, 112 dB이고, 마이크 사양은 10 ~ 18,000 Hz, 양방향 ECM 픽업 패턴, -47 dBV/Pa이다.

4. GSP 500 개방형 오버이어 스테레오 유선 게이밍 헤드셋

2018년 3월에 GSP 500 게이밍 헤드셋을 출시했다. GSP 500은 장시간 착용을 하는데 적합한 플래그십 게이밍 헤드셋으로 기능면에서 GSP 600과 다른 부분은 이어 컵 구조와 이어 패드 소재뿐이다. GSP 500의 사양은 헤드폰의 주파수 응답이 107 dB인 것을 제외하면 GSP 600과 같다.

5. GSP 550 개방형 오버이어 스테레오 유선 게이밍 헤드셋

2018년 11월에 GSP 550 게이밍 헤드셋을 출시했다. GSP 550은 GSP 500에 돌비 헤드폰의 가상 7.1 서라운드 기능 및 ON/OFF 스위치를 추가했고, 젠하이저 서라운드 소프트웨어를 통해 서라운드 기능의 세부사항을 조정할 수 있다. GSP 550의 사양은 GSP 500과 같다.

6. GSP 670 밀페형 오버이어 스테레오 무선 게이밍 헤드셋

2019년 7월에 GSP 시리즈의 플래그십 무선 게이밍 헤드셋을 출시했다. GSP 670은 젠하이저의 플래그십 게이밍 헤드셋인 GSP 600의 오디오 성능에 무선 연결 기능을 결합한 새로운 플래그십 게이밍 헤드셋으로 GSP 600의 기능에 윈도우 10에서 사용할 수 있는 채팅 볼륨 휠, 스마트 버튼, 젠하이저 가상 7.1 서라운드 기능을 추가로 탑재했다. 그리고 USB 연결선, 전용 USB 동글, 블루투스 5.0으로 다양한 플랫폼과 연결할 수 있고, GSA 70 동글로 무선 연결 시 최대 16시간, 블루투스로 무선 연결 시 최대 20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젠하이저 게이밍 스위트(Sennheiser Gaming Suite, SGS) 소프트웨어로 사용자가 직접 서라운드 기능의 세부 음질, 이퀄라이저, 사이드 톤, 노이즈 게이트를 포함한 노이즈 감소 기능, 마이크 이퀄라이저를 조정할 수 있고, 헤드셋 및 동글의 펌웨어 업데이트를 할 수 있고, PC, Mac, PS4, Mobile, Tablet에서 사용할 수 있다. GSP 670의 헤드폰 사양은 10 ~ 23,000 Hz, 28 Ω, 112 dB, 전고조파 왜곡 < 0.07%이고, 마이크 사양은 10 ~ 7,300 Hz, 양방향 ECM 픽업 패턴, -47 dBV/Pa이다.

7. GSP 370 밀페형 오버이어 스테레오 무선 게이밍 헤드셋

2019년 12월에 GSP 370 무선 게이밍 헤드셋을 출시했다. GSP 370은 무선 사용 시간을 극대화한 게이밍 헤드셋으로 기존 GSP 시리즈의 디자인 유형에 스플릿 패딩 헤어밴드, 볼 조인트 힌지 시스템, 귀의 윤곽을 고려한 이어 패드,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있는 플립형 붐 마이크, 마이크 플립 음소거 기능, 오디오 볼륨 휠, 젠하이저 가상 7.1 서라운드 기능을 탑재했다. 그리고 USB 연결선, USB 동글로 다양한 플랫폼과 연결할 수 있고, 동글로 무선 연결 시 최대 100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젠하이저 게이밍 스위트 소프트웨어로 GSP 670처럼 세부 사운드 설정을 조정할 수 있고, PC, Mac, PS4, XBOX ONE에서 사용할 수 있다. GSP 370의 헤드폰 사양은 20 ~ 20,000 Hz, 28 Ω, 117 dB, 전고조파 왜곡 < 0.1%이고, 마이크 사양은 10 ~ 6,300 MHz, 단방향 ECM 픽업 패턴, -41 dBV/Pa이다.

○ 이포스 | 젠하이저 GSP 시리즈

2019년 11월에 디만트 A/S가 젠하이저 커뮤니케이션스 A/S의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사업부와 게임용 헤드셋 사업부를 합쳐서 덴마크의 코펜하겐에 이포스 그룹 A/S(EPOS Group A/S)를 설립하고, 2020년 10월부터 게이밍 기어의 브랜드명을 Sennheiser에서 EPOS | Sennheiser로 변경했다. 이포스 | 젠하이저 브랜드로 변경된 게이밍 헤드셋에는 GAME ZERO, GAME ONE, GSP 300, GSP 301, GSP 302, GSP 600, GSP 601, GSP 602, GSP 500, GSP 670, GSP 370이 있다.

