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프레임 카메라나 크롭 센서 카메라로 현장 느낌을 기록하거나 피사체가 걸어가는 장면을 촬영하려면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해서 촬영을 미루거나 하지 않던 차에 액션캠으로 촬영하면 어떨까 싶었고 고심 끝에 DJI 액션 2 듀얼 스크린 콤보 액션캠을 구매했다. DJI 액션 2 듀얼 스크린 콤보 액션캠을 사용한 후기를 기록하기 위해 DJI Action 2 듀얼 스크린 콤보 액션캠 사용 후기 – 1부 사양 및 배터리 테스트를 작성했다.
주의사항 1. 2022년 6월 24일에 DJI Action 2 Dual Screen Combo를 443,100원에 구매했다. 2. DJI 액션 2의 렌즈와 터치스크린에 액정보호필름이 부착하고 촬영했다. 3. 개인적인 경험과 웹상의 정보를 종합해서 작성했기 때문에 사실과 다른 정보가 있을 수도 있다.
목차
○ 1부
- 액션캠 용도
- 액션캠 비교
- DJI Action 2 듀얼 스크린 콤보 액션캠 사양
- DJI Action 2 듀얼 스크린 콤보 액션캠 개봉
- DJI Action 2 듀얼 스크린 콤보 액션캠 디자인
- DJI Action 2 듀얼 스크린 콤보 액션캠 배터리 성능
○ 2부
- DJI Action 2 듀얼 스크린 콤보 촬영 테스트 방법
- DJI Action 2 듀얼 스크린 콤보 액션캠 영상 성능
- DJI Action 2 듀얼 스크린 콤보 액션캠 사진 성능
- DJI Action 2 듀얼 스크린 콤보 액션캠 소감
○ 3부
- DJI Action 2 듀얼 스크린 콤보 액션캠 방수 케이스 사양
- DJI Action 2 듀얼 스크린 콤보 액션캠 방수 케이스 개봉
- DJI Action 2 듀얼 스크린 콤보 액션캠 방수 케이스 디자인
- DJI Action 2 듀얼 스크린 콤보 액션캠 방수 케이스 사용 설정
- DJI Action 2 듀얼 스크린 콤보 액션캠 방수 케이스 촬영
- DJI Action 2 듀얼 스크린 콤보 액션캠 방수 케이스 소감
액션캠 용도
액션캠은 보트, 자전거, 오토바이, 자동차, 수영, 달리기 등 야외에서 일반적인 카메라로 촬영하기 어려운 장면을 짧게 촬영하는 데 특화된 특수 목적용 영상 카메라이다. 강력한 손떨림 보정 기능으로 동적인 장면을 흔들림 없이 기록할 수 있고, 모든 활동에 적합하도록 크기가 작고 무게가 가볍고 다양한 브래킷을 지원한다.
하지만 제품 크기가 작은 만큼 발열이 심해서 연속 촬영 시 기기 과열로 촬영이 중단될 수 있고, 배터리 용량이 작아서 총촬영 시간이 짧다. 그리고 센서 크기가 작아서 최고급 스마트폰보다 화질이 떨어질 수 있고, 빛이 부족한 환경에서 촬영한 결과물은 형편없는 수준이다. 그래서 걸으면서 촬영하거나 활동적인 모습을 촬영하거나 셀프 촬영을 하거나 사소한 부분을 신경 쓰지 않고 영상 촬영에만 집중하고 싶은 게 아니라면 액션캠보다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게 낫다.
토미집은 여행지나 카페에서 보다 자연스러운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DJI 액션 2를 구매했다. 최고급 스마트폰은 일반적으로 크기가 커서 영상 촬영 시 흔들림을 줄이기 위해 양손으로 스마트폰을 잡아야 하고, 방향 전환 시 상체를 돌려야 해서 촬영 동작이 크고, 촬영 버튼을 누를 때마다 소리가 발생해서 이목이 쏠리기 쉬운데 DJI 액션 2는 한 손으로 켜고 촬영할 수 있고, 방향 전환 시 손목만 돌리면 되고, 촬영 버튼을 눌려도 소리가 나지 않아서 촬영이 필요할 때마다 자연스러운 장면을 담을 수 있다. 그리고 셀프 촬영을 할 때도 스마트폰은 후면에 디스플레이가 없어서 후면 메인 카메라를 사용하려면 어려움이 많은데 액션캠은 전후면에 디스플레이가 있어서 화면을 보면서 메인 카메라로 촬영할 수 있다.
액션캠 비교
○ 사양 비교
1인치 센서를 적용한 제품, 업계에서 유명한 제품을 비교했다.
브랜드 | Insta360 | DJI | GoPro | Sony |
시리즈 | ONE RS 1-inch | Action 2 (모듈 장착 기준) | HERO10 | RX0 II |
출시일 | 2022.04 | 2021.11 | 2019.09 | 2019.04 |
무게 | 163g | 120g | 158g | 132g |
센서 크기 | 1인치 | 1/1.7인치 | 1/2.3인치 (6.17 x 4.55mm) | 1인치 (13.2 x 8.8mm) |
화소수 | 1880만 화소 (추정) | 1200만 화소 (추정) | 2300만 화소 | 1530만 화소 |
조리개 | F3.2 | F2.8 | F2.8 | F4.0 |
셔터스피드 | 1 / 8000 | 1 / 8000 | 1 / 2000 | 1 / 32000 |
ISO | 100 ~ 3200 | 100 ~ 6400 | 100 ~ 6400 | 125 ~ 12800 |
렌즈 화각 (35mm 환산) | 14.4mm | 12.7mm | 16mm | 24mm |
최소 초점 거리 | 90cm | 30cm | (비공개) | 20cm |
초점 종류 | (비공개) | (비공개) | (비공개) | 콘트라스트 AF |
초점 기능 | – | – | 얼굴 인식 | 얼굴 인식 |
손떨림 보정 | 전자식 | 전자식 | 전자식 | 전자식 |
이미지 포맷 | JPEG, RAW | JPEG, RAW | JPEG, RAW | JPEG, RAW |
이미지 해상도 | 5312 x 3552 | 4000 x 3000 | (비공개) | 4800 x 3200 |
이미지 기능 | HDR | – | HDR | – |
5.3K 영상 해상도 | 5472 x 2328 30 프레임 | – | 5472 x 2328 60 프레임 | – |
