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MPI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알고 MMPI-2 검사를 진행하고자 ‘MMPI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를 작성했다.
주의사항 1. MMPI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 검사는 전 세계 심리학자와 정신과 의원이 사용하는 심리 검사이다. 2. MMPI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 검사는 심리 치료, 인사 선발, 법정 자료 등에 보조 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3. MMPI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 검사는 검사 결과는 전문가만 해석할 수 있다. 4. MMPI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 척도는 MMPI-2 한글판 척도이다. 5. MMPI-2 한글판 척도는 각 척도에 대한 간단한 정의만 다루므로 아래 내용을 읽었다고 해서 MMPI-2 한글판 척도를 이해했다고 판단해선 안 된다. MMPI-2 척도는 여러 가지 척도를 복합적으로 해석하므로 검사 결과에 대한 해석은 반드시 검사를 담당한 상담사에게 들어야 한다. 6. 재구성 임상 척도(RC 척도)의 타당성에 대해 일부 심리학자들이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으나 미네소타 출판부에서는 문제가 없다는 견해다. 7. 웹상의 정보를 종합해서 작성했기 때문에 사실과 다른 정보가 있을 수도 있다.
목차
- MMPI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 소개
- MMPI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 종류
- MMPI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 한글판 척도
- MMPI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 한글판 보고서 종류
- MMPI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 한글판 검사 절차
MMPI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 소개
○ MMPI 배경
연도 | 연혁 |
---|---|
1939 | 미국의 미네소타대학교에서 임상심리학자인 스타크 로즈크랜스 해서웨이(Starke Rosecrans Hathaway)와 신경과 전문의인 존 찰리 매킨리(John Charnley McKinley)가 정신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성격 특성(Personality Traits)과 정신병리학(Psychopathology)을 평가하기 위해서 새로운 다면적 인성검사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
1940 | 미국의 미네소타대학교에서 스타크 로즈크랜스 해서웨이와 존 찰리 매킨리가 1,500명의 정상인과 220명의 정신질환자를 기반으로 의료 또는 정신과의원에서 사용 가능한 ‘다면적 성격 일정(Multiphasic Personality Schedule)’ 을 개발하고 테일러앤프랜시스(Taylor & Francis Group)의 심리학 저널(Journal of Psychology)에 게재했다. |
1943 | 타임지(Mime Magazine)가 MMPI(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를 소개했다. |
1944 | 미국의 알레르기 및 소아과 의사인 해롤드 알렉산더 에이브람슨(Harold Alexander Abramson)이 미국의 육군에서 소령으로 복무하던 중 인사 선발에서 MMPI의 가치를 확립했다. |
1945 | 미국의 도라 프랜시스 캡웰(Dora Frances Capwell)이 12세에서 18세 사이의 여성 청소년의 성격 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MMPI를 사용했다. |
1946 | 미국의 심리학자인 LE 드레이크(L. E. Drake)가 대상이 혼자 있는 것을 선호하는지 아니면 다른 사람들과 함께 있는 것을 선호하는지를 측정하는 사회적 내향성(Social Introversion, Si) 척도를 개발했다. |
1947 | 미국의 심리학자인 해리슨 G. 고흐(Harrison G. Gough)가 임상 진단에 익숙한 군인 11명에게 심각한 정신신경증과 편집증적 정신분열증을 흉내 내도록 하고, 숙련된 전문가 4명이 MMPI를 사용해서 꾀병을 탐지할 수 있는지 테스트했는데 높은 비율로 꾀병을 탐지했다. |
1948 | 2차 세계 대전이 끝난 직후 정신 건강 전문가들이 다른 국가에서 MMPI를 사용하기 위해서 MMPI를 번역하고 테스트를 일반화할 수 있는지 테스트의 가능성을 평가하기 시작했다. 첫 번째로 번역한 언어는 이탈리아어이다. |
1951 | 스타크 로즈크랜스 해서웨이와 이탈리아의 사회학자인 엘리오 다비드 모나체시(Elio David Monachesi)가 미국의 9학년 학생(14세에서 15세 사이의 청소년) 4,048명에게 MMPI를 사용해서 청소년 비행을 분석하고 예측했고, 후속 연구를 통해 사이코패스적 일탈과 경조증을 예측하는데 유용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
1955 | 미국의 임상 신경심리학자인 랄프 M. 레이탄(Ralph M. Reitan)이 뇌 손상 환자에게 발생하는 정서적 장애 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MMPI를 사용했고 뇌 손상 부위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발생하는 사실을 확인했다. |
1955 | 로버트 E. 해리스(Robert E. Harris)와 제임스 C. 링고스(James C. Lingoes)가 MMPI의 임상 소척도인 주관적 우울감(Subjective Depression, D1), 정신운동 지체(Psychomotor Retardation, D2), 신체적 기능 장애(Physical Malfunctioning, D3), 둔감성(Mental Dullness, D4), 깊은 근심(Brooding, D5), 사회적 불안의 부인(Denial of Social Anxiety, Hy1), 애정 욕구(Need for Affection, Hy2), 권태-무기력(Lassitude-Malaise, Hy3), 신체증상 호소(Somatic Complaints, Hy4), 공격성의 억제(Inhibition of Aggression, Hy5), 가정 불화(Familial Discord, Pd1), 사회적 침착성(Social Imperturbability, Pd2), 사회적 소회(Social Alienation, Pd4a), 내적 소외(Self-Alienation, Pd4b), 피해의식(Persecutory Ideas, Pa1), 예민성(Poignancy, Pa2), 순진성(Naivete, Pa3), 사회적 소외(Social Alienation, Sc1), 자아통합 결여-인지적(Lack of Ego Mastery-Cognitive, Sc3), 자아통합 결여-억제부전(Lack of Ege Mastery-Defective Inhibition, Sc5), 비도덕성(Amorality, Ma1), 심신운동 항진(Psychomoor Acceleration, Ma2), 냉정함(Imperturbability, Ma3), 자아팽창(Ego Inflation, Ma4) 척도를 개발했다. |
1956 | 임상심리학자인 노먼 샌드버그(Norman D. Sundberg)가 MMPI를 독일어로 번역하면서 테스트 번역의 중요한 요소들을 확립했다. |
1957 | 넨치니(R. Nencini)와 바니소니(P. Banissoni)가 MMPI의 공식 이탈리아어 버전을 규범과 함께 발행했다. |
1958 | SC 풀커슨(S. C. Fulkerson), SL 프로이트(S. L. Freud), GH 레이너(G. H. Raynor)가 MMPI를 사용해서 조종사 634명의 심리를 평가했다. |
1959 | MMPI를 번역하고 테스트를 일반화 할 수 있는지 테스트의 가능성을 평가한 첫 번째 아시아 국가는 일본이다. |
1960 | 미국의 심리학자인 윌리엄 그랜트 달스트롬(William Grant Dahlstrom)과 조지 슐라거 웰시(George Schlager Welsh)가 1,000개 이상의 MMPI 참고 문헌을 기반으로 임상의와 연구자들이 MMPI를 사용하기 위한 가이드를 설계했다. |
1963 | 정범모, 이정균, 진위교가 미국 MMPI를 한국에서 사용하기 위해 번역 및 개발했고 사용법을 자세히 설명하는 매뉴얼을 출판했다. |
1965 | 지난 40년간 심리학자들에게 새로운 연구 및 임상 해석 전략을 제공한 MMPI의 발전을 토론하기 위해 MMPI 심포지엄을 설립했다. |
1968 | 크레이그 맥앤드류(Craig MacAndrew)가 MMPI의 약물 남용 척도인 MAC 척도를 개발했다. |
1969 | 미국의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에서 열린 제5차 MMPI 심포지엄에서 MMPI 전문가들이 MMPI 개정의 필요성에 대해 첫 번째 공개 토론을 했다. |
1970 | MMPI의 국제적 사용을 강조하기 위해 멕시코에서 첫 번째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
1976 | 이탈리아의 정신과 의사인 파올로 판체리(Paolo Pancheri)와 미국의 심리학자인 제임스 닐 버처(James Neal Butcher)가 MMPI 번역을 위한 엄격한 방법론을 개발했다. |
1977 | 미국의 심리학자인 에드윈 I. 메가기(Edwin I. Megargee)가 MMPI를 사용해서 범죄자 신상을 분류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