○ 이포스 H 시리즈

2020년 10월에 미국 특허상표청이 EPOS 상표를 승인하고 2020년 11월에 디만트 A/S와 젠하이저 일렉트로닉 유한회사가 합작 투자를 종료하면서 2021년부터 EPOS가 개발한 H 시리즈를 출시했다. 헤드셋 디자인은 기존 GSP 시리즈의 디자인에 이포스 그룹 A/S의 북유럽 디자인 감성이 더해져 이전보다 더 세련되고 고급스러운 느낌이다. 참고로 이포스 | 젠하이저가 이포스로 전환될 때 젠하이저 게이밍 스위트 소프트웨어의 명칭이 이포스 게이밍 스위트 소프트웨어로 변경되었고, 젠하이저 가상 7.1 서라운드의 명칭이 이포스 가상 7.1 서라운드로 변경되었다.

1. H3 밀폐형 오버이어 스테레오 유선 게이밍 헤드셋

2021년 4월에 첫 번째 H 시리즈 게이밍 헤드셋을 출시했다. H3은 젠하이저의 사운드 엔지니어링 기술을 기반으로 액션을 강조하는 저음과 선명한 고음을 제공하고, 견고한 스테인리스 스틸 슬라이더에 길이 눈금이 표시되어 있는 조절식 경량 헤어밴드, 모든 얼굴 모양에 맞춰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이어 컵 힌지, 이포스가 개선한 이어 패드,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있는 스튜디오 품질의 플립형 붐 마이크, 마이크 플립 음소거 기능, 오디오 볼륨 휠을 탑재했다. 그리고 이포스 게이밍 스위트 소프트웨어로 사용자가 직접 서라운드 기능의 세부 음질, 이퀄라이저, 사이드 톤, 노이즈 게이트를 포함한 노이즈 감소 기능, 마이크 이퀄라이저를 조정할 수 있고, 헤드셋 및 동글의 펌웨어 업데이트도 할 수 있다. 그리고 PC, Mac OSX, PS4, PS5, XBOX ONE, XBOX X, Nintendo Switch에서 사용할 수 있다. H3의 헤드폰 사양은 20 ~ 20,000 Hz, 25 Ω, 114 dB, 전고조파 왜곡 < 0.6%,이고, 마이크 사양은 10 ~ 18,000 Hz, 양방형 픽업 패턴, -39 dBV/Pa이다.

2. H3 Hybrid 밀폐형 오버이어 스테레오 유무선 게이밍 헤드셋

2021년 9월에 H3 Hybrid 유무선 게이밍 헤드셋을 출시했다. H3 Hybrid는 USB 케이블, 3.5mm 콘솔 케이블, 블루투스 5.2로 두 가지 플랫폼에 동시에 연결할 수 있는 게이밍 헤드셋으로 블루투스로 무선 연결 시 최대 37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고, 3.5mm 콘솔 케이블로 유선 연결 시 최대 24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고, 블루투승와 3.5mm 콘솔 케이블을 동시에 연결하면 최대 19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H3 Hybrid는 H3의 기능에 마그네틱 탈착식 붐 마이크, 이어 컵 커버, 이어 컵 보조 마이크, PC 오디오를 들으면서 스마트폰 통화를 할 수 있는 오디오 믹싱 기능, 이포스 가상 7.1 서라운드 기능을 추가로 탑재했다. 그리고 PC, Mac OSX, PS4, PS5, XBOX ONE, XBOX X, Nintendo Switch, Mobile, Tablet에서 사용할 수 있다. H3 Hybrid의 헤드폰 사양은 20 ~ 20,000 Hz, 116dB, 전고조파 왜곡 < 0.5%이고, 마이크 사양은 100 ~ 7,500 Hz, 양방향 픽업 패턴, -20 dBV/Pa이다.

3. H6PRO 밀폐형/개방형 스테레오 유선 게이밍 헤드셋

2021년 10월에 H 시리즈의 플래그십 유선 게이밍 헤드셋을 출시했다. 밀폐형은 외부 소음을 차단해서 게임에 대한 집중력을 제공하고, 개방형은 이어 패드 내부 열기를 외부로 발산해서 장시간 착용해도 쾌적한 착용감을 제공한다. H6PRO에는 H3 보다 뛰어난 고품질 소재를 사용하고, 마감 품질도 더 높였고, H3의 기능에 마그네틱 탈착식 붐 마이크, 이어 컵 커버를 추가로 탑재했다. 그리고 PC, Mac, PS4, PS5, XBOX ONE, XBOX X, XBOX S, Nintendo Switch, Mobile(유선)에서 사용할 수 있다. 밀폐형 H6PRO의 헤드폰 사양은 20 ~ 20,000 Hz, 28 Ω, 117 dB, 전고조파 왜곡 < 0.7%이고, 마이크 사양은 100 ~ 10,000 Hz, 양방향 픽업 패턴, -35 dBV/Pa이다.