4K 영상 해상도 | 3840 x 2160 60 프레임 | 3840 x 2160 120 프레임 | 3840 x 2160 120 프레임 | 3840 x 2160 30 프레임 |
FHD 영상 해상도 | 1920 x 1080 60 프레임 | 1920 x 1080 120 프레임 | 1920 x 1080 120 프레임 | 1920 x 1080 120 프레임 |
슬로 모션 해상도 | 1920 x 1080 120 프레임 | 1920 x 1080 240 프레임 | 1920 x 1080 240 프레임 | 1136 x 384 960 프레임 |
영상 압축 | H.265 | H.264 | H.264 | H.264 |
영상 기능 | 타임랩스 | 타임랩스 | HDR 타임랩스 | 타임랩스 |
영상 로그 컬러모드 | Log | – | – | S-Log2 |
마이크 개수 | 3개 | 4개 | (비공개) | 2개 |
마이크 기능 | 바람 감소, 방향감 향상 | 방향감 향상 | – | – |
오디오 채널 | 2 채널 | 2 채널 | (비공개) | 2 채널 |
오디오 포맷 | AAC | AAC | AAC | 돌비 디지털 AC3 |
디스플레이 크기 | 1.3 인치 | 1.76 인치 | 1.4 인치 | 1.5 인치 |
와이파이 | 802.11ac | 802.11ac | (비공개) | 802.11n |
블루투스 | v 5.0 | v 5.0 | (비공개) | v 4.1 |
작동 온도 | -20 ~ 40℃ | 0 ~ 40℃ | (비공개) | 0 ~ 40℃ |
방수 | 보호 브래킷 장착 시 지원 (IPX8, 5m) | 카메라 모듈만 지원 (10m) | 지원 (10m) | 지원 (IPX8, 10m) |
방진 | – | 지원 | – | 지원 (IP6X) |
내진 | – | – | – | 지원 (2.0m) |
방충 | – | – | – | 지원 (200kgf) |
저장매체 | Micro SD (1TB) | Micro SD (256GB) | Micro SD (512GB) | Micro SD |
배터리 타입 | 교체형 | 내장형 | 교체형 | 교체형 |
연속 촬영 시간 | 84분 | 거의 모든 기능을 다 끄고 160분 | (비공개) | 29분 |
실제 연속 촬영 시간 | 30분 이하 | 25분 이하 | 20분 이하 | – |
충전 시간 | 70분 | 90분 | (비공개) | (비공개) |
너비 | 78.7mm | 39.0mm | 71.8mm | 59.0mm |
높이 | 55.7mm | 80.6mm | 50.8mm | 40.5mm |
깊이 | 47.2mm | 24.6mm | 33.6mm | 35.0mm |
소비자 가격 | 719,000원 | 636,000원 | 703,000원 | 749,000원 |
최저가 | 719,000원 | 443,100원 | 459,000원 | 일시품절 |
22.08.24 최저가 | 719,000원 | 381,600원 (기간 한정 특가) | 459,000원 | 750,000원 |
추가 배터리 | 39,800원 | – | 27,000원 | 55,000원 |
대형 배터리 모듈 | – | 79,000원 | 170,000원 | – |
필터 후드 어댑터 | – | – | – | 179,000원 |
렌즈 프로텍터 | – | 19,900원 | – | 119,000원 |
매크로 렌즈 | – | 79,000원 | – | – |
인비저블 스틱 | 19,000원 | – | – | – |
리모컨 스틱 | – | 79,000원 | – | – |
60m 방수 케이스 | 91,000원 | 69,000원 | 67,000원 | – |
1. Insta360 ONE RS 1-inch
센서 크기가 1인치이고, 셔터 스피드가 1/8000이고, 화각이 넓고, 작동 온도 범위가 넓지만, 최소 초점 거리가 90cm로 매우 길고, 슬로우 모션 효과가 떨어지고, 가격이 비싸다.
2. DJI Action 2
카메라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을 합치더라도 무게가 가볍고, 크기가 작고, 셔터 스피드가 1/8000이고, 최소 초점 거리가 30cm로 짧은 편이지만, 센서 크기가 1/1.7인치로 최고급 스마트폰보다 작고, 저조도 화질이 매우 떨어진다.
3. GoPro HERO10
화각이 넓고, 영상 HDR을 지원하지만, 센서 크기가 1/2.3인치로 매우 작고, 셔터 스피드가 1/2000이고, 저조도 화질이 매우 떨어진다.
4. Sony RX0 II
센서 크기가 1인치이고, 셔터 스피드가 1/32000이고, ISO가 125 ~ 12800이고, 최소 초점 거리가 20cm이고, 슬로우 모션 효과가 좋고, S-Log2를 지원하고, 방진/내진/방충을 지원하지만, 손떨림 보정 효과가 매우 떨어지고, 근접 피사체에 대한 AF 설정 변환이 불편하고, 화각이 비교적 좁고, 가격이 비싸다.
○ 사양 비교 결과
1인치 센서가 탑재된 액션캠을 구매하고자 했는데 Sony RX0 II는 액션캠에서 가장 중요한 손떨림 보정 효과가 너무 형편없어서 구매하기 꺼려졌고, Insta360 ONE RS 1-inch는 최소 초점 거리가 너무 길어서 구매할 생각을 접었다. 결국 1인치 센서보다 작은 센서를 가진 액션캠 중에서 선택해야 했는데 그나마 센서의 크기가 조금 더 크고, 제품 크기가 작은 DJI 액션 2를 선택했다. 액션캠은 크기가 작은 만큼 성능과 기능을 타협할 수밖에 없다.
DJI Action 2 듀얼 스크린 콤보 액션캠 사양
○ 센서
사양 | 정보 |
---|---|
브랜드 | 비공개 |
모델명 | 비공개 |
크기 | 1/1.7 인치 |
종류 | CMOS |
유효 화소수 | 비공개 |
측광 | 평가 측광 |
ISO | 100 ~ 6400 |
셔터 종류 | 전자식 셔터 |
셔터 스피드 | 1/8000 |
사진 해상도 | 4000 x 3000 |
영상 해상도(4:3) | 4096 x 3072 |
영상 해상도(16:9) | 3840 x 2160 |
1. 센서 크기