1981 | MMPI를 개정하고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MMPI-2 개정 위원회에 미국의 심리학자인 제임스 닐 버처, 존 R. 그레이엄(John R. Graham), 윌리엄 그랜트 달스트롬이 참가했고, 몇 년 후에 데이터 분석 단계 때 미국의 심리학자인 아우크 텔레겐(Auke Tellegen)이 추가로 합류했다. |
1989 | MMPI-2를 출판했다. |
1990 | 제임스 닐 버처, 존 R. 그레이엄, 윌리엄 그랜트 달스트롬, 미국의 심리학자인 요세프 S. 벤-포라스(Yossef S. Ben-Porath)가 MMPI-2 해석에 대한 접근 방식과 새로운 콘텐츠 척도의 근거를 자세히 설명한 책을 출판했다. |
1991 | 요세프 S. 벤-포라스, 제임스 닐 버처, 존 R. 그레이엄이 정신 분열 입원환자 76명, 우울증 입원환자 84명에게 MMPI-2를 사용해서 정신병리의 감별 진단에 대한 기여도를 평가했고 새로운 콘텐츠 척도가 감별 진단에 유용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
1991 | 중국 심리학자 및 그의 동료들이 중국인과 미국 정상인의 항목 보증 차이를 기반으로 중국인을 위한 특정한 척도를 개발할 필요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
1992 | 캐롤린 L. 윌리엄스(Carolyn L. Williams), 제임스 닐 버처, 요세프 S. 벤-포라스, 존 R. 그레이엄이 청소년을 위한 MMPI-A를 출판했다. |
1992 | 미국의 임상심리학자인 스티븐 E. 핀(Stephen E. Finn)과 메리 E. 톤저(Mary E. Tonsager)가 대학교 상담센터의 대기자들을 대상으로 MMPI-2를 테스트한 후 피드백을 제공했을 때 치료효과가 있는지 테스트했고, 심리적 평가를 치료적 개입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
1992 | 미국의 심리학자인 아우크 텔레겐(Auke Tellegen)과 요세프 S. 벤-포라스가 MMPI-2에 적합한 새로운 T 점수의 근거를 설명했다. |
1995 | 미국의 임상심리학자인 폴 A. 아르비시(Paul A. Arbisi)와 미국의 심리학자인 요세프 S. 벤-포라스가 MMPI-2의 타당성 척도 중에서 비전형-정신병리(Infrequency Psychopathology, F(p)) 척도를 개발했다. |
1995 | 제임스 닐 버처와 한국의 심리학자인 한경희가 비임상 표본인 미국 항공모함의 항공기 조종사 274명과 참고 표본인 남성 1,138명, 여성 1,462명을 기반으로 MMPI-2의 타당성 척도 중에서 과장된 자기 제시(Superlative Self-Presentation, S) 척도를 개발했다. |
1996 | 한경희가 MMPI-2를 한글로 번역하고 MMPI-2 한글판 표준화를 위한 규범을 개발했다. |
1998 | 임상 신경심리학자인 아서 쇼어스(E. Arthur Shores)와 제인 R. 카스테어스(Jane R. Carstairs)가 컴퓨터에 전산화된 MMPI-2를 통해 가짜로 좋은 척 하는 것과 가짜라 나쁜 척하는 사람을 식별할 수 있는 지 테스트했고 가짜를 식별할 수 있었다. |
2000 | 신경심리학자들이 MMPI-2 히스패닉 버전의 샘플과 페루 샘플을 비교했고 대부분의 기본 및 보충 척도에서 높은 유사성을 확인했다. |
2000 | 네덜란드의 심리학자인 A. A. 벤드리그(A. A. Vendrig)가 만성 통증과 동반되는 심리적 문제를 치료하기 전에 MMPI-2를 사용해서 다른 정신병리가 있는지 확인하고 만약에 다른 정신병리가 있다면 복합적인 처방을 통해 만성 통증과 동반되는 심리적 문제를 치료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고, 치료를 진행하는 중에도 MMPI-2를 사용해서 환자를 재평가할 수 있다고 했다. |
2003 | 미국의 심리학자인 아우크 텔레겐, 요세프 S. 벤-포라스, 존 L. 맥널티(John L. McNulty), 폴 A. 아르비시, 존 R. 그레이엄, 비벌리 캠머(Beverly Kaemmer)가 임상 척도의 심리적 측정 결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재구성된 임상 척도(Restructured Clinical Scales, RC Scales)를 개발했다. |
2003 | MMPI-2 검사 시 성별에 따라 T점수 및 해석에 차이를 두지 않기 위해 전체 규준 T점수를 개발했다. |
2008 | MMPI-2-RF를 출판했다. |
2016 | MMPI-A-RF를 출판했다. |
2020 | MMPI-3을 출판했다. |
MMPI(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다면적 인성 검사는 역사적으로 미국의 미네소타대학교(University of Minnesota) 출신의 교수 및 심리학자가 주도적으로 개발 중이고, 다양한 전문 분야의 심리학자와의 공동 연구로 매년 꾸준하게 검증 데이터를 축적하고 있으며 전 세계의 임상심리학자 또는 정신과 의사가 관리하고 해석하고 있다. MMPI는 영어, 이탈리아어, 독일어, 쿠바어, 프랑스어, 멕시코어, 일본어, 한국어, 페르시아어, 우르두어, 러시아어, 그리스어, 칠레어, 태국어, 중국어, 몽족어, 아랍어, 베트남어 등으로 번역되었고, 저작권은 미네소타대학교에 있다.
○ 한국어판 MMPI 배경
연도 | 연혁 |
---|---|
1963 | 정범모, 이정균, 진위교가 미국 MMPI를 한국에서 사용하기 위해 번역 및 개발했고 사용법을 자세히 설명하는 매뉴얼을 출판했다. |
1989 | 한국임상심리학회가 MMPI 한글판을 재표준화했다. |
1993 | 임상심리학자인 권정혜, 민병배가 서울인지치료상담센터를 설립했다. |
1996 | 한경희가 MMPI-2를 한글로 번역하고 MMPI-2 한글판 표준화를 위한 규범을 개발했다. |
1996 | 서울인지치료상담센터가 ‘선릉’에서 ‘압구정’으로 확장 이전했다. |
2001 | 서울인지치료상담센터에서 근무한 민병배, 이정흠, 이민식이 종합적인 심리학적 서비스를 위해 ㈜마음사랑을 설립했다. ㈜마음사랑은 MMPI-2와 TCI의 판권을 취득하고 한글판 표준화 작업을 시작했다. |
2003 | 서울인지치료상담센터와 ㈜마음사랑을 통합했다. 그동안 서울인지치료상담센터에서 담당한 상담센터 기능과 ㈜마음사랑을 ‘마음사랑상담센터’로 통합하면서 소아/청소년 상담영역을 확충했고, 서울인지치료상담센터에서 담당한 연구소 기능을 ‘마음사랑 인지치료연구소’로 분리했다. 그리고 ‘심리검사 출판/컨설팅 사업부’를 설립했다. |
2003 | MMPI-2와 MMPI-A 한글판을 표준화했다. |
2005 | MMPI-2와 MMPI-A 한글판을 정식 출판했다. |
2005 | MMPI-2 컨설팅 보고서(현 인사선발 보고서)를 출시했다. |
2007 | ‘심리검사 출판/컨설팅 사업부’를 종료하면서 마음사랑상담센터에서 ㈜마음사랑을 분리했고, 마음사랑인지치료연구소를 마음사랑인지행동치료센터로 개칭했다. |
2011 | MMPI-2-RF와 MMPI-2-RF 매뉴얼을 출판했다. |
2011 | MMPI-2 컨설팅 보고서(현 인사선발 보고서)를 업데이트 했다. MMPI-2RF- 컨설팅 보고서(현 인사선발 보고서)를 출시했다. |
2012 | MMPI-2, MMPI-2-RF, MMPI-A를 포함하는 MMPI 해석 보고서(현 MMPI 해석상담 보고서)를 출시했다. |
2015 | MMPI-2, MMPI-2-RF, MMPI-A를 포함하는 MMPI 실태조사용 보고서(현 스크리닝 보고서)를 출시했다. |
2016 | MMPI 해석상담 보고서를 업데이트했다. |
2017 | MMPI-A 매뉴얼 개정판을 출판했다. |
2018 | MMPI-A-RF와 MMPI-A-RF 매뉴얼을 출판했다. |
2020 | MMPI 온라인 검사를 사전 오픈했다. |
2001년에 ㈜마음사랑이 MMPI-2 판권을 취득한 이후 한글판 표준화 작업을 수행했고, 2005년에 MMPI-2와 MMPI-A 한글판을 출판했다.
MMPI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 종류
MMPI-2는 임상 척도를 중심으로 포괄적인 영역을 평가할 수 있고, MMPI-2-RF는 3개의 상위차원 척도를 중심으로 조금 더 핵심적인 영역을 평가할 수 있다. MMPI-2-RF의 문항 수가 MMPI-2보다 적어서 MMPI-2-RF가 MMPI-2의 단축형으로 보일 수 있는데, 검사 및 평가 방식이 다른 검사이다.
○ 다면적 인성검사
1. MMPI-3
(1) 미국판
출판사 |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
최초 발급 | 2020년 |
개정 발급 | – |
문항 수 | 335개 |
문항 검사 | 참과 거짓 중 선택 |
검사 시간 | 35 ~ 50분 |
검사 연령 | 만 18세 이상 |
규범 그룹 | 미국인 남성 810명과 여성 810명 |
MMPI-3은 정신 건강, 의료, 법의학 및 공공 안전 환경에 대한 현대적인 성격 평가로 MMPI의 역사와 강점을 기반으로 경험적으로 검증된 심리 평가를 위해 최신의 심리 측정 표준을 제공한다. MMPI-3에는 72개의 새로운 항목과 24개의 업데이트된 항목을 포함하고 MMPI-2-RF 척도에 새로운 척도를 추가했다.
※ MMPI-3 논란 - 2017년에 미국 임상심리학자인 앨런 F. 프리드먼(Alan F. Friedman)과 데이비드 S. 니콜스(David S. Nichols)가 미네소타 대학 출판부가 미국의 심리학자인 요세프 S. 벤-포라스(Yossef S. Ben-Porath)에게 MMPI-2-RF/MMPI-3 개발 자금을 비공개로 지급한 것은 편파적이며 편애하는 것이라고 했고, MMPI-3을 MMPI 및 MMPI-2가 아닌 MMPI-2-RF를 기반으로 개발하는 건 지난 70년 동안 축적된 MMPI 연구 성과를 무시한다고 했다. 그리고 오랜 기간의 연구를 통해 MMPI-2-RF의 핵심 척도인 RC 척도가 정신 병리를 감지하는 민감도가 떨어진다는 사실이 밝혀졌고, 미국 연방 항공국(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FAA)에서도 심리학자들이 항공 교통 관제사 등을 심사할 때 MMPI-2 대신 MMPI-2-RF를 사용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며 MMPI-3은 MMPI-2-RF의 재구성 판이므로 MMPI-2-RF-Revised로 명명해야 함에도 마케팅으로 MMPI-2를 대체하기 위해 MMPI-3으로 명명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 2020년에 미네소타 대학 출판부에서는 MMPI-3을 출판했다.