4. H3PRO Hybird 밀페형 스테레오 무선 게이밍 헤드셋

2021년 11월에 H 시리즈의 플래그십 무선 게이밍 헤드셋을 출시했다. H3PRO Hybrid는 USB 케이블, USB 전용 동글, 콘솔 케이블, 블루스 5.2로 두 가지 플랫폼에 동시에 연결할 수 있는 플래그십 게이밍 헤드셋으로 블루투스로 무선 연결 시 최대 38 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고, 전용 동글로 무선 연결 시 최대 30 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고, 3.5mm 콘솔 케이블로 유선 연결 시 최대 29 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H3PRO Hybrid는 H3 Hybrid의 기능에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 전용 동글 연결 방식, USB 연장 케이블을 추가로 탑재했다. 그리고 PC, Mac, PS4, PS5, XBOX ONE, XBOX X, XBOX S, Nintendo Switch, Mobile에서 사용할 수 있다. H3PRO Hybrid의 헤드폰 사양은 20 ~ 20,000 Hz, 32 Ω, 116 dB, 전고조파 왜곡 < 0.35%이고, 마이크 사양은 100 ~ 7,500 Hz, 양방향 픽업 패턴, -20 dBFS / Pa이다.

EPOS Gaming Headset 수입사

연도연혁
1984젠하이저가 고일상사와 한국 수입 계약을 체결했다.
1988젠하이저가 대경음향㈜과 한국 수입 계약을 체결했다.
1994고일상사가 고일상사 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했다.
1996대경음향㈜이 ㈜대경바스컴으로 상호를 변경했다.
2009젠하이저가 케이원에이브이㈜와 한국 수입 계약을 체결했다.
2009.11젠하이저가 SDF인터내셔널과 한국 수입 계약을 체결했다.
2009.11SDF 인터내셔널이 젠하이저 소비자용 제품의 A/S를 담당한다고 했다.
2009.12젠하이저가 필스전자㈜와 한국 수입 계약을 체결했다.
2010.03젠하이저가 ㈜싱크로드코리아와 한국 수입 계약을 체결했다.
2010.04젠하이저가 공식 한국어 사이트를 개설했다.
2010.04젠하이저가 대경바스컴과 헤드폰 및 이어폰에 대한 한국 수입 계약을 해지했다.
2010.04케이원에이브이㈜가 기존 젠하이저 소비자용 제품의 A/S를 담당한다고 했다.
2014.06고일상사 주식회사가 ㈜고일로 상호를 변경했다.
2014.08젠하이저가 한국에 마케팅 및 서비스 센터 운영을 담당하는 젠하이저 코리아를 설립했다.
2014.08젠하이저 소비자용 제품의 A/S를 케이원에이브이㈜에서 젠하이저 코리아로 이관했다.
2020.03EPOS가 필스전자㈜와 게이밍 헤드셋에 대한 한국 수입 계약을 체결했다.
2020.03젠하이저 게이밍 헤드셋 A/S를 젠하이저 코리아에서 필스전자㈜로 이관했다.

1984년에 고일상사가 젠하이저 프로 음향장비 수입을 시작했고, 1988년에 대경음향㈜이 젠하이저 일반 음향기기 수입을 시작했다. 2000년대에 들어서 디지털 음악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젠하이저 브랜드의 가짜 장비가 난립하자 젠하이저가 한국 시장에서 가짜 장비를 근절하고 점유율을 확대하기 위해 2009년부터 다수의 업체와 헤드폰 및 이어폰에 대한 수입 계약을 체결했다. 2021년 기준에서 젠하이저 프로 음향장비는 ㈜고일, ㈜대경바스컴이 수입하고, 젠하이저 헤드폰 및 이어폰은 젠하이저 코리아, ㈜싱크로드코리아가 수입하고, 이포스 및 이포스 | 젠하이저 게이밍 헤드셋은 필스전자㈜가 수입하고 있다.

EPOS Sennheiser GSP 670 Wireless Gaming Headset 비교

이포스 젠하이저 GSP 670 무선 게이밍 헤드셋을 같은 제조사의 다른 제품과 비교하면 이포스 젠하이저 GSP 670 무선 게이밍 헤드셋이 지닌 강점과 약점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다만 음질은 헤드셋 형태, 헤드셋 착용 방식, 부품의 품질, DSP 성능, 프로세서 튜닝 수준, 출력의 안정성, 무선 통신 방식, 무선 통신 품질, 드라이버 작동 방식, 사용자 환경 등 무수히 많은 요소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헤드셋 사양만으로 음질을 추정할 수 없다.