DJI 액션 2의 센서 크기는 1/1.7인치로 삼성전자 갤럭시 S22 울트라나 삼성전자 Z 폴드 4에 탑재된 센서보다 작고, 애플 아이폰 13 프로 맥스나 보급형 콤팩트 카메라에 탑재된 센서보다 크다.
2. 센서 정보
센서 크기 외의 모든 정보가 비공개이다. 센서 품질에 자신 있다면 센서의 성능과 유효 화소수 등을 적극적으로 광고하는 편이고, 우회적으로 센서의 브랜드, 모델명, 제조사를 공개하는 편인데 크기 외의 모든 정보가 비공개인 점을 봤을 때 센서의 품질이 의심된다.
센서는 광자를 인식하고 전기적 신호로 바꾸는 역할을 하는 하드웨어로 영상과 사진의 품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 프로세서
사양 | 정보 |
---|---|
브랜드 | 비공개 |
모델명 | 비공개 |
성능 | 비공개 |
데이터 처리 속도 | 비공개 |
프로세서에 관한 모든 정보가 비공개이다. 프로세서의 품질에 자신 있다면 프로세서의 명칭과 성능 등을 적극적으로 광고하는 편이고, 우회적으로 프로세서의 데이터 처리 속도를 공개하는 편인데 모든 정보가 비공개인 점을 봤을 때 프로세서의 품질이 의심된다.
프로세서는 센서가 받아들인 전기적 신호를 재조합해서 이미지를 구현하는 역할을 하는 하드웨어로 영상과 사진의 품질에 센서 다음으로 큰 영향을 미친다.
○ 렌즈
사양 | 정보 |
---|---|
브랜드 | 비공개 |
모델명 | 비공개 |
초점 거리 | 2.3mm (추정) |
35mm 환산 초점 거리 | 12.7mm |
최대 구경 | F2.8 |
화각 | 155° |
렌즈 구성 | 비공개 |
최소 초점 거리 | 30cm |
1. 화각
초광각 모드에서 손떨림 보정 기능을 껐을 때 FOV(Field of View)가 155도이다. 광각은 초광각의 주변부 왜곡을 최소화해서 초광각보다 화각이 좁지만 여전히 눈에 띄는 왜곡이 있고, 표준 화각은 광각의 주변부 왜곡을 최소화해서 광각보다 화각이 좁다.
2. 화각별 지원 해상도
화각 | 지원 해상도 |
---|---|
초광각 | – 4K 16:9 60, 50, 48, 30, 25, 24 FPS – 4K 4:3 60, 50, 48, 30, 25, 24 FPS – 2.7K 16:9 60, 50, 48, 30, 25, 24 FPS – 2.7K 4:3 60, 50, 48, 30, 25, 24 FPS – 1080P 60, 50, 48, 30, 25, 24 FPS – 1080P 전력절감 60, 50, 48, 30, 25, 24 FPS |
광각 표준 화각(왜곡 억제) | – 4K 16:9 120, 100, 60, 50, 48, 30, 25, 24 FPS – 4K 4:3 60, 50, 48, 30, 25, 24 FPS – 2.7K 16:9 120, 100, 60, 50, 48, 30, 25, 24 FPS – 2.7K 4:3 60, 50, 48, 30, 25, 24 FPS – 1080P 240, 200, 120, 100, 60, 50, 48, 30, 25, 24 FPS – 1080P 전력절감 60, 50, 48, 30, 25, 24 FPS |
초광각에서는 60프레임을 초과하는 고프레임으로 촬영할 수 없다.
○ 손떨림 보정
손떨림 보정 | 효과 |
---|---|
EIS OFF | 사용 안 함 |
Steady | 배터리 소모와 발열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프로세서가 적은 리소스만 사용해서 손떨림 보정 효과를 구현한다. |
RockSteady 2.0 | 작동 방식은 Steady와 같지만, 프로세서가 더 많은 리소스를 사용해서 Steady보다 더 넓은 화각, 더 높은 프레임을 지원한다. |
HorizonBalancing | 롤 축이 최대 45도로 기울어져도 4K 영상을 수평으로 유지한다. |
HorizonSteady | 화면을 360도로 회전해도 수평을 유지한다. |
1. 손떨림 보정