2. MMPI-2
(1) 미국판
출판사 |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
최초 발급 | 1989년 |
개정 발급 | 2001년, 2003년, 2009년 |
문항 수 | 567개 |
문항 검사 | 참과 거짓 중 선택 |
검사 시간 | 60 ~ 90분 |
검사 연령 | 만 18세 이상 |
규범 그룹 | 미국인 남성 1,138명과 여성 1,462명 |
T점수 | 전체 규준 & 성별 규준 |
MMPI-2는 사회적 및 개인적 부적응의 주요 증상 평가, 고위험 공공 안전 직책에 적합한 후보자 식별, 정신 장애에 대한 적절한 치료 방법 선택, 대학 및 직업 상담, 결혼 및 가족 상담에 사용할 수 있다.
(2) 한국판
저작권 |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
한국판 저작권 | ㈜마음사랑 |
한국판 저자 | 한경희, 김중술, 임지영, 이정흠, 민병배, 문경주 |
문항 수 | 567개 |
문항 검사 | 예와 아니오 중 선택 |
검사 시간 | 지필검사 60~ 90분 온라인검사 45 ~ 60분 |
검사 연령 | 만 19세 이상 |
규범 그룹 | 한국인 남성 651명과 여성 701명 |
T점수 | 전체 규준 & 성별 규준 |
– 9개의 타당성 척도로 검사 태도의 신뢰성 및 타당성을 확인한다.
– 10개의 임상 척도로 우울, 불안, 피해의식, 반사회성 등의 임상적 문제를 탐지한다.
– 9개의 재구성 임상 척도로 더 정확하게 심리적 부적응을 탐지한다.
– 5개의 성격병리 5요인 척도로 공격성, 충동성, 내향성 등의 성격 문제를 탐지한다.
– 15개의 내용 척도와 15개의 보충 척도로 분노, 낮은 자존감, 가정 문제, 직업적 곤란 등의 특수한 영역에서의 문제를 탐지한다.
3. MMPI-A
(1) 미국판
출판사 |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
최초 발급 | 1992년 |
개정 발급 | – |
문항 수 | 478개 |
문항 검사 | 참과 거짓 중 선택 |
검사 시간 | 60분 |
검사 연령 | 만 14 ~ 18세 |
규범 그룹 | 미국인 남성 805명과 여성 815명 |
T점수 | 성별 규준 |
MMPI-A는 청소년의 정신 병리를 탐지할 수 있는 전용 척도와 청소년에게 적합하게 고안된 고유의 기능을 포함한 성격 검사로 청소년이 문제를 식별하고 진단하고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을 준다.
(2) 한국판
저작권 |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
한국판 저작권 | ㈜마음사랑 |
한국판 저자 | 한경희, 김중술, 임지영, 이정흠, 민병배, 문경주 |
문항 수 | 478개 |
문항 검사 | 예와 아니오 중 선택 |
검사 시간 | 지필검사 50~ 70분 온라인검사 35 ~ 50분 |
검사 연령 | 만 13 ~ 18세 (중학생, 고등학생) |
규범 그룹 | 한국인 남성 775명과 여성 759명 |
T점수 | 성별 규준 |
– 7개의 타당성 척도로 검사 태도의 신뢰성 및 타당성을 확인한다.
– 10개의 임상 척도로 우울, 불안, 피해의식, 반사회성 등의 임상적 문제를 탐지한다.
– 5개의 성격 병리 5요인 척도로 공격성, 충동성, 내향성 등의 성격 문제를 탐지한다.
– 15개의 내용 척도와 6개의 보충 척도로 소외, 품행 문제, 낮은 포부, 학교 문제와 같은 청소년 고유의 문제를 탐지한다.
○ 다면적 인성검사 재구성판
1. MMPI-2-RF
(1) 미국판
출판사 |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
최초 발급 | 2008년 |
개정 발급 | – |
문항 수 | 338개 |
문항 검사 | 참과 거짓 중 선택 |
검사 시간 | 35 ~ 50분 |
검사 연령 | 만 18세 이상 |
규범 그룹 | 미국인 남성 1,138명과 여성 1,138명 |
T점수 | 전체 규준 |
MMPI-2-RF는 경험적으로 검증되고 개선된 심리 측정 평가를 제공한다. MMPI-2-RF는 심리적 기능 장애의 주요 징후 평가, 법의학 평가에서 전문가 증언을 위한 강력한 경험적 기반의 정보, 고위험 공공 안전 직책에 적합한 후보자 식별, 만성 통증 환자의 심리적 및 행동적 기능 장애 평가, 형사 사법 및 교정 환경에서 치료 및 관리, 대학 상담, 결혼 및 가족 상담에 사용할 수 있다.
(2) 한국판
저작권 |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
한국판 저작권 | ㈜마음사랑 |
한국판 저자 | 한경희, 문경주, 이주영, 김지혜 |
문항 수 | 338개 |
문항 검사 | 예와 아니오 중 선택 |
검사 시간 | 지필검사 35 ~ 50분 온라인검사 25 ~ 35분 |
검사 연령 | 만 19세 이상 |
규범 그룹 | 한국인 남성 651명과 여성 651명 |
T점수 | 전체 규준 |
– 8개의 타당성 척도로 적은 수의 문항으로도 검사 태도의 신뢰성 및 타당성을 효과적으로 확인한다.
– 신체적 문제에 대한 과대보고를 탐지할 수 있는 새로운 척도(Fs)를 추가했다.
– 기존의 임상 척도보다 변별 타당도가 크게 향상된 9개의 재구성 임상 척도로 더 정확하게 심리적 부적응을 탐지하고 경험적 상관 물에 근거해서 해석한다.
– 3개의 상위차원 척도로 기존의 임상 척도만으로는 찾아낼 수 없었던 상위차원을 발견한다.
– 23개의 특정 문제 척도로 수검자의 부적응 문제를 보다 구체적이고 효율적으로 평가한다.
2. MMPI-A-RF
(1) 미국판
출판사 |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
최초 발급 | 2016년 |
개정 발급 | – |
문항 수 | 241개 |
문항 검사 | 참과 거짓 중 선택 |
검사 시간 | 지필검사 30 ~ 45분 컴퓨터검사 25 ~ 30분 |
검사 연령 | 만 14 ~ 18세 |
규범 그룹 | 미국인 남성 805명과 여성 805명 |
T점수 | 전체 규준 |
MMPI-A-RF는 성인용 최신 버전인 MMPI-2-RF 기반에 여러 가지 청소년 전용 척도를 포함하는 경험적 성격 평가이다. MMPI-A-RF는 다양한 상황에서 진단 및 치료 계획, 잠재적인 문제와 가능한 근본 원인의 조기 식별, 청소년 지원 네트워크에서 부모, 교사 및 다른 사람들과 정보 공유에 사용할 수 있다.
(2) 한국판
저작권 |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
한국판 저작권 | ㈜마음사랑 |
한국판 저자 | 한경희, 임지영, 문경주, 육근영, 김지혜 |
문항 수 | 241개 |
문항 검사 | 예와 아니오 중 선택 |
검사 시간 | 지필검사 35 ~ 45분 온라인검사 20 ~ 35분 |
검사 연령 | 만 13 ~ 18세 (중학생, 고등학생) |
규범 그룹 | 한국인 남성 759명과 여성 759명 |
T점수 | 전체 규준 |
– 6개의 타당성 척도로 적은 수의 문항으로도 검사 태도의 신뢰성 및 타당성을 효과적으로 확인한다.
– 기존의 임상 척도보다 변별 타당도가 크게 향상된 9개의 재구성 임상 척도로 더 정확하게 심리적 부적응을 탐지하고 경험적 상관 물에 근거해서 해석한다.
– 3개의 상위차원 척도로 기존의 임상 척도만으로는 찾아낼 수 없었던 상위차원을 발견한다.
– 25개의 특정 문제 척도로 수검자의 부적응 문제를 보다 구체적이고 효율적으로 평가한다.
MMPI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 한글판 척도
MMPI-2 각 척도가 무엇을 의미하는 지 기록했다. MMPI-2는 전문가가 각 척도를 개별로 해석하는 게 아니라 복합적으로 해석하므로 각 척도가 의미하는 바를 보고 해석을 시도하면 안 된다. 만약에 상담사로부터 MMPI-2 검사 결과지를 받았더라도 상담사에게 들었던 해석 상담 내용을 되새기는 용도로 사용해야지 검사자가 직접 해석을 시도하려고 하면 안 된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상담사에게 문의해야 한다.
○ 척도 점수
1. T점수
MMPI-2는 문항의 응답에 따라 척도마다 점수를 매기고 척도 간의 점수를 비교해서 심리 상태를 평가한다.
(1) T점수 정의
통계학에서 편차(Deviation)를 알면 분산(Variance, Var)을 알 수 있고, 분산을 알면 표준 편차(Standard Deviation, SD)를 알 수 있고, 표준 편차를 알면 표준 점수(Standard Score, Z-Score)를 알 수 있고, 표준 점수를 알면 T점수를 알 수 있다.
통계학에서 편차는 각 관측값에서 전체 관측값의 평균값을 뺀 값으로 각 관측값과 평균의 차이를 보여주고, 통계학에서 분산은 편차를 제곱한 값을 모두 더한 후 전체 관측값의 개수로 나눈 값으로 각 관측값이 평균적으로 전체 평균값에서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지 보여주고, 통계학에서 표준 편차는 분산을 제곱근(Square root)한 값으로 분산의 값을 축소 시켜서 통계 집단에서 데이터가 어떻게 퍼져 있는지 간단하게 보여준다. 예를 들어서 A의 값이 50이고, B의 값이 100일 때 평균값은 75이고 A의 편차는 +25이고, B의 편차는 -25이다. 이때 분산은 +25를 제곱한 625와 -25를 제곱한 625를 합한 값을 전체 관측값의 개수인 2로 나눈 312.5이고, 표준 편차는 312.5를 제곱근 한 17.677669529664이다.