○ GSP 밀폐형 무선 헤드셋과 사양 비교

1. GSP 670과 GSP 370의 헤드셋 사양 비교

브랜드EPOS|SennheiserEPOS|Sennheiser
시리즈GSPGSP
모델명370670
출시일2019.122019.07
제조국중국중국
헤드셋 형태ClosedClosed
이어 패드 타입Over EarOver Ear
드라이버 타입DynamicDynamic
드라이버 재질Neodymium MagnetNeodymium Magnet
드라이버 크기40 mm(비공개)
주파수 응답20 – 20,000 Hz10 – 23,000 Hz
임피던스28 Ω28 Ω
전고조파 왜곡< 1.0 %< 0.07 % (1 kHz / 94 dB)
음압 레벨117 dB SPL112 dB SPL
무선 연결2.4 GHz Low-latency Dongle1. 2.4 GHz Low-latency Dongle
2. Bluetooth 5.0 Class 1
블루투스 코덱SBC
aptX
aptX Low Latency
AAC
SBC
aptX
aptX Low Latency
AAC
GSA 동글 무선 연결 범위최대 10 m최대 10 m
블루투스 무선 연결 범위최대 20 m
무선 연결 기능Dual connectivity
배터리 형태Built-inBuilt-in
배터리 종류Lithium PolymerLithium Polymer
배터리 용량530 mAh335 mAh
배터리 전압3.7 V3.7 V
배터리 사용시간
(Bluetooth)
최대 20 시간
배터리 사용시간
(USB dongle)
최대 100 시간최대 16 시간
배터리 충전시간1 시간1.2 시간
배터리 급속충전5분 충전 시 최대 10시간7분 충전 시 최대 2시간
배터리 대기시간(정보 없음)최대 200 시간
유선 연결USB 케이블USB 케이블
케이블 길이USB 케이블 1.5 m1. USB 케이블 1.5 m
2. USB 연장 케이블 1.2 m
호환성PC
Mac
PS4
PS5
PC
Mac
PS4
PS5
Mobile
Tablet
전화 통화불가능가능
너비200 mm190 mm
높이180 mm180 mm
80 mm80 mm
무게285 g398 g
재질플라스틱
메쉬 천
벨벳 천
인조 가죽
합성 섬유
메모리 폼
플라스틱
메탈
메쉬 천
벨벳 천
인조 가죽
합성 섬유
메모리 폼
색상BlackBlack
기능헤어밴드 길이 조절
마이크 플립 음소거
오디오 볼륨 휠
헤어밴드 길이 조절
마이크 플립 음소거
오디오 볼륨 휠
채팅 볼륨 휠
스마트 버튼
소프트웨어Gaming SuiteGaming Suite
소프트웨어 요구사양Windows 10Windows 10
소프트웨어 기능가상 서라운드
이퀄라이저
마이크 설정
가상 서라운드
이퀄라이저
마이크 설정
서라운드Virtual 7.1 surround (Only PC)Virtual 7.1 surround (Only PC)
작동 온도0 – 40 °C0 – 40 °C
작동 습도10 – 80 %10 – 80 %
보증 기간2년2년
구성품1. 헤드셋
2. 전용 동글
3. USB-A to Micro USB 케이블
1. 헤드셋
2. 전용 동글
3. USB-A to Micro USB 케이블
4. USB 연장 케이블
출시가 (미국)$ 199.00$ 319.00
출시가 (한국)249,000 원449,000 원
최저가185,000 원 (2021.12)
196,000 원 (2022.03)
단종 (2022.08)
218,000 원 (2021.12)
191,000 원 (2022.03)
180,000 원 (2022.08)

GSP 370은 GSP 670 보다 배터리 용량이 약 58.2% 더 크고, 배터리 사용 시간이 약 525% 더 길고, 무게가 약 28.4% 더 가볍다. 하지만 블루투스를 지원하지 않아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에 연결할 수 없고, 채팅 볼륨 휠 및 스마트 버튼이 없다.

GSP 670은 블루투스를 지원해서 스마트폰과 태블릿에 연결할 수 있고, PC에서 마이크 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 채팅 볼륨 휠을 지원하고,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기능을 실행하는 스마트 버튼을 지원하고, PC에 동글로 연결하고 스마트폰에 블루투스로 연결한 경우 PC 게임 오디오를 듣다가 전화가 걸려오면 게임 오디오를 중단하고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고 통과가 끝나면 다시 게임 오디오에 연결할 수 있다. 하지만 GSP 370에 비해 배터리 용량이 작고 배터리 사용 시간이 매우 짧다.

2. GSP 670과 GSP 370의 마이크 사양 비교

마이크 타입BoomBoom
마이크 작동FlipFlip
마이크 기술ECMECM
마이크 픽업 패턴Uni-directionalBi-directional
마이크 주파수 응답100 – 6,300 Hz10 – 7,300 Hz
마이크 감도-41 dBV/Pa-47 dBV/Pa
마이크 기능Noise CancelingNoise Canceling