DJI 액션 2는 동영상 모드에서 전자식 손떨림 보정 기능을 지원한다. 영상을 촬영할 때 ISO를 높여서 가능한 한 빠른 셔터스피드로 장면을 촬영하고, 셔터가 개방된 순간에 센서가 흔들린 정도를 계산해서 촬영된 이미지의 위치를 보정하고 여러 장의 이미지를 통합하는데 이미지들의 위치가 사방으로 움직여서 보정되는 만큼 통합된 이미지의 가장자리가 어긋나고, 이 어긋난 부분을 안 보이도록 크롭해서 화각이 줄어든다.
2. 손떨림 보정 기능별 지원 해상도
손떨림 보정 | 지원 해상도 |
---|---|
EIS OFF | – 4K 16:9 120, 100, 60, 50, 48, 30, 25, 24 FPS – 4K 4:3 60, 50, 48, 30, 25, 24 FPS – 2.7K 16:9 120, 100, 60, 50, 48, 30, 25, 24 FPS – 2.7K 4:3 60, 50, 48, 30, 25, 24 FPS – 1080P 240, 200, 120, 100, 60, 50, 48, 30, 25, 24 FPS – 1080P 전력절감 60, 50, 48, 30, 25, 24 FPS |
Steady | – 4K 16:9 60, 50, 48, 30, 25, 24 FPS – 2.7K 16:9 60, 50, 48, 30, 25, 24 FPS – 1080P 60, 50, 48, 30, 25, 24 FPS |
RockSteady 2.0 | – 4K 16:9 120, 100, 60, 50, 48, 30, 25, 24 FPS – 4K 4:3 60, 50, 48, 30, 25, 24 FPS – 2.7K 16:9 120, 100, 60, 50, 48, 30, 25, 24 FPS – 2.7K 4:3 60, 50, 48, 30, 25, 24 FPS – 1080P 240, 200, 120, 100, 60, 50, 48, 30, 25, 24 FPS – 1080P 전력절감 60, 50, 48, 30, 25, 24 FPS |
HorizonBalancing | – 4K 16:9 60, 50, 48, 30, 25, 24 FPS – 2.7K 16:9 60, 50, 48, 30, 25, 24 FPS – 1080P 60, 50, 48, 30, 25, 24 FPS – 1080P 전력절감 60, 50, 48, 30, 25, 24 FPS |
HorizonSteady | – 2.7K 16:9 60, 50, 48, 30, 25, 24 FPS – 1080P 60, 50, 48, 30, 25, 24 FPS – 1080P 전력절감 60, 50, 48, 30, 25, 24 FPS |
EIS OFF와 RockSteady 2.0만 모든 해상도를 지원한다.
○ 영상
사양 | 정보 |
---|---|
레코딩 포맷 | MP4 |
비디오 압축 | – H.264 – HEVC(H.265) |
오디오 레코딩 포맷 | AAC 2채널 |
영상 최대 비트레이트 | 130 Mbps |
손떨림 보정 기능 | 지원 |
디지털 줌 | – 60FPS 초과 시 최대 2배 – 60FPS 이하에서 HorizonSteady가 켜진 상태면 최대 3배 – 60FPS 이하에서 HorizonSteady가 꺼진 상태면 최대 4배 |
슬로 모션 | – 4K 120FPS: 4배 – 2.7K 120FPS: 4배 – 1080P 120FPS: 4배 – 1080P 240FPS: 8배 |
타임 랩스 | 4K, 2.7K, 1080P |
타임 랩스 인터벌 | 0.5초, 1초, 2초, 3초, 4초, 5초, 6초, 7초, 8초, 10초, 13초, 15초, 20초, 25초, 30초, 40초 |
타임 랩스 촬영 길이 | 무제한, 5분, 10분, 20분, 30분, 1시간, 2시간, 3시간, 5시간 |
4K, 16:9, 60FPS로 30초간 촬영한 영상 용량은 330MB ~ 370MB이다.
○ 사진
사양 | 정보 |
---|---|
레코딩 포맷 | JPEG, RAW |
카운트 다운 | OFF, 0.5초, 1초, 2초, 3초, 5초, 10초 |
손떨림 보정 기능 | 미지원 |
디지털 줌 | 최대 4배 |
RAW 포맷으로 사진 촬영 시 DNG 파일을 생성한다. DNG(Digital Negative)는 2004년에 Adobe에서 개발한 개방형 무손실 RAW 이미지 포맷으로 원본 이미지 데이터 외에 편집, 변경, 설정 사항을 파일 내에 직접 기록하므로 일반적인 카메라 제조사의 RAW 파일처럼 XMP(Extensible Metadata Platform) 파일을 별도로 생성하지 않고, RAW 파일 대비 용량이 15~20% 작고, 불필요한 메타데이터를 삭제하거나 무손실 또는 손실 압축으로 용량을 더 줄일 수 있어서 파일 보관에 용이하다. DJI 액션 2로 촬영한 DNG 파일 용량은 약 23MB ~ 25MB이다.
사진 모드에서 화각은 표준 화각(왜곡 억제)와 광각을 지원하는데, 표준 화각으로 촬영해도 실제 촬영 시 광각으로 촬영한 후 레코딩 포맷이 JPEG라면 왜곡을 보정한 결과물을 저장하고, 레코딩 포맷이 RAW라면 왜곡을 보정한 값을 메타데이터로 저장해서 ‘표준 화각’으로 설정하고 촬영한 이미지를 볼 때는 왜곡이 보정된 결과물을 보여주고, ‘광각’으로 설정하고 촬영한 이미지를 볼 때는 촬영한 그대로의 결과물을 보여준다.