표준 점수는 원점수가 정규 분포(Normal Distribution)를 따른다고 가정하고 검사자의 원점수에서 모집단의 원점수 평균을 빼고, 원점수의 표준 편차로 나눈 값으로 모집단에서 검사자의 상대적인 위치를 보여준다. 다만 표준 점수는 평균이 0이고 표준 편차가 1인 만큼 값이 소수점을 가지는 양수나 음수다 보니 시각적으로 값을 구분하기 쉽도록 평균이 50이고 표준 편차가 10인 T점수로 변환해서 사용한다. 표준 점수에 10을 곱한 후 50을 더하면 T점수가 된다. T점수에서 평균은 50이므로 50점 이상은 평균 이상이고, 50점 미만은 평균 미만이다.
(2) MMPI-2에서의 T점수
MMPI-2는 Z점수에 기반한 T점수와 MMPI에 최적화한 동형 T점수(Uniform T Score)를 사용한다. MMPI는 척도마다 관측값의 분포도가 다르므로 서로 다른 척도 간에 T점수가 같더라도 동일한 분포를 둔다고 볼 수 없어서 T점수가 같을 때 관측값의 분포도가 ‘비슷한’ 동형 T점수를 사용한다. MMPI-2는 동형 T점수에 따라 각 척도를 매우 높음, 높음, 보통, 평균, 낮음으로 본다.
MMPI-2 척도 중에서 VRIN(무선반응 비일관성), TRIN(고정반응 비일관성), F(비전형), Fb(비전형-후반부), Fp(비전형-정신병리), L(부인), K(교정), S(과장된 자기 제시), Mf(남성성-여성성), Si(내향성)은 Z점수에 기반한 T점수이고, 임상 척도(Mf, Si 제외), 재구성 임상 척도, 내용 척도, 내용 소척도, 성격 병리 5요인 척도는 동형 T점수이다.
2. 전체 규준과 성별 규준 T점수
남자와 여자는 신체가 다르고 감정을 경험하고 이해하는 방식이 다르므로 성격과 심리가 다르다는 사실이 역사적으로 다양한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고, 시대와 문화적 차이로 인해 성별에 따른 성격과 심리의 양상이 다르다는 사실도 입증되었다. MMPI는 1940년에 처음 등장할 때부터 성별에 따른 규준을 포함했고, 1989년에 MMPI-2를 출판할 때도 성별에 따른 규준을 포함했다. 그리고 1990년 이후에도 수많은 연구를 통해 성별에 따라 성격 및 심리 검사의 결과가 명확히 다르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MMPI-2 검사도 성별 규준 T 점수를 사용해서 검사자가 남자인지 또는 여자인지에 따라 모집단을 달리해서 T점수를 다르게 매기고 해석도 달리했는데 1991년에 미국에서 성별, 인종, 종교 등을 선발 및 고용 장면에서 반영하는 행위가 금지됨에 따라 인사 선발 시 성별에 따라 다른 규준을 사용하는 게 금지되었고, 2003년에 MMPI-2 검사에서도 성별에 의한 차별이 생기지 않도록 전체 규준 T점수를 개발했다. 현재 MMPI-2는 전체 규준 T점수를 기반으로 해석한다.
3. K교정점수
K(교정) 척도의 T점수가 높을수록 검사자가 심리적인 문제로 비의도적으로 방어적인 응답을 했을 가능성이 크고 임상 척도의 T점수가 낮을 가능성이 크므로 자가 보고식 심리 검사의 단점을 보완하고 더 정확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MMPI-2의 경우 K(교정)의 T점수가 높은 만큼 Hs(건강염려증), Pd(반사회성), Pt(강박증), Sc(조현병), Ma(경조증) 척도의 원점수를 조정한다. 하지만 미네소타 대학 출판부에서 K 교정의 타당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 결과 K 교정이 임상 척도의 유효성을 향상시키지 않고 어떤 경우에는 유효성을 낮출 수 있으므로 K 교정하지 않는 점수를 기반으로 기존 문헌의 코드 타입을 참고해서 해석해야 한다고 했다.
○ MMPI-2 한글판 타당도 척도와 임상 척도
1. 타당도 척도(Validity Scales)
존재하지 않는 정신병리를 있다고 거짓말하거나 증상의 심각성을 의도적 또는 비의도적으로 과장하거나 축소하는 등 검사의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해 타당성 척도를 사용한다.
(1) CNS(Cannot Say, 무응답)
검사자가 부주의해서 문항에 응답하지 않고 지나치거나 ‘그렇다’와 ‘아니다’에 동시에 응답할 수 있고, 문항에 거짓으로 응답하기는 싫지만 인정하기 싫어서 응답하지 않을 수 있고, 검사에 적대감을 가지고 있어서 응답하지 않을 수 있고, 성격이 우유부단해서 ‘그렇다’와 ‘아니다’ 중에서 선택하지 못할 수 있고, 문항을 이해하지 못해서 응답하지 못할 수 있고, 머릿속이 혼란스러워서 응답하지 못할 수 있다. 응답하지 않은 문항 수에 따라 검사 결과를 무효로 보거나 유효하다고 본다.
(2) VRIN(Variable Response Inconsistency, 무선반응 비일관성)
내용이 비슷하거나 반대인 문항으로 검사자가 무작위로 응답했는지 감지한다. T점수에 따라서 검사 결과를 무효로 보거나, 일부 문항에 대해 비일관적으로 응답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보거나, 각 문항을 경계하면서 아주 신중하게 응답했다고 본다.
(3) TRIN(True Response Inconsistency, 고정반응 비일관성)
내용이 반대인 문항으로 검사자가 내용과 관계없이 일관되게 ‘그렇다’ 또는 ‘아니다’라고 응답했는지 감지한다. T점수 옆에 ‘T’가 붙으면 ‘그렇다’로 응답한 경향이 강하다는 의미이고, ‘F’가 붙으면 ‘아니다’로 응답한 경향이 강하다는 의미이다. T점수에 따라 검사 결과를 무효로 보거나, 일부 문항에 관해 내용과 관계없이 일관되게 ‘그렇다’ 또는 ‘아니다’라고 응답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본다.
(4) F(Infrequency, 비전형)
정신병리 증상을 과장하는지 감지한다. T점수에 따라 검사 결과를 무효로 보거나, 검사 결과가 유효하지만 정신 병리를 과장해서 표현했다고 보거나, 검사 결과를 유효하다고 보거나, 자신의 상태가 좋게 보이도록 정신병리를 부인하거나 축소했다고 본다.
(5) F(B)(Back Infrequency, 비전형-후반부)
문항의 후반부에서 정신병리를 과잉 응답했는지 감지한다. T점수에 따라 정신병 환자가 아니라면 검사 결과를 무효라고 보거나, 심각한 정신병리가 아니라면 검사 결과를 무효라고 보거나, 심각한 정신병리가 있을 수도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보거나, 자신의 상태가 좋게 보이도록 정신병리를 부인하거나 축소했다고 본다.
(6) F(P)(Infrequency Psychopathology, 비전형-정신병리)
의도적으로 정신병리를 과잉 응답했는지 감지한다. T점수에 따라 검사 결과를 무효로 보거나, 자신의 정신병리를 의도적으로 과장했다고 보거나, 자신의 정신 건강 상태를 정확하게 응답했다고 보거나, 심각한 정신병리가 있다고 보거나, 비의도적으로 과잉 응답했다고 본다.
(7) FBS(Symptom Validity, 증상 타당도)
신체적/인지적 증상을 과장하는지 감지한다. T점수에 따라 검사 결과를 무효로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본다. FBS 척도는 다양한 연구를 통해 타당도가 의심스러운 사례가 다소 발견되어 검사자의 상황에 맞춰 제한적으로 해석한다.
(8) L(Lie, 부인)
자신을 좋게 보이려고 의도적으로 정신병리를 축소 응답했는지 감지한다. T점수에 따라 검사 결과를 무효로 보거나, 매우 전통적인 사고를 하지 않는 한 검사 결과를 무효로 보거나, 좋은 인상을 주기 위해 자신을 지나치게 긍정적으로 표현한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보거나, 사소한 결점도 인정한다고 본다.
(9) K(Correction, 교정)
비의도적으로 정신병리를 축소 응답했는지 감지한다. 심각한 심리적 문제가 있지만 정상적인 모습을 보인다면 K 척도의 점수가 높다. T점수에 따라 검사 결과를 무효로 보거나, 정상인인 경우 좋은 교육을 받고 사회에 잘 적응하고 자기 삶을 통제하는 사람이라고 보거나, 정신병리의 징후가 있는 사람의 경우 경계심이 강하고 방어적이라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본다.
(10) S(Superlative Self-Presentation, 과장된 자기 제시)
MMPI-2 전체 문항에 대한 축소 응답을 감지한다. T점수에 따라 검사 결과를 무효로 보거나, 자신을 더 좋게 보는 경향이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본다.
2. 임상 척도(Clinical Scales)
T점수에 따라 유의미하게 판단한다.
(1) Hs(Hypochondriasis, 건강염려증)
신체 증상이나 기능에 과도한 관심과 집착이 있거나 신체적 증상을 과장해서 다른 사람을 조정하려고 하는지 감지한다. T점수에 따라 심각한 신체 문제가 있거나 만성 통증이 있거나 신체적 증상에 대한 망상으로 다른 사람을 조종하고 지배하려고 할 수 있다고 보거나, 만성 통증이 있거나 건강에 불만이 있거나 건강에 집착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때 신체적 증상에 대한 망상으로 다른 사람을 조정하고 지배하려고 할 수 있다고 보거나, 자기 신체에 불만이 있거나 기력이 없을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본다.