○ GSP 밀폐형 유선 헤드셋과 사양 비교

1. GSP 670과 GSP 600의 헤드셋 사양 비교

브랜드EPOS|SennheiserEPOS|Sennheiser
시리즈GSPGSP
모델명600 601 602670
출시일2018.032019.07
제조국중국중국
헤드셋 형태ClosedClosed
이어 패드 타입Over EarOver Ear
드라이버 타입DynamicDynamic
드라이버 재질Neodymium MagnetNeodymium Magnet
드라이버 크기50 mm(비공개)
주파수 응답10 – 30,000 Hz10 – 23,000 Hz
임피던스28 Ω28 Ω
전고조파 왜곡(정보 없음)< 0.07 % (1 kHz / 94 dB)
음압 레벨112 dB SPL112 dB SPL
무선 연결1. 2.4 GHz Low-latency Dongle
2. Bluetooth 5.0 Class 1
블루투스 코덱SBC
aptX
aptX Low Latency
AAC
GSA 동글 무선 연결 범위최대 10 m
블루투스 무선 연결 범위최대 20 m
무선 연결 기능 Dual connectivity
배터리 형태Built-in
배터리 종류Lithium Polymer
배터리 용량335 mAh
배터리 전압3.7 V
배터리 사용시간
(Bluetooth)
최대 20 시간
배터리 사용시간
(USB dongle)
최대 16 시간
배터리 충전시간1.2 시간
배터리 급속충전7분 충전 시 최대 2시간
배터리 대기시간최대 200 시간
유선 연결1. 3.5mm PC 케이블
2. 3.5mm 콘솔 케이블
USB 케이블
케이블 길이1. 3.5mm PC 케이블 2.5 m
2. 3.5mm 콘솔 케이블 1.5m
1. USB 케이블 1.5 m
2. USB 연장 케이블 1.2 m
호환성PC
Mac
PS4
PS5
XBOX ONE
XBOX X
Switch
PC
Mac
PS4
PS5
Mobile
Tablet
전화 통화제한 가능 (3.5mm Port Devices)가능
너비190 mm190 mm
높이165 mm180 mm
80 mm80 mm
무게395 g398 g
재질플라스틱
메탈
메쉬 천
벨벳 천
인조 가죽
합성 섬유
메모리 폼
플라스틱
메탈
메쉬 천
벨벳 천
인조 가죽
합성 섬유
메모리 폼
색상Black/Red
White/Black
Blue/Black
Black
기능헤어밴드 길이 조절
마이크 플립 음소거
오디오 볼륨 휠
헤어밴드 길이 조절
마이크 플립 음소거
오디오 볼륨 휠
채팅 볼륨 휠
스마트 버튼
소프트웨어Gaming Suite
소프트웨어 요구사양Windows 10
소프트웨어 기능가상 서라운드
이퀄라이저
마이크 설정
서라운드미지원Virtual 7.1 surround (Only PC)
작동 온도0 – 40 °C0 – 40 °C
작동 습도10 – 80 %10 – 80 %
보증 기간2년2년
구성품1. 헤드셋
2. 3.5mm PC 오디오와 마이크 통합 케이블
3. 3.5mm 콘솔 케이블
1. 헤드셋
2. 전용 동글
3. USB-A to Micro USB 케이블
4. USB 연장 케이블
출시가 (미국)$ 249.95$ 319.00
출시가 (한국)345,000 원449,000 원
최저가159,500 원 (2021.12)
156,000 원 (2022.03)
142,000 원 (2022.08)
218,000 원 (2021.12)
191,000 원 (2022.03)
180,000 원 (2022.08)

GSP 600은 XBOX ONE, XBOX X, 닌텐도 스위치를 지원한다. 하지만 블루투스를 지원하지 않아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에 연결할 수 없고, 전용 동글을 지원하지 않아서 PC에서 게이밍 스위트 소프트웨어로 가상 7.1 서라운드 기능을 사용할 수 없고, 채팅 볼륨 휠 및 스마트 버튼이 없다.

GSP 670은 블루투스 연결을 지원해서 스마트폰과 태블릿에 연결할 수 있고, 전용 동글로 PC에서 게이밍 스위트 소프트웨어로 가상 7.1 서라운드 기능을 사용할 수 있고, PC에서 마이크 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 채팅 볼륨 휠을 지원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스마트 버튼을 지원하고, PC에 동글로 연결하고 스마트폰에 블루투스로 연결한 경우 PC 게임 오디오를 듣다가 전화가 걸려오면 게임 오디오를 중단하고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고 통과가 끝나면 다시 게임 오디오에 연결할 수 있다. 하지만 XBOX ONE, XBOX X, 닌텐도 스위치를 지원하지 않는다.