이로 인해 DNG 파일을 JPEG로 변환하기 위해 Adobe Camera RAW로 DNG 파일을 불러오면 ‘표준 화각’으로 촬영했든 ‘광각’으로 촬영했든 원본 이미지는 광각으로 촬영한 결과물이므로 Adobe Camera RAW가 자동으로 메타데이터에 저장된 왜곡을 보정한 값과 색 보정 값을 인식하고 왜곡이 없는(= 표준 화각으로 촬영했을 때 보이는 이미지) 색 보정 이미지를 보여준다. 그리고 DNG 파일을 JEPG 파일로 변환할 때 메타데이터를 읽어서 왜곡을 자동으로 보정하지 않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촬영 때 설정한 화각과 관계없이 촬영한 그대로의 이미지(=광각 화각으로 촬영했을 때 보이는 이미지)를 보여준다.
그래서 RAW 포맷으로 촬영한 광각 이미지는 왜곡과 색 보정되지 않은 이미지이고, RAW 포맷으로 촬영한 표준 화각 이미지는 왜곡과 색 보정된 이미지이다 보니 광각 이미지와 표준 화각 이미지 간에 화질 비교가 어렵다.
○ 디스플레이
사양 | 정보 |
---|---|
크기 | 1.76 인치 |
패널 | OLED |
해상도 | 446 x 424 |
1인치 당 픽셀수 | 350 ppi |
밝기 | 500 ±50 cd/m² |
보호 | 고릴라 글래스 |
1. 디스플레이 크기
화면 크기가 작아서 촬영 도중에 장면의 세세한 부분을 확인할 수 없다. 예를 들어서 촬영할 때는 아무 문제가 없었는데 촬영 후 컴퓨터 모니터로 확인할 때 원치 않는 부분이 눈에 띌 수 있다.
2. 디스플레이 밝기
화면 밝기가 약 500니트(cd/m², 단위 면적 당 칸델라)인 만큼 구름 한 점 없는 맑은 날 백사장에서도 모든 장면을 무리 없이 볼 수 있다.
3. 디스플레이 기능
DJI 액션 2 설정에서 ‘전체화면’을 켜면 4:3, 16:9 관계없이 영상의 좌우가 화면 밖으로 나가더라도 높이를 가득 채우고, ‘전체화면’을 끄면 4:3, 16:9 관계없이 영상의 상하에 검은 여백이 생기더라도 너비를 가득 채운다.
DJI 액션 2는 영상의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화질이 떨어지고 장면이 늘어지는 왜곡이 심해지므로 아무것도 신경 쓰지 않고 가능한 한 퀄리티 좋은 영상을 간편하게 촬영하고 싶다면 ‘전체화면’을 켜면 되고, 모든 구도를 정확하게 인지하고 싶다면 ‘전체화면’을 끄면 된다.
○ 오디오
사양 | 정보 |
---|---|
마이크 | 총 4개 |
마이크 녹음 방식 | 모노, 스테레오 |
마이크 녹음 방향 | 전면, 전후면, 전후좌우 |
오디오 줌 | 디지털 줌 사용 시 오디오 녹음 줌 |
바람 노이즈 감소 기능 | 지원 |
음성 제어 | 중국어 간체, 영어 |
음성 제어 명령어 | Start recording, Stop recording, Take photo, Shut down |
DJI 액션 2 카메라 유닛에 전면 마이크 1개가 있고, 전면 터치 스크린 모듈이 좌측, 우측, 후면 마이크 3개가 있어서 DJI 액션 2 듀얼 스크린 콤보를 사용하면 총 4개의 마이크로 녹음할 수 있다.
녹음 설정에서 전면을 선택하면 전방의 소리를 녹음하고, 전후면을 선택하면 전방과 촬영자의 소리를 녹음하고, 전후좌우를 선택하면 모든 방향에 대한 소리를 녹음할 수 있어서 소리의 방향성이 좋다.
○ 저장 장치
사양 | 정보 |
---|---|
내부 저장소 용량 | 22.4 GB |
외부 저장소 종류 | Micro SD카드 |
외부 저장소 속도 등급 | U3(UHS 속도 클래스 3) |
외부 저장소 최대 용량 | 256 GB |
외부 저장소 포맷 형식 | exFAT |
삼성전자 Micro SD PRO Plus 256GB를 사용중인데 아주 잘 작동한다.
○ 주의사항
– DJI 액션 2는 자석이 있으므로 마그네틱 카드, IC 카드, 하드 디스크, RAM, 심장박동기와 같은 이식용 의료 기기와 거리를 유지해서 간섭을 피해야 한다.
– DJI 액션 2를 40℃가 넘는 환경에서 사용하면 화재 또는 폭발 위험이 있다.
– DJI 액션 2의 적정 보관 온도는 22~28℃이므로 더운날 차량 안에 두면 안 된다.
– DJI 액션 2를 0℃ 미만에서 사용하면 영구적으로 손상될 수 있다.
– DJI 액션 2를 방전된 채 장기간 보관하면 영구적으로 손상될 수 있다.
– DJI 액션 2를 차량의 지붕이나 창에 부착할 때 너무 빨리 달리거나 표면이 깨끗하지 않거나 강풍이나 뇌우와 같은 악천후가 있는 경우 카메라 유닛이 떨어질 수 있다.
– 렌즈 유리가 모래 및 먼지로부터 손상될 수 있으므로 깨끗하고 마른 천으로 청소해야 한다.
– 배터리 잔량이 부족한 채로 4개월 이상 보관하면 배터리 수명이 단축된다.
– DJI 액션 2 카메라 유닛은 IP68 방수를 지원한다.
– DJI 액션 2 카메라 유닛을 빠른 속도로 물에 부딪히면 방수 기능이 고장 날 수 있다.
DJI Action 2 듀얼 스크린 콤보 액션캠 개봉
○ 총 구매 가격
제품명 | 가격 |
---|---|
DJI Action 2 Dual Screen Combo 액션 2 (마그네틱 보호 케이스 사은품 포함) | 443,100원 |
TELESIN DJI Action 2 보호 필름 | 11,400원 |
삼성전자 Micro SD PRO Plus 256GB | 44,390원 |
총 금액 | 498,890원 |
○ 포장 박스 디자인