(2) D(Depression, 우울증)
검사할 당시에 검사자가 가진 비관이나 슬픈 기분을 감지한다. T점수에 따라 심각한 우울증이 있거나 자살 생각을 하거나 자신이 무가치하거나 무능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고 보거나, 중증도 우울증이 있거나 걱정이 많거나 신체적 불만이 있을 수 있다고 보거나, 현재 생활에 불만이 있거나 자신감이 부족할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본다.
(3) Hy(Hysteria, 히스테리)
현실적 어려움이나 갈등을 회피하기 위해 부인 기제를 사용하는 경향 및 정도를 감지한다. T점수에 따라 극심한 신체적 불만이 있거나 전환 장애가 있거나 만성 통증이 있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때 특이한 신체 증상이 발현할 수 있다고 보거나, 신체적 불만이 있거나 과도하게 외향적으로 행동하거나 긍정적인 측면만 바라보고 긍정적인 감정을 잘 나타내거나 만성 통증이 있거나 신체 증상에 대한 통찰력이 부족할 수 있다고 보거나, 신체적 불만이 있거나 자기중심적이거나 심리적으로 미성숙하거나 자신의 문제를 부정하거나 자기 암시적일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보거나, 냉소적이거나 불신하거나 관습적이거나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있을 수 있다고 본다.
(4) Pd(Psychopathic Deviate, 반사회성)
권위적인 대상에 대한 불만이나 사회와 괴리 등을 감지한다. T점수에 따라 반사회적으로 행동하거나 법률적인 문제를 겪고 있을 수 있다고 보거나, 반항적이거나 충동적이거나 불만족스럽거나 성취감이 낮거나 이혼 등의 가족 문제를 겪고 있을 수 있다고 보거나, 전통적인 관습을 거부하거나 자기중심적이거나 외향적이거나 활력이 넘칠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본다.
(5) Mf(Masculinity-Femininity, 남성성-여성성)
정신병리와 관계없이 남성 또는 여성의 특성을 얼마나 지니고 있는지 감지한다. 남성은 T점수에 따라 전통적인 남성상에 대해 흥미가 없거나 남성적 역할에 대해 불안을 느끼거나 경쟁적이고 논리적인 사고방식을 지녔거나 호기심이 많고 공상력이 풍부하거나 대인관계에 수동적이거나 의존적일 수 있다고 보거나, 일반적인 남성의 사고방식을 지녔다고 보거나, 전통적인 남성상에 흥미와 관심이 많거나 남성적인 성향이거나 공격적이거나 모험적이거나 생각보다 행동이 앞설 수 있다고 본다. 그리고 여성은 T점수에 따라 전통적인 여성상에 흥미가 없거나 경쟁적이거나 자유분방하거나 자발적으로 행동하거나 가족 갈등이 있을 수 있다고 보거나, 일반적인 여성의 사고방식을 지녔다고 보거나, 전통적인 여성상에 관심이 많거나 수동적이거나 복종적이거나 양보심이 많거나 대인관계에서 자기주장을 못 하거나 자기 연민이 있을 수 있다고 본다.
(6) Pa(Paranoia, 편집증)
대인관계에서의 의심성, 적대성, 민감성, 피해의식, 자기 정당성을 감지한다. T점수에 따라 박해에 대한 과대망상이 있거나 사고 장애가 있을 수 있다고 보거나, 경계심이 강하거나 극도로 민감하거나 학대받는다고 느끼거나 적대감을 느끼거나 논쟁적일 수 있다고 보거나, 경계하거나 지나치게 민감하거나 불신하거나 분개할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본다.
(7) Pt(Psychasthenia, 강박증)
오랫동안 지속된 만성적 불안을 감지한다. T점수에 따라 두려움, 불안, 긴장, 우울증 등 극심한 심리적 혼란을 겪고 있거나 집중할 수 없거나 강박 장애가 있을 수 있다고 보거나, 중간 정도의 불안이나 우울증이 있거나 불면증이 있거나 죄책감이 있거나 완벽주의가 있거나 용납할 수 없는 느낌이 들 수 있다고 보거나, 불안하거나 긴장하거나 불편하거나 자신감이 부족하거나 우유부단하거나 수줍음이 많거나 내성적일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본다.
(8) Sc(Schizophrenia, 조현병)
심각한 정신적 혼란을 감지한다. T점수에 따라 환경적 또는 스트레스에 기반한 정신분열증이 있거나 환각이나 망상이 있거나 사고 장애가 있을 수 있다고 보거나, 특이한 신념이 있거나 괴상한 행동을 하거나 혼란스러워하거나 과도한 환상이나 공상이 있을 수 있다고 보거나, 다른 사람에 관한 관심이 제한적이거나 무력감이 있거나 불안감이 있을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본다.
(9) Ma(Hypomania, 경조증)
비 맥락적인 행복감이나 억제되지 않는 행동 장애를 감지한다. T점수에 따라 과대망상증이 있거나 자신을 과대평가하거나 과잉행동을 할 수 있다고 보거나, 충동적이거나 짜증에 대한 내성이 낮거나 자신을 과대평가하거나 과도하게 외향적이거나 스트레스를 받으면 일을 끝맺지 못할 수 있다고 보거나, 활동적이거나 외향적이거나 충동적이거나 창의적이거나 진취적이거나 반항적일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본다.
(10) Si(Social Introversion, 내향성)
혼자 있는 것을 선호하는지 다른 사람과 함께 있는 것을 선호하는지 감지한다. T점수에 따라 극단적인 사회적 불안이 있거나 사회적 위축이 있을 수 있다고 보거나, 내성적이거나 우울하거나 죄책감이 있거나 자신감이 없거나 관심이 부족하거나 복종하거나 순응하거나 감정적으로 지나치게 통제된 상태일 수 있다고 보거나, 수줍음이 있거나 소심하거나 자신감이 부족할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보거나, 외향적이거나 사교적이거나 경쟁적이거나 자립적일 수 있다고 보거나, 진실성이 부족하거나 기회주의적으로 행동할 수 있다고 본다.
○ MMPI-2 한글판 임상 소척도
임상 척도의 의미를 명확하게 한다. 임상 척도와 임상 소척도의 T점수에 따라 유의미하게 판단한다.
1. 해리스-링고스 하위 척도(Harris-Lingoes Subscales)
소척도들 간에 문항이 중복되어 있고, 일부 소척도는 문항수가 매우 적고, 소척도와 관련된 연구가 제한적이어서 신뢰하기 어려우므로 해석에 유의해야 한다.
(1) D1(Subjective Depression, 주관적 우울감)
T점수에 따라 우울하거나 슬프거나 비관적일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보거나, 쾌활하거나 낙관적일 수 있다고 본다.
(2) D2(Psychomotor Retardation, 정신운동 지체)
T점수에 따라 위축되거나 무기력할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보거나, 공격적인 감정을 인정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고 본다.
(3) D3(Physical Malfunctioning, 신체적 기능 장애)
T점수에 따라 건강 악화에 대한 집착과 볼만이 있을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보거나, 신체가 건강하다고 본다.
(4) D4(Mental Dullness, 둔감성)
T점수에 따라 피곤하거나 긴장하거나 집중력과 기억력이 낮거나 슬프거나 자존감이 낮을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보거나, 행복하거나 자신감이 있거나 삶이 가치 있고 활력이 넘친다고 여길 수 있다고 본다.
(5) D5(Brooding, 깊은 근심)
T점수에 따라 무기력하거나 지나치게 민감하거나 사고 과정에 대한 통제력 상실을 두려워할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보거나, 행복하거나 삶이 가치 있다고 여겨지거나 자신감이 있거나 활력이 넘칠 수 있다고 본다.
(6) Hy1(Denial of Social Anxiety, 사회적 불안의 부인)
T점수에 따라 외향적이거나 말이 많거나 관습에 쉽게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보거나, 내성적이거나 사회적 기준에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본다.
(7) Hy2(Need for Affection, 애정 욕구)
T점수에 따라 순진하거나 낙관적이거나 신뢰하거나 적대감을 거부하거나 타인의 관심과 애정에 대한 욕구가 강하거나 대립을 피할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보거나, 비판적이거나 다른 사람을 의심하거나 적대감과 복수심을 인정할 수 있다고 본다.
(8) Hy3(Lassitude-Malaise, 권태-무기력)
T점수에 따라 모호한 신체 불만으로 집중력이 저하되었거나 식욕 부진이 있거나 우울함 및 불행한 가정환경이 있을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보거나, 건강하거나 만족하거나 활기찰 수 있다고 본다.
(9) Hy4(Somatic Complaints, 신체증상 호소)
T점수에 따라 메스꺼움, 실신, 고통의 억제 및 전환, 적대감에 대한 거부가 있을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보거나, 신체적 불만을 거부하거나 적대감을 인정할 수 있다고 본다.
(10) Hy5(Inhibition of Aggression, 공격성의 억제)
T점수가 높으면 결단력이 있거나 민감하거나 공격적인 충동을 거부할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보거나, 적대적인 충동을 인정하거나 우유부단하거나 둔감할 수 있다고 본다.
(11) Pd1(Familial Discord, 가정 불화)
부모나 배우자의 문제로 인해 상황적 스트레스 지수에 따라 T점수가 달라진다. T점수에 따라 가정이 불쾌하거나 사랑과 이해가 부족할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보거나, 가족 상황을 지나치게 통제하거나 횡포하지 않고 사랑하고 이해할 수 있다고 본다.