2. GSP 670과 GSP 600의 마이크 사양 비교

마이크 타입BoomBoom
마이크 작동FlipFlip
마이크 기술ECMECM
마이크 픽업 패턴Uni-directionalBi-directional
마이크 주파수 응답10 – 18,000 Hz10 – 7,300 Hz
마이크 감도-47 dBV/Pa-47 dBV/Pa
마이크 기능Noise CancelingNoise Canceling

○ 이포스 밀폐형 유선 헤드셋과 사양 비교

1. GSP 670과 H6PRO의 헤드셋 사양 비교

브랜드EPOSEPOS|Sennheiser
시리즈H6GSP
모델명PRO670
출시일2021.102019.07
제조국중국중국
헤드셋 형태ClosedClosed
이어 패드 타입Over EarOver Ear
드라이버 타입DynamicDynamic
드라이버 재질Neodymium MagnetNeodymium Magnet
드라이버 크기42 mm(비공개)
주파수 응답20 – 20,000 Hz10 – 23,000 Hz
임피던스28 Ω28 Ω
전고조파 왜곡< 0.7%< 0.07 % (1 kHz / 94 dB)
음압 레벨117 dB SPL112 dB SPL
무선 연결1. 2.4 GHz Low-latency Dongle
2. Bluetooth 5.0 Class 1
블루투스 코덱SBC
aptX
aptX Low Latency
AAC
Sennheiser
GSA 동글 무선 연결 범위최대 10 m
블루투스 무선 연결 범위최대 20 m
무선 연결 기능Dual connectivity
배터리 형태Built-in
배터리 종류Lithium Polymer
배터리 용량335 mAh
배터리 전압3.7 V
배터리 사용시간
(Bluetooth)
최대 20 시간
배터리 사용시간
(USB dongle)
최대 16 시간
배터리 충전시간1.2 시간
배터리 급속충전7분 충전 시 최대 2시간
배터리 대기시간최대 200 시간
유선 연결1. 3.5mm PC 케이블
2. 3.5mm 콘솔 케이블
USB 케이블
케이블 길이1. 3.5mm PC 케이블 2.5 m
2. 3.5mm 콘솔 케이블 1.4m
1. USB 케이블 1.5 m
2. USB 연장 케이블 1.2 m
호환성PC
Mac
PS4
PS5
XBOX ONE
XBOX X
Switch
Mobile
PC
Mac
PS4
PS5
Mobile
Tablet
전화 통화제한 가능
(3.5mm Port Devices)
가능
너비185 mm190 mm
높이190 mm180 mm
85 mm80 mm
무게322 g398 g
재질플라스틱
메탈
메쉬 천
벨벳 천
인조 가죽
합성 섬유
메모리 폼
플라스틱
메탈
메쉬 천
벨벳 천
인조 가죽
합성 섬유
메모리 폼
색상Black
White
Green
Black
기능헤이밴드 길이 조절
마이크 플립 음소거
오디오 볼륨 휠
스마트 버튼
탈착식 붐 마이크
헤어밴드 길이 조절
마이크 플립 음소거
오디오 볼륨 휠
채팅 볼륨 휠
스마트 버튼  
소프트웨어Gaming Suite
소프트웨어 요구사양Windows 10
소프트웨어 기능가상 서라운드
이퀄라이저
마이크 설정
서라운드Virtual 7.1 surround (Only PC)
작동 온도0 – 40 °C0 – 40 °C
작동 습도10 – 80 %10 – 80 %
보증 기간2 년2년
구성품1. 헤드셋
2. 3.5mm PC 오디오와 마이크 통합 케이블
3. 3.5mm 콘솔 케이블
4. 휠 커버
1. 헤드셋
2. 전용 동글
3. USB-A to Micro USB 케이블
4. USB 연장 케이블
출시가 (미국)$ 179.00$ 319.00
출시가 (한국)249,000 원449,000 원
최저가196,000 원 (2021.12)
222,000 원 (2022.03)
200,000 원 (2022.08)
218,000 원 (2021.12)
191,000 원 (2022.03)
180,000 원 (2022.08)

H6PRO는 GSP 670보다 무게가 약 19.1% 더 가볍고, 붐 마이크를 탈착 할 수 있고, 붐 마이크 탈착 시 휠 커버를 부착해서 붐 마이크 연결 포트를 가릴 수 있고, XBOX ONE, XBOX X, 닌텐도 스위치를 지원한다. 하지만 3.5mm PC 오디오와 마이크 통합 케이블과 3.5mm 콘솔 케이블로 유선 연결만 지원하고, PC에서 게이밍 스위트 소프트웨어로 가상 7.1 서라운드 기능을 사용할 수 없고, 스마트폰은 3.5mm 케이블로 연결할 때만 지원하고, 채팅 볼륨 휠이 없다.

GSP 670은 블루투스 연결을 지원해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에 연결할 수 있고, 전용 동글로 PC에서 게이밍 스위트 소프트웨어로 가상 7.1 서라운드 기능을 사용할 수 있고, PC에서 마이크 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 채팅 볼륨 휠을 지원하고, PC에 동글로 연결하고 스마트폰에 블루투스로 연결한 경우 PC 게임 오디오를 듣다가 전화가 걸려오면 게임 오디오를 중단하고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고 통과가 끝나면 다시 게임 오디오에 연결할 수 있다. 하지만 붐 마이크가 탈착식이 아니고, XBOX ONE, XBOX X, 닌텐도 스위치를 지원하지 않는다.