비닐 커버로 완전 밀봉된 패키지

밀봉 스티커가 부착된 패키지
○ 구성품

설명서, 보증서

DJI 액션 2 카메라 유닛, 전면 터치스크린 모듈


마그내틱 랜야드, 마그네틱 볼 조인트 어댑터 마운트, 마그네틱 어댑터 마운트, 파워 케이블

마그내틱 랜야드를 사용해서 얇은 티셔츠의 가슴 중앙 부근에 DJI 액션 2를 장착할 수 있다.


마그네틱 보호 케이스
○ 추가 구매용품

렌즈와 디스플레이 액정 보호 필름 세트

삼성전자 Micro SD PRO Plus 256GB

마이크로 SD 카드는 전면 터치 스크린 모듈 뒷편 아래에 장착할 수 있다.
DJI Action 2 듀얼 스크린 콤보 액션캠 디자인
○ 제품 디자인
1. DJI 액션 2 카메라 유닛

상태 LED, 렌즈, 색온도 포토 센서, 마이크

터치 스크린

에어 컴프레션 밸런스 홀

전원/녹화 버튼

8핀 확장 포트
2. 전면 터치 스크린 모듈

터치 스크린

잠금 클립, 마이크, USB-C 충전 포트, 상태 LED, 마이크, Micro SD 카드 슬롯

마이크, 잠금 클립, 스피커, 전원/녹화 버튼

8핀 확장 포트

바닥면
3. DJI 액션 2 듀얼 스크린 콤보

DJI 액션 2 카메라 유닛과 전면 터치스크린 모듈은 자력과 잠금 클립으로 단단하게 결합된다.

DJI 액션 2 카메라 유닛의 전면에 마이크가 1개 있고, 전면 터치 스크린 모듈의 좌측면, 우측면, 후면에 마이크가 1개씩 총 3개가 있어서 DJI 액션2 듀얼 스크린 콤보를 사용하면 총 4개의 마이크로 소리를 녹음할 수 있다.

DJI 액션 2 카메라 유닛의 전원/녹화 버튼과 전면 터치 스크린 모듈의 전원/녹화 버튼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4. 마그네틱 보호 케이스

마그네틱 보호 케이스가 외부 충격이나 흠집으로부터 제품을 보호하고, ‘자동 촬영 중단 온도’의 허용 폭을 늘린다.

○ 제품 설정

제품을 켜면 언어 설정 후 스마트폰앱과 연동할 수 있다. 마그네틱 보호 케이스를 장착하면 DJI 액션 2가 마그네틱 보호 케이스를 인식하고 ‘자동 촬영 중단 온도’의 허용 폭을 늘린다.

DJI 액션 2 스마트폰앱이 제품의 펌웨어 버전을 인식하고 신규 펌웨어가 있다면 자동으로 펌웨어 업데이트 단계로 넘어간다.