(12) Pd2(Authority Problems, 권위 불화)
실제 권위 갈등보단 분노와 연관이 있다. T점수에 따라 독단적이거나 반항적이거나 분개할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보거나, 권위에 순응하거나 지나치게 독단적이지 않을 수 있다고 본다.
(13) Pd3(Social Imperturbability, 사회적 침착성)
T점수에 따라 사회적 불안을 거부하거나 독단적일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보거나, 사회적 불안에 순응하거나 수줍음이 있을 수 있다고 본다.
(14) Pd4(Social Alienation, 사회적 소외)
T점수에 따라 소외되거나 오해받거나 불행하거나 사랑받지 못하거나 비난을 외부화하거나 지나치게 민감하거나 자기중심적이거나 사려 깊지 않을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보거나, 소속감이 있거나 중요한 사람을 사랑 또는 이해하거나 만족스러운 사회적 관계를 맺을 수 있다고 본다.
(15) Pd5(Self-Alienation, 내적 소외)
T점수에 따라 우울하거나 집중하기 어렵거나 과거 행동에 대한 죄책감이나 회한이 있거나 과도하게 술을 마실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보거나, 편안한 행복에 안주할 수 있다고 본다.
(16) Pa1(Persecutory Ideas, 피해의식)
실제로 괴롭힘을 당하고 있지 않은 한 못살게 구는 것에 대한 망상을 감지한다. T점수에 따라 비난을 외부화하거나 투사를 활용하거나 오해와 의심을 받을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보거나, 이해받고 있다고 느끼거나 못살게 구는 것에 관한 생각을 거부한다고 본다.
(17) Pa2(Poignancy, 예민성)
T점수에 따라 고집이 세거나 지나치게 민감하거나 지나치게 주관적이거나 오해받거나 흥분이 잦거나 행동할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보거나, 이해받거나 행동하지 않을 수 있다고 본다.
(18) Pa3(Naivete, 순진성)
T점수에 따라 다른 사람에 대해 순진하거나 자신과 다른 사람을 신뢰하거나 다른 사람을 정신한 사람으로 여기고 적대감을 거부할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보거나, 다른 사람을 의심하거나 적대감과 분개심을 인정할 수 있다고 본다.
(19) Sc1(Social Alienation, 사회적 소외)
T점수에 따라 오해와 소외감을 느끼거나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대신하거나 피해 주기를 원한다고 여기거나 가족의 사랑과 지원이 부족하다고 묘사하거나 사랑에 빠진 적이 없다고 인정하거나 사회적 관계를 피할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보거나, 이해와 사랑을 느끼거나 가족에 대한 적대감을 거부하거나 보람 있는 사회적 관계를 즐길 수 있다고 본다.
(20) Sc2(Emotional Alienation, 정서적 소외)
T점수에 따라 우울하거나 무관심할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보거나, 낙관적이거나 다른 사람들과 건강한 관계를 즐길 수 있다고 본다.
(21) Sc3(Lack of Ego Mastery – Cognitive, 자아통합 결여 – 인지적)
사고 장애를 감지한다. T점수가 높으면 비현실감이 있거나 집중력이 떨어지거나 사고 통제력의 상실에 대한 두려움이 있을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보거나, 집중에 대한 어려움이 있거나 비현실감 또는 비정상적인 사고 과정을 거부할 수 있다고 본다.
(22) Sc4(Lack of Ego Mastery – Conative, 자아통합 결여 – 동기적)
T점수에 따라 우울하거나 대처에 어려움이 있거나 환상으로 회귀하거나 비관적이거나 자살에 관한 생각이 있을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보거나, 삶을 가치 있다고 느끼거나 상황에 대처할 에너지가 있을 수 있다고 본다.
(23) Sc5(Lack of Ego Mastery – Defective Inhibition, 자아통합 결여 – 억제부전)
충동 조절을 평가한다. T점수에 따라 감정이나 충동을 제어할 수 없는 느낌이 있거나 과민성이 있거나 과잉 행동이 있을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보거나, 충동이나 감정을 통제할 수 없는 느낌을 거부할 수 있다고 본다.
(24) Sc6(Bizarre Sensory Experiences, 기태적 감각 경험)
신체 망상을 감지한다. T점수에 따라 환각이 보이거나 이상한 촉각 감각이나 청각 또는 운동 감각의 왜곡을 인정할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보거나, 신체 이미지의 변화나 감각 또는 이인화 느낌의 경험을 거부할 수 있다고 본다.
(25) Ma1(Amorality, 비도덕성)
T점수에 따라 다른 사람을 이기적이거나 기회주의적이라고 생각하며 자신도 이기적이거나 기회주의적이거나 착취적인 경향을 다른 사람에게 투사하여 조작성을 정당화할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보거나, 다른 사람이 이기적이거나 기회주의적이라고 생각하지 않을 수 있다고 본다.
(26) Ma2(Psychomotor Acceleration, 심신운동 항진)
T점수에 따라 말, 생각, 운동 활동이 빨라지거나 긴장하거나 지루함을 극복하기 위해 위험을 찾을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보거나, 긴장을 거부하거나 침착하거나 위험을 피할 수 있다고 본다.
(27) Ma3(Imperturbability, 냉정함)
정상인이라면 외향을 의미하고, 정신병리가 있다면 방어성과 무감각을 의미한다. T점수에 따라 다른 사람의 의견과 가치에 관한 관심이 거의 없거나 사회적 불안을 거부하거나 외향적일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보거나, 타인의 의견에 쉽게 영향을 받거나 조바심을 거부할 수 있다고 본다.
(28) Ma4(Ego Inflation, 자아팽창)
T점수에 따라 자신의 가치를 과대평가하거나 거만하거나 다른 사람이 자신에게 명령했을 때 분개하거나 참지 못할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보거나, 자기 비판적이거나 자기 가치를 현실적으로 판단하거나 다른 사람이 자신에게 명령했을 때 분개하지 않을 수 있다고 본다.
2. 사회적 내향성 하위 척도(Social Introversion Subscales)
(1) Si1(Shyness/Self-Consciousness, 수줍음/자의식)
T점수에 따라 사회적 상황에서 불편함이 있거나 수줍음이 있거나 쉽게 당황하거나 잡담 회피 및 새로운 상황에 대해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본다.
(2) Si2(Social Avoidance, 사회적 회피)
T점수에 따라 다른 사람과의 접촉 및 활동을 싫어하거나 파티, 모임, 춤, 사교를 싫어할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본다.
(3) Si3(Alienation – Self and Others, 내적/외적 소외)
T점수에 따라 자기 자신과 타인에 대해 비판적이거나 타인을 의심하거나 자신을 낮추거나 부족함을 느끼거나 자존감과 자신감이 부족하거나 집중력이 약하거나 우울하거나 강박적인 생각이나 질투할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본다.
○ MMPI-2 한글판 재구성 임상 척도
임상 척도 간에 여러 가지 문항을 공유하다 보니 각 임상 척도를 개별 해석하는 데 어려움이 있고 임상 척도가 상승하는 원인을 명확하게 찾기 어려운 부분이 있어서 기존의 임상 척도를 경험적으로 검증하고 광범위하게 중복된 문항을 제거하고 판별 타당도를 개선하기 위해 재구성 임상 척도를 개발했다. 재구성 임상 척도는 각 척도를 복합적으로 해석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해석한다. 다만 오랜 세월에 걸쳐 다양한 연구 결과가 축적된 임상 척도와는 달리 경험적 연구가 부족해서 기존의 임상 척도를 보충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T점수에 따라 유의미하게 판단한다.
(1) RCd(Demoralization, 의기소침)
전반적인 정서적 혼란을 감지한다. T점수에 따라 상당한 정서적 혼란을 경험하고 있거나 정서적 혼란에 압도되어 있거나 현재 상황을 대처할 수 없는 상태라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본다.
(2) RC1(Somatic Complaints, 신체증상 호소)
신체적인 불만을 감지하며 Hs(건강염려증) 척도와 유사하다. T점수에 따라 신체적인 문제에 극단적으로 집착하고 원인에 대한 심리적인 해석을 거부할 소지가 높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본다.
(3) RC2(Low Positive Emotions, 낮은 긍정 정서)
정서의 상태가 긍정적인지 감지한다. T점수에 따라 불안하거나 비관적이거나 의사결정에 불편함을 느끼거나 성취에 대한 기대가 낮거나 우울증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본다.
(4) RC3(Cynicism, 냉소적 태도)
다른 사람을 신뢰하는지 신뢰하지 않는지 감지한다. T점수에 따라 다른 사람을 믿지 못하거나 남을 배려하지 않거나 자신만을 생각하거나 대인 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보거나, 순진하거나 남을 지나치게 신뢰하거나 남에게 잘 속을 수 있다고 본다.
(5) RC4(Antisocial Behavior, 반사회적 행동)
공격성, 적대감, 거짓말하려는 경향, 약물 남용, 갈등 관계를 감지한다. T점수에 따라 화를 잘 내거나 논쟁적이거나 남을 속이려는 경향이 있거나 사회적 규범을 준수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거나 약물을 남용하거나 가족 간에 갈등이 있을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본다.
(6) RC6(Ideas of Persecution, 피해의식)
못살게 구는 것에 대한 공상을 감지한다. T점수에 따라 정신분열증이나 망상 장애가 있거나 극단적으로 못살게 구는 것에 대한 망상이 있을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본다.
(7) RC7(Dysfunctional Negative Emotions, 역기능적 부정 정서)
부정적인 정서를 감지한다. T점수에 따라 불안이나 짜증 등 다양한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고 있거나 비판에 대해 지나치게 예민할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본다.
(8) RC8(Aberrant Experiences, 기태적 경험)
비정상적인 경험을 감지한다. T점수에 따라 정신분열증이나 망상 장애가 있을 수 있거나 환각이나 망상을 현실인 것처럼 느끼거나 분열형 인격 장애가 있을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본다.