2. GSP 670과 H6PRO의 마이크 사양 비교

마이크 타입BoomBoom
마이크 작동Flip DetachableFlip
마이크 기술ECMECM
마이크 픽업 패턴Bi-directionalBi-directional
마이크 주파수 응답10 – 10,000 Hz10 – 7,300 Hz
마이크 감도-35 dBV/Pa-47 dBV/Pa
마이크 기능Noise CancelingNoise Canceling

○ 이포스 밀폐형 무선 헤드셋과 사양 비교

1. GSP 670과 H3PRO Hybrid의 헤드셋 사양 비교

브랜드EPOSEPOS|Sennheiser
시리즈H3GSP
모델명PRO Hybrid (해외)
PRO (한국)
670
출시일2021.112019.07
제조국중국중국
헤드셋 형태ClosedClosed
이어 패드 타입Over EarOver Ear
드라이버 타입DynamicDynamic
드라이버 재질Neodymium MagnetNeodymium Magnet
드라이버 크기40 mm(비공개)
주파수 응답20 – 20,000 Hz10 – 23,000 Hz
임피던스32 Ω28 Ω
전고조파 왜곡< 0.35% (1 kHz / 0dBFS)< 0.07 % (1 kHz / 94 dB)
음압 레벨116 dB SPL112 dB SPL
무선 연결1. 2.4 GHz Low-latency Dongle
2. Bluetooth 5.2 Class 1
1. 2.4 GHz Low-latency Dongle
2. Bluetooth 5.0 Class 1
블루투스 코덱SBCSBC
aptX
aptX Low Latency
AAC
GSA 동글 무선 연결 범위(미공개)최대 10 m
블루투스 무선 연결 범위최대 20 m최대 20 m
무선 연결 기능Dual connectivityDual connectivity
배터리 형태Built-inBuilt-in
배터리 종류Lithium PolymerLithium Polymer
배터리 용량(비공개)335 mAh
배터리 전압(비공개)3.7 V
배터리 사용시간
(Bluetooth)
최대 38 시간최대 20 시간
배터리 사용시간
(Bluetooth + ANC ON)
최대 22 시간
배터리 사용시간
(USB dongle)
최대 30 시간최대 16 시간
배터리 사용시간
(USB dongle + ANC ON)
최대 19 시간
배터리 사용시간
(3.5mm 케이블)
최대 29 시간
배터리 사용시간
(3.5mm 케이블 + ANC ON)
최대 18.5 시간
배터리 충전시간2 시간1.2 시간
배터리 급속충전(비공개)7분 충전 시 최대 2시간
배터리 대기시간(비공개)최대 200 시간
유선 연결1. USB 케이블
2. 3.5mm 콘솔 케이블
USB 케이블
케이블 길이1. USB 케이블 2 m
2. 콘솔 케이블 1.5 m
3. USB 연장 케이블 1.2 m
1. USB 케이블 1.5 m
2. USB 연장 케이블 1.2 m
호환성PC
Mac
PS4
PS5
XBOX ONE
XBOX X
Switch
Mobile
Tablet
PC
Mac
PS4
PS5
Mobile
Tablet
전화 통화가능가능
너비183 mm190 mm
높이176 mm180 mm
90 mm80 mm
무게308 g398 g
재질플라스틱
메탈
메쉬 천
벨벳 천
인조 가죽
합성 섬유
메모리 폼
플라스틱
메탈
메쉬 천
벨벳 천
인조 가죽
합성 섬유
메모리 폼
색상BlackBlack
기능헤어밴드 길이 조절
마이크 플립 음소거
오디오 볼륨 휠
스마트 버튼
탈착식 붐 마이크
보조 마이크
오디오 믹싱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
헤어밴드 길이 조절
마이크 플립 음소거
오디오 볼륨 휠
채팅 볼륨 휠
스마트 버튼
소프트웨어Gaming SuiteGaming Suite
소프트웨어 요구사양Windows 10Windows 10
소프트웨어 기능가상 서라운드
이퀄라이저
마이크 설정
가상 서라운드
이퀄라이저
마이크 설정
서라운드Virtual 7.1 surround (Only PC)Virtual 7.1 surround (Only PC)
작동 온도0 – 40 °C0 – 40 °C
작동 습도(정보 없음)10 – 80 %
보증 기간2년2년
구성품1. 헤드셋
2. 전용 동글
3. USB-A to USB-C 케이블
4. USB 연장 케이블
5. 3.5mm 콘솔 케이블
6. 휠 커버
1. 헤드셋
2. 전용 동글
3. USB-A to Micro USB 케이블
4. USB 연장 케이블
출시가 (미국)$ 279.00$ 319.00
출시가 (한국)356,000 원449,000 원
최저가356,000 원 (2021.12)
356,000 원 (2022.03)
259,000 원 (2022.08)
218,000 원 (2021.12)
191,000 원 (2022.03)
180,000 원 (2022.08)