DJI 액션 2 스마트폰앱 연동 후 스마트폰으로 제품 설정 변경 및 촬영을 할 수 있다. 셔터스피드, ISO, 노출 정보는 스마트폰 촬영 화면에서만 보인다.
DJI Action 2 듀얼 스크린 콤보 액션캠 배터리 성능
○ 테스트 설정
해상도 | 3840 x 2160 (4K) |
화면 비율 | 16:9 |
프레임 속도 | 60FPS |
영상 압축 포맷 | HEVC(H.265) |
디스플레이 | 2개 다 켬 |
디스플레이 밝기 | 100% 최대 밝기 |
손떨림 보정 | RockSteady 켬 |
저장 장치 | SD 카드 |
진동 알림 | 켬 |
알림음 | 끔 |
깜빡임 감지 | 자동 |
자동 촬영 중단 온도 | 표준 |
잠금 시 스크린 끄기 | 끔 |
촬영 시 스크린 끄기 | 사용 안 함 |
LED | 켬 |
노출 | Auto |
WB | AWB |
컬러 | 보통 |
FOV | 표준(왜곡 보정) |
마그네틱 보호 케이스 | 장착 |
○ 테스트 준비
일정한 환경에서 테스트하기 위해 집에서 모든 창문을 닫고 에어컨을 가동해서 실내 온도와 실내 습도를 유지했고, 기기가 외부 열원이나 에어컨 바람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공기의 흐름이 적은 방안 벽면에 나무 테이블을 배치하고 테스트 기기를 놓았다. 그리고 촬영 장면의 복잡도가 낮으면 시스템 자원 소모량이 적고 그만큼 발열도 낮아지므로 보다 가혹한 환경에서 테스트하기 위해 TV 드라마를 틀어놓고 촬영했다. 실내 온도와 실내 습도는 ‘샤오미 전자식 온도계’로 측정했고, 발열 촉감은 DJI 액션 2 카메라 유닛의 측면과 상단 부분을 만졌을 때 느껴진 개인적인 느낌이다.
– 촬영 상태: 촬영한 직후 표기된 수치이다.
– 종료 상태: 종료 후 다시 켰을 때 표기된 수치이다.
○ DJI Action 2 듀얼 스크린 콤보 테스트
DJI 액션 2 카메라 유닛에 전면 터치 스크린 모듈을 장착하고 테스트했다.
1. 연속 촬영
DJI 액션 2를 실제 사용할 때처럼 약 1분, 2분 단위로 끊어서 짧은 영상을 촬영하되 매 촬영 전에 약 15초 정도 대기 시간을 가졌다. 그리고 실제보다 더 가혹한 환경에서 테스트하기 위해 DJI 액션 2의 전원을 종료한 때를 제외하면 DJI 액션 2 듀얼 스크린 콤보를 계속 켠 채로 촬영하고 대기했다. 배터리 수치 중에서 앞쪽 숫자는 DJI 액션 2 카메라 유닛의 배터리 수치이고 뒤쪽 숫자는 전면 터치스크린 모듈의 배터리 수치이다.
상태 | 배터리 | 촬영 시간 | 실내 온도 | 발열 촉감 |
---|---|---|---|---|
시작 전 | 100 / 100 | – | 27.7 | 차가움 |
촬영 | 100 / 92 | 01:05 | 27.8 | 차갑지 않음 |
촬영 | 100 / 91 | 01:10 | 27.9 | 조금 따뜻함 |
촬영 | 100 / 90 | 01:01 | 27.9 | 조금 따뜻함 |
촬영 | 100 / 88 | 01:02 | 27.7 | 조금 따뜻함 |
촬영 | 100 / 87 | 01:01 | 27.5 | 조금 따뜻함 |
종료 | 100 / 85 | – | – | (1분 휴식) |
촬영 | 100 / 84 | 01:00 | 27.3 | 조금 따뜻함 |
촬영 | 100 / 79 | 01:02 | 27.3 | 조금 따뜻함 |
촬영 | 100 / 76 | 01:02 | 27.4 | 조금 더 따뜻함 |
촬영 | 100 / 74 | 01:01 | 27.3 | 조금 더 따뜻함 |
촬영 | 100 / 72 | 01:04 | 27.5 | 조금 더 따뜻함 |
종료 | 100 / 71 | – | – | (10분 휴식) |
촬영 | 100 / 66 | 01:07 | 27.5 | 조금 더 따뜻함 |
촬영 | 100 / 60 | 02:16 | 27.5 | 조금 더 따뜻함 |
촬영 | 100 / 54 | 02:30 | 27.6 | 조금 뜨거움 |
촬영 | 100 / 51 | 02:37 | 27.6 | 조금 뜨거움 |
촬영 | 100 / 42 | 02:15 | 27.6 | 꽤 뜨거움 |
촬영 | 100 / 34 | 02:06 | 27.7 | 꽤 뜨거움 |
촬영 | 96 / 29 | 02:30 | 27.6 | 꽤 뜨거움 |
촬영 | 89 / 28 | 02:30 | 27.7 | 꽤 뜨거움 |
종료 | 87 / 28 | – | – | (10분 대기) |
촬영 | 83 / 26 | 02:31 | 27.5 | 조금 따뜻함 |
촬영 | 69 / 24 | 02:15 | 27.4 | 조금 따뜻함 |
촬영 | 62 / 19 | 02:43 | 27.3 | 조금 따뜻함 |
촬영 | 51 / 18 | 02:22 | 27.4 | 조금 뜨거움 |
촬영 | 45 / 11 | 02:21 | 27.5 | 조금 뜨거움 |
촬영 | 30 / 10 | 02:26 | 27.6 | 꽤 뜨거움 |
과열 중단 | 18 / 10 | 02:18 | 27.6- | 꽤 뜨거움 |
촬영 | 6 / 7 | 02:18 | 27.7 | 꽤 뜨거움 |
과열 중단 | 5 / 5 | 01:03 | 27.7 | 꽤 뜨거움 |
촬영 불가 | 4 / 2 | 00:20 | 27.6 | 꽤 뜨거움 |
실내 온도 약 27.5도에서 1분에서 2분 사이의 짧은 영상을 쉬엄쉬엄 촬영하면 최대 48분 정도 촬영할 수 있다.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만 연속 촬영했음에도 배터리가 방전되기 전에 과열로 촬영 중단 메시지가 뜨면서 촬영이 중단되었고, 이후 기기를 켠 채로 약 30초 정도 대기했다가 다시 촬영하니 몇 분 정도 더 촬영할 수 있었지만, 결국 과열로 촬영 불가 메시지가 뜨면서 촬영 버튼을 눌려도 더 이상 촬영되지 않았다. 약 1분 정도 촬영할 때보다 약 2분 정도 촬영할 때 배터리 소모량이 훨씬 더 높았다.
2. 지속 촬영
과열로 촬영이 중단되기 전까지 지속 촬영했다.
상태 | 배터리 | 촬영 시간 | 실내 온도 | 발열 촉감 |
---|---|---|---|---|
시작 전 | 100 / 100 | – | 26.3 | 차가움 |
촬영 | – | 03:00 | 26.2 | 미열 |
촬영 | – | 06:00 | 26.3 | 따뜻함 |
촬영 | – | 09:00 | 26.4 | 조금 더 따뜻함 |
촬영 | – | 12:00 | 26.4 | 조금 뜨거움 |