(9) RC9(Hypomanic Activation, 경조증적 상태)
경조증을 감지한다. T점수에 따라 경조증이나 조증이 있을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본다.
○ MMPI-2 한글판 내용 척도
임상 척도에서 직접 다루지 않는 정보를 제공한다. T점수에 따라 유의미하게 판단한다.
(1) ANX(Anxiety, 불안)
T점수에 따라 긴장, 신체 문제, 수면 장애, 걱정, 집중력 저하로 인한 불안 증세가 있거나 정신을 잃는 것에 두려워 하거나 우울증이 있거나 강박적인 경향이 있거나 비관적이거나 의기소침해 있거나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본다.
(2) FRS(Fears, 공포)
T점수에 따라 높은 곳, 피, 돈, 뱀, 쥐, 거미, 불, 폭풍, 물, 흙, 집을 떠나는 것, 실내에 갇히는 것 등 특정한 것에 대한 두려움이 있을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본다.
(3) OBS(Obsessiveness, 강박성)
T점수에 따라 문제에 대해 지나치게 생각해서 결정을 내리는 데 매우 어려움을 겪거나 중요하지 않은 것에 반복적으로 집착하거나 자기 생각에 지나치게 압도될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본다.
(4) DEP(Depression, 우울)
T점수에 따라 불행하다고 느끼거나 쉽게 울거나 공허함을 느끼거나 자살을 생각하거나 지나치게 민감할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본다.
(5) HEA(Health Concerns, 건강염려)
T점수에 따라 위장 증상(변비, 메스꺼움, 구토)이나 심혈관 증상(심장 통증 또는 흉통)이나 신경학적 증상(경련, 현기증, 실신, 마비)나 감각 문제(시력 저하, 청력 저하)나 피부 문제나 호흡기 문제나 두통이나 목이 아프다고 할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본다.
(6) BIZ(Bizarre Mentation, 기태적 정신상태)
T점수에 따라 청각, 시각, 후각을 포함한 환각을 느끼거나 자신이 특별한 힘이나 능력이 있다고 느끼거나 편집증적인 생각을 할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본다.
(7) ANG(Anger, 분노)
T점수에 따라 짜증을 내거나 참을성이 없거나 고집이 세거나 자제력이 낮거나 물건이나 사람에 대해 신체적으로 학대하거나 언어적인 학대를 할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본다.
(8) CYN(Cynicism, 냉소적 태도)
T점수에 따라 다른 사람에게 부정적인 태도를 유지하거나 다른 사람의 행동 뒤에 숨겨진 부정적인 동기를 기대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적대감이 있거나 다른 사람이 상대를 이용하기 위해 우호적으로 행동한다고 불신할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본다.
(9) ASP(Antisocial Practices, 반사회적 특성)
청소년의 반사회적인 행동을 감지하는데 폭력적인 행동과는 관련이 없다. T점수에 따라 절도 등 법을 어기거나 법을 회피하는 것을 용납할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본다.
(10) TPA(Type A, A 유형 행동)
T점수에 따라 참을성이 없거나 짜증을 잘 내거나 시간을 의식해서 서두르거나 대인관계가 위압적이거나 자신의 작업을 방해하는 다른 사람에게 쉽게 짜증을 내거나 시기심이 있거나 경쟁적이거나 완고하거나 일 중독일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본다.
(11) LSE(Low Self-Esteem, 낮은 자존감)
T점수에 따라 자신에 대한 평가가 낮거나 자신을 좋아하지 않거나 무기력하거나 서툴거나 부담스럽거나 다른 사람이 자신을 좋아한다고 상상할 수 없거나 칭찬을 받아들이기 어렵거나 자신감이 없거나 과민할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본다.
(12) SOD(Social Discomfort, 사회적 불편감)
T점수에 따라 다른 사람과 함께 있으면 불편함을 느끼고 혼자 있는 것을 선호할 수 있고 사회적 또는 집단적 상황을 피할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본다.
(13) FAM(Family Problems, 가정 문제)
T점수에 따라 가정불화가 있거나 가족을 불쾌하게 묘사하거나 결혼 생활을 불행하다고 느끼거나 애정 결핍이 있을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본다.
(14) WRK(Work Interference, 직업적 곤란)
T점수에 따라 자신감이 낮거나 집중력이 낮거나 강박 관념이 있거나 우유부단하거나 직업에 대한 가족의 지원이 부족하거나 동료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일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본다.
(15) TRT(Negative Treatment Indicators, 부정적 치료 지표)
T점수에 따라 의사와 정신 건강 치료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거나 자신의 문제에 관해 이야기하는 게 불편하거나 변화하고 싶지 않거나 변할 수 없다고 여기거나 우유부단하거나 미래가 운의 문제라고 여기거나 자기 행동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거나 자신의 문제에 관해 이야기하기보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약을 먹을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본다.
○ MMPI-2 한글판 내용 소척도
내용 척도의 T점수와 내용 소척도의 T점수가 높을 때 해석한다.
1. FRS(공포) 척도의 내용 소척도
(1) FRS1(Generalized Fearfulness, 일반화된 공포)
(2) FRS2(Multiple Fears, 특정 공포)
2. DEP(우울) 척도의 내용 소척도
(1) DEP1(Lack of Drive, 동기 결여)
(2) DEP2(Dysphoria, 기분 부전)
(3) DEP3(Self-Depreciation, 자기 비하)
(4) DEP4(Suicidal Ideation, 자살 사고)
3. HEA(건강염려) 척도의 내용 소척도
(1) HEA1(Gastrointestinal Symptoms, 소화기 증상)
(2) HEA2(Neurological Symptoms, 신경학적 증상)
(3) HEA3(General Health Concerns, 일반적인 건강염려)
4. BIZ(기태적 정신상태) 척도의 내용 소척도
(1) BIZ1(Psychotic Symptomatology, 정신증적 증상)
(2) BIZ2(Schizotypal Characteristics, 조현형 성격특성)
5. ANG(분노) 척도의 내용 소척도
(1) ANG1(Explosive Behavior, 폭발적 행동)
(2) ANG2(Irritability, 성마름)
6. CYN(냉소적 태도) 척도의 내용 소척도
(1) CYN1(Misanthropic Beliefs, 염세적 신념)
(2) CYN2(Interpersonal Suspiciousness, 대인 의심)
7. ASP(반사회적 특성) 척도의 내용 소척도
(1) ASP1(Antisocial Attitudes, 반사회적 태도)
(2) ASP2(Antisocial Behavior, 반사회적 행동)
8. TPA(A 유형 행동) 척도의 내용 소척도
(1) TPA1(Impatience, 조급함)
(2) TPA2(Competitive Drive, 경쟁 욕구)
9. LSE(낮은 자존감) 척도의 내용 소척도
(1) LSE1(Self-Doubt, 자기 회의)
(2) LSE2(Submissiveness, 순종성)
10. SOD(사회적 불편감) 척도의 내용 소척도
(1) SOD1(Introversion, 내향성)
(2) SOD2(Shyness, 수줍음)
11. FAM(가정 문제) 척도의 내용 소척도
(1) FAM1(Family Discord, 가정 불화)
(2) FAM2(Familial Alienation, 가족내 소외)
12. TRT(부정적 치료 지표)의 내용 소척도
(1) TRT1(Low Motivation, 낮은 동기)
(2) TRT2(Inability to Disclose, 낮은 자기개방)
○ MMPI-2 한글판 보충 척도
T점수에 따라 유의미하게 판단한다.
1. 폭넓은 성격 특성(Broa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1) A(Anxiety, 불안)
전반적인 부적응, 불안, 우울증, 신체에 대한 불만한 포함한 특정한 증상을 감지한다. T점수에 따라 불안하거나 우울하거나 비관적이거나 냉담하거나 수줍거나 자신감이 부족하거나 무질서할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보거나, 불안, 경쟁, 조종, 활동, 외향적인 감정을 거부한다고 본다.
(2) R(Repression, 억압)
내면화하거나 내성적이거나 신중한지를 감지한다. T점수에 따라 자신을 억압하거나 부정하거나 합리화하거나 자기 통찰력이 부족하거나 개인적인 결점에 대해 논의하기를 꺼리거나 관습적이거나 자신을 과도하게 통제할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보거나, 외향적이거나 수다스럽거나 감정적이거나 개인적인 문제에 대해 기꺼이 논의하거나 지배적이거나 충동적이거나 공격적일 수 있다고 본다.
(3) Es(Ego Strength, 자아강도)
심리 치료에 대한 반응을 예측한다. T점수에 따라 자신감이 있거나 끈기가 있거나 지략이 뛰어나거나 대인관계가 좋거나 어느 정도 반항적이거나 경쟁적이거나 냉소적일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보거나, 자기 성찰이 부족하거나 무력감이 있거나 만성적인 신체 불만이 있거나 만성 피로가 있거나 공포증이 있거나 위축되어 있거나 혼란스럽거나 경직되어 있거나 문제에 대해 고정관념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다고 본다.
(4) Do(Dominance, 지배성)
다른 사람과 대면하는 상황에서 다른 사람을 향한 인식을 감지한다. T점수에 따라 독단적이거나 수완이 있거나 책임이나 리더십이 있거나 현실적이거나 끈기가 있거나 낙관적일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보거나, 비관적이거나 자신감이 부족하거나 문제를 해결하는데 접근하는 방식이 엄격하거나 좌절에 대한 내성이 낮을 수 있다고 본다.