H3PRO 하이브리드는 GSP 670보다 무선 연결 시 배터리 사용 시간이 약 90% 더 길고, 무게는 약 22% 더 가볍다. 그리고 붐 마이크를 탈착할 수 있고, 붐 마이크 탈착 시 휠 커버를 부착해서 붐 마이크 연결 포트를 가릴 수 있고, 보조 마이크로 대화를 할 수 있다. 그리고 PC에 USB-C to USB-A 케이블을 연결해서 게이밍 스위트 소프트웨어로 가상 7.1 서라운드 기능을 사용할 수 있고, 3.5mm 콘솔 케이블로 XBOX ONE, XBOX X, 닌텐도 스위치에 연결할 수 있고, 블루투스를 지원해서 PC에 USB 케이블을 연결하고 스마트폰에 블루투스를 연결한 경우 PC 게임 오디오를 듣다가 전화가 걸려왔을 때 게임 오디오를 듣는 동시에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젠하이저, 이포스 | 젠하이저, 이포스 게이밍 헤드셋 중에서 처음으로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을 지원한다. 하지만 무선 연결 뿐만 아니라 유선 연결 시에도 항상 배터리를 소모하고, 블루투스 연결 시 SBC 코덱만 지원한다.

GSP 670은 PC에서 마이크 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 채팅 볼륨 휠을 지원하고, 블루투스 연결 시 apt-X, apt-X Low Latency, AAC 코덱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H3PRO 하이브리드에 비해 배터리 사용 시간이 짧고, 붐 마이크가 탈착식이 아니고, XBOX ONE, XBOX X, 닌텐도 스위치를 지원하지 않고, PC와 스마트폰에 동시 연결을 했을 때 PC 게임의 오디오를 들으면서 동시에 통화를 할 수 없고,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을 지원하지 않는다.

2. GSP 670과 H3PRO Hybrid의 마이크 사양 비교

마이크 타입BoomBoom
마이크 작동Flip DetachableFlip
마이크 기술ECMECM
마이크 픽업 패턴Bi-directionalBi-directional
마이크 주파수 응답100 – 7,500 Hz10 – 7,300 Hz
마이크 감도-20 dB FS/Pa-47 dBV/Pa
마이크 기능Noise CancelingNoise Canceling

EPOS Sennheiser GSP 670 Wireless Gaming Headset 비교 결과

이포스 젠하이저 밀폐형 게이밍 헤드셋 GSP 670을 GSP 670보다 약 5개월 뒤에 출시한 무선 헤드셋인 GSP 370, GSP 670보다 약 1년 먼저 출시한 플래그십 유선 헤드셋인 GSP 600, 젠하이저 커뮤니케이션스 A/S가 아니라 이포스에서 개발하고 GSP 670 보다 약 2년 뒤에 출시한 플래그십 유선 헤드셋인 H6PRO, 플래그십 무선 헤드셋인 H3PRO와 비교했다.

○ 이포스 젠하이저 GSP 670의 강점

– 전용 동글을 사용하면 블루투스의 AptX LL을 사용할 때보다 총 지연 시간이 더 짧다. (GSP370, H3PRO Hybrid와 동급)
– PC에서 게이밍 스위트 소프트웨어로 이포스 가상 7.1 서라운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GSP 370, H3 Hybrid, H3PRO Hybrid와 동급)
– 전고조파 왜곡이 0.07% 미만으로 가장 낮다.
– 윈도우10에서 사용할 수 있는 채팅 볼륨 휠을 지원한다.
– 스마트폰과 태블릿을 모두 지원한다. (H3PRO Hybrid와 동급)
– 블루투스 무선 연결로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다. (H3PRO Hybrid와 동급)
– 게임 사운드를 듣다가 통화를 할 수 있다.
– 블루투스 연결 시 SBC, apt-X, apt-X Low Latency, AAC 코덱을 사용할 수 있다. (GSP 370과 동급)

○ 이포스 젠하이저 GSP 670의 약점

– 무게가 가장 무겁다.
–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이 없다. (H3PRO Hybrid에서 지원함)
– 붐 마이크를 탈착 할 수 없다. (H6PRO, H3PRO Hybrid에서 지원함)
– 배터리 사용 시간이 전용 동글 연결 시 최대 16시간으로 짧다.
– 게임 오디오를 들으면서 동시에 통화를 할 수 없다. (H3 Hybrid, H3PRO Hybrid에서 지원함)
– 전용 동글이나 블루투스로 음악 감상 시 유선 연결보다 음질이 나쁘다. (블루투스 통신으로 인한 인코딩 열화)
– 블루투스의 버전이 5.0 버전이다. (H3 Hybrid, H3PRO Hybrid는 블루투스 5.2 버전이다)
– 헤드폰 USB 슬롯이 USB-C가 아니라 Micro USB이다. (H3 Hybrid, H3PRO Hybrid는 USB-C 슬롯이다)
– XBOX ONE, XBOX X, XBOX S, 닌텐도 스위치를 지원하지 않는다.

관련 글

최종 업데이트: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