촬영 | – | 15:00 | 26.4 | 조금 뜨거움 |
과열 중단 | 100 / 63 | 17:30 | 26.3 | 뜨거움 |
종료 | 100 / 63 | – | – | (3분 휴식) |
촬영 | 100 / 57 | 03:00 | 26.2 | 뜨거움 |
촬영 | 100 / 53 | 06:00 | 26.4 | 뜨거움 |
과열 중단 | 100 / 52 | 06:31 | 26.4 | 뜨거움 |
종료 | 100 / 50 | – | – | (3분 휴식) |
촬영 중단 | 100 / 44 | 01:29 | 26.4 | 뜨거움 |
실내 온도 약 26.3도에서 지속 촬영 시 최대 17분 정도 촬영할 수 있다. 한 번 과열로 촬영이 중단된 후 약 3분간 쉬었다가 다시 촬영했지만, 약 6분 31초 만에 다시 과열로 촬영이 중단되었고 이후에도 마찬가지로 약 3분간 쉬었다가 다시 촬영했지만, 약 1분 29초 만에 SD카드 쓰기 속도 느림 경고 메시지가 뜨면서 촬영이 중단되었다. SD 카드 쓰기 속도에 영향을 미칠만큼 기기가 과열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삼성전자 Micro SD PRO PLUS 256GB를 장착하고 지속 촬영 시 영상 파일 한 개로 녹화되는 게 아니라 4분 48초 또는 4분 47초 단위로 분할 녹화되었는데, 어도비 프리미어 프로에서 분할된 영상 파일을 연결했을 때 영상과 음성 모두 이질감 없이 매끄럽게 이어졌다.
○ DJI Action 2 테스트
DJI 액션 2 카메라 유닛으로만 테스트했다.
1. 연속 촬영
상태 | 배터리 | 촬영 시간 | 실내 온도 | 발열 촉감 |
---|---|---|---|---|
시작 전 | 100 | – | 27.7 | 차가움 |
촬영 | 98 | 01:00 | 27.5 | 차갑지 않음 |
촬영 | 92 | 01:00 | 27.6 | 미지근함 |
촬영 | 86 | 01:04 | 27.6 | 미지근함 |
촬영 | 81 | 01:03 | 27.6 | 조금 따뜻함 |
촬영 | 75 | 01:03 | 27.5 | 조금 따뜻함 |
종료 | 78 | – | – | 미지근함 |
촬영 | 72 | 01:05 | 27.4 | 미지근함 |
과열 중단 | 68 | 00:24 | 27.6 | 조금 따뜻함 |
종료 | 72 | – | – | (1분 휴식) |
촬영 | 59 | 02:02 | 27.6 | 조금 따뜻함 |
과열 중단 | 55 | 00:39 | 27.6 | 조금 따뜻함 |
종료 | 57 | – | – | (10분 휴식) |
촬영 | 44 | 02:02 | 27.5 | 미지근함 |
과열 중단 | 37 | 01:13 | 27.5 | 조금 따뜻함 |
실내 온도 약 27.5도에서 1분에서 2분 사이의 짧은 영상을 쉬엄쉬엄 촬영하면 최대 7분 정도 촬영할 수 있다. 아주 짧은 시간 동안만 연속 촬영했음에도 배터리가 방전되기 전에 과열로 촬영 중단 메시지가 뜨면서 촬영이 중단되었고, 이후 기기를 켠 채로 약 30초 정도 대기했다가 다시 촬영하니 2분 정도 더 촬영할 수 있었다.
DJI 액션 2 듀얼 스크린 콤보로 촬영하면 본체가 ‘꽤 뜨거워질 때’까지 최대 48분 정도 촬영할 수 있었는데 DJI 액션 2 카메라 유닛으로만 촬영하면 본체가 ‘조금 따뜻해질 때’까지 최대 7분 정도 촬영할 수 있었다. 데이터 저장소, 데이터 전송, 저장된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높은 온도에 굉장히 취약한데 DJI 액션 2로 촬영할 때는 발열 근원지인 센서에 인접한 내부 저장소에 데이터를 저장해야 하다 보니 데이터가 손상되지 않도록 작동 한계 온도가 아주 낮게 설정된 것으로 추정된다.
반대로 DJI 액션 2 듀얼 스크린 콤보를 사용할 때는 DJI 액션 2에서 발생한 열기가 전면 터치스크린 모듈로 분산될 수 있고, 전면 터치스크린 모듈에 마이크로 SD 카드를 장착하고 사용하면 DJI 액션 2 내부 저장소에 데이터를 저장할 때보다 높은 온도로 인한 데이터 손상 위험도가 아주 낮아지므로 DJI 액션 2 본체가 훨씬 더 가혹한 환경에 노출될 때까지 촬영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DJI 액션 2 듀얼 스크린 콤보가 과열로 촬영이 중단될 정도라면 DJI 액션 2 내부 저장소는 메모리 수명이 저하될 수 있는 온도에 노출되었다고 볼 수 있다.
2. 지속 촬영
상태 | 배터리 | 촬영 시간 | 실내 온도 | 발열 촉감 |
---|---|---|---|---|
시작 전 | 100 | – | 26.3 | 차가움 |
촬영 | 89 | 03:00 | 26.3 | 조금 따뜻함 |
과열 중단 | 81 | 05:30 | 26.3 | 조금 뜨거움 |
종료 | 79 | – | – | (3분 휴식) |
과열 중단 | 71 | 01:43 | 26.3 | 조금 따뜻함 |
종료 | 73 | – | – | (3분 휴식) |
과열 중단 | 62 | 01:32 | 26.4 | 조금 따뜻함 |
실내 온도 약 26.3도에서 지속 촬영 시 최대 5분 정도 촬영할 수 있다.
○ 테스트 후기
DJI 액션 2 카메라 유닛만 사용하면 업체에 사기당했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촬영 가능 시간이 짧으므로 DJI 액션 2 카메라 유닛에 전면 터치 스크린 모듈을 부착한 DJI 액션 2 듀얼 스크린 콤보를 DJI 액션 2의 기본 사양으로 봐야 한다.
테스트에서는 기기 과열이 잦고, 총촬영 가능 시간이 짧아서 과연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 의문이 들 수 있는데 실제 사용할 때는 디스플레이 두 개를 항상 켜두지 않고 터치한 디스플레이만 켜는 기능을 사용하고, 액션캠 용도에 맞게 한 번 촬영할 때 20~30초 이내로 촬영하면서 한 장소에서 총촬영하는 횟수를 적절하게 유지하므로 한여름에도 과열로 촬영이 중단된 적이 없었고, DJI 액션 2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항상 외장형 보조 배터리에 연결해서 충전하므로 배터리가 부족한 적도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