(5) Re(Social Responsibility, 사회적 책임감)
행동에 관한 결과를 받아들이는지 감지한다. T점수에 따라 의무감이 있거나 자신감이 있거나 다른 사람에 대한 자신감이 있거나 정의감이 있거나 윤리적인 것에 관심이 있을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보거나, 자기 행동에 대한 책임을 받아들이지 못하거나 신뢰하지 못한다고 본다.
2. 일반화된 정서적 고통(Generalized Emotional Distress)
(1) Mt(College Maladjustment, 대학생활 부적응)
치료가 필요한 대학생을 감지한다. 대학생만 해석하는데 T점수에 따라 정신력이 부족하거나 자존감이 낮거나 집중력이 낮거나 무기력하거나 우울하거나 지나치게 민감하거나 수면 장애가 있거나 정신 또는 신체적인 불만이 있을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보거나, 의욕이 넘치거나 활기차거나 낙관적이거나 자신감이 있거나 판단력이 좋을 수 있다고 본다.
(2) PK(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PTSD를 감지한다. T점수에 따라 심각한 정서적 고통이나 불안이나 수면 장애가 있거나 죄책감이 있거나 감정을 조절하기 어렵거나 자신감이 부족하거나 강박 관념이 있거나 적개심이 있거나 분개를 할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본다.
(3) MDS(Marital Distress, 결혼생활 부적응)
결혼생활에서 고통을 느끼는지 감지한다. T점수에 따라 결혼이나 연애에 불만이 있을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본다.
3. 행동 조절 장애(Behavioral Dyscontrol)
(1) Ho(Hostility, 적대감)
교실에서 교사와의 관계를 예측한다. T점수에 따라 화가 났거나 적대적이거나 냉소적이거나 의심하거나 신체 건강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본다.
(2) O-H(Overcontrolled-Hostility, 적대감 과잉통제)
T점수에 따라 불안하거나 우울하거나 부정이나 억압이 있거나 순응하거나 만성적인 분노 장애나 지속적인 꿈과 같은 증상이 없다고 보고할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보거나, 불안하거나 우울하거나 공격적인 충동이 있다는 사실을 인정할 수 있다고 본다.
(3) MAC-R(MacAndrew Alcoholism-Revised, 맥앤드류의 알코올 중독)
알코올, 약물, 담배, 카페인, 도박 등 중독에 대한 경향을 감지한다. T점수에 따라 권위 갈등을 겪고 있거나 충동적이거나 이상하고 기이한 생각을 하거나 심리적으로 불만이 있거나 외향적이거나 죄책감이 있거나 과거 행위에 대해 후회하거나 도박을 즐기거나 과시적이거나 내성적이지 않거나 집중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보거나, 활동이나 물질에 중독될 가능성이 작다고 본다. 다만 여성에 대한 검사 신뢰도가 낮다.
(4) AAS(Addiction Admission, 중독 인정)
T점수에 따라 약물 남용을 인정하거나 약물 남용을 연기한 적이 있을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본다.
(5) APS(Addiction Potential, 중독 가능성)
T점수에 따라 약물 남용 문제가 있고 반사회적인 행동을 할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본다.
4. 성별 역할(Gender Role)
(1) GM(Masculine Gender Role, 남성적 성역할)
대부분 남성과 10% 미만의 여성이 응답했다. T점수에 따라 자신감이 있거나 독립적이거나 전통적인 남성상에 관심이 있거나 심리적 두려움과 불안에 대한 거부할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본다.
(2) GF(Feminine Gender Role, 여성적 성역할)
대부분 여성과 10% 미만의 남성이 응답했다. T점수에 따라 지나치게 민감하거나 전통적인 여성상에 관심이 있거나 전통적인 남성상을 싫어하거나 반사회적인 행동을 거부하거나 가족에 대한 충성도가 높을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본다.
○ MMPI-2 한글판 성격병리 5요인 척도(PSY-5 Scales)
정신병리보다 성격의 특성을 측정해서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을 준다. T점수에 따라 유의미하게 판단한다.
(1) AGGR(Aggressiveness, 공격성)
공격 태세를 갖추거나 사물이나 이권을 얻기 위해 공격할 가능성이 있는지 감지한다. T점수에 따라 남을 위협하는 것을 즐기거나 거만하거나 분개하거나 때때로 잔인할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보거나, 의존적이거나 수동적이거나 자존감이 낮을 수 있다고 본다.
(2) PSYC(Psychoticism, 정신증)
현실과의 단절을 감지한다. T점수에 따라 비정상적인 감각 및 지각을 한 경험이 있거나 현실과 단절된 느낌이 들었거나 망상적이거나 피해에 대해 비현실적인 기대를 하거나 적대적일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본다.
(3) DISC(Disconstraint, 통제 결여)
위험을 감수하거나 충동적이거나 관습에 얽매이지 않는지 감지한다. T점수에 따라 충동적이거나 위험을 감수하거나 사회적 규범에 부적합한 행동을 하거나 쉽게 지루함을 느끼거나 반사회적이거나 반항적이거나 쾌락을 추구할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보거나, 자제력이 높거나 규칙을 추종할 수 있다고 본다.
(4) NEGE(Negative Emotionality/Neuroticism, 부정적 정서성/신경증)
T점수에 따라 혐오스러운 사건을 회피하거나 지나치게 자기 비판적이거나 죄책감이 있거나 쉽게 근심에 빠질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본다.
(5) INTR(Introversion/Low Positive Emotionality, 내향성/낮은 긍정적 정서성)
T점수에 따라 내향적이거나 슬프거나 불쾌감이 있을 수 있다고 보거나, 관련 문제가 없다고 보거나, 외향적이거나 활기찰 수 있다고 본다.
MMPI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 한글판 보고서 종류
○ 해석상담 보고서
내담자, 임직원, 학생의 적응 수준 및 심리적 문제를 이해하고 상담 시 활용할 수 있는 보고서이다. 종합 소견 및 세분된 문제 영역을 제공해서 대상자의 핵심 문제를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상담자용 보고서와 함께 대상자의 자기 이해를 도울 수 있는 대상자용 보고서를 제공한다. 다만 MMPI 대상자용 보고서는 검사 점수에만 기반하여 작성된 보고서로 개인의 심리적 상태 및 인성에 대한 공식적인 의견서가 아니므로 전문가의 해석 하에 활용해야 한다. 성인 대상 해석상담 보고서에는 MMPI-2 해석상담 보고서, MMPI-2-RF 해석상담 보고서, MMPI-2&RF 복합 해석상담 보고서가 있는데, MMPI-2&RF 복합 해석상담 보고서를 신청하려면 MMPI-2 검사를 받아야 한다.
○ 인사선발 보고서
입사 지원자들의 심리적 부적응 여부를 사전에 선별하기 위한 보고서이다. 심리적 적응 수준에 대한 등급 및 소견을 제공해서 신속한 의사 결정을 지원하고 선발 면접에서 활용할 수 있는 문제 영역 지표 및 면접 활용 가이드를 제공한다. 다만 MMPI 검사는 자기보고 검사이므로 보고서 결과만으로 선발 여부를 판단해선 안 되며, 면접이나 직무수행평가 등의 추가 자료를 함께 고려해서 보고서의 결과를 해석해야 한다.
○ 스크리닝 보고서
학교, 기업, 공공기관 등 100명 이상의 대단위 구성원의 심리적 적응 문제를 효율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보고서이다. 종합소견과 대상자용 보고서를 제공하지 않으며, 문제영역의 지표 상승 여부만 표시한다.
MMPI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 한글판 검사 절차
○ MMPI 검사 구매 자격
MMPI 검사는 미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자격(C등급)을 요구하는 검사로 MMPI 검사와 채점은 쉬운 편이지만, 그 결과를 올바르게 해석하고 전달하는 데에는 정신병리와 심리평가, 심리검사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요구되고 검사 사용에 대한 윤리적인 책임이 필요하므로 MMPI 검사 구매 자격 요건을 충족한 사람만 MMPI 검사를 구매할 수 있다.
MMPI를 구매하려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정신건강임상심리사 1급·급(구 정신보건임상심리사 1급·2급), 청소년상담사 1급·2급, 발달심리전문가, 임상심리사 1급·2급, 상담심리사 1급·2급, 1급 전문상담사, 수련감독 전문상담사, 전문영역 수련감독자, 임상심리전문가 자격증이 있거나 관련 학과를 석사 이상 졸업하고 MMPI 워크샵을 이수해야 한다. MMPI는 결과 해석이 아주 중요하다 보니 미국 MMPI에서는 임상심리학자나 정신과 의사에게 MMPI 검사를 받도록 권장하고 있다.
○ MMPI 검사 방법
오프라인 검사는 심리상담센터에 직접 방문에서 상담사와 상담하고 지필 검사를 받은 후 해석 상담을 받을 수 있고, 온라인 검사는 심리상담센터 사이트 또는 네이버 엑스퍼트에서 MMPI를 검색하고 상담사를 선택해서 비용을 결제하고 상담사에게 인증코드를 받아서 mtest 사이트에서 검사를 진행한 후 해석 상담을 받을 수 있다. 온라인 해석 상담은 화상 채팅, 전화, 채팅 중에서 상담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받을 수 있고 해석 상담 시간은 상담사마다 다르다.
○ MMPI 검사 비용
MMPI 검사 비용에는 MMPI 검시비과 해석 상담비가 모두 포함되어 있다. MMPI 검사비는 정해져있지만, 상담사가 MMPI 해석상담 보고서를 기반으로 검사자에 대한 해석을 준비하고 해석 상담 시간 동안 검사자를 위해 상담을 해주는 비용은 심리상담센터나 상담사마다 다르므로 일반적으로 MMPI 검사 비용이 얼마부터 얼마 사이다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그리고 MMPI 검사는 해석 상담이 가장 중요하므로 검사 비용보단 상담사의 경력이나 검사 후기를 찾아보는 게 좋